DOI QR코드

DOI QR Code

세시풍속과 연계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ience Activities Related to Seasonal Customs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nd Communicative Competences

  • 투고 : 2017.02.15
  • 심사 : 2017.04.04
  • 발행 : 2017.04.30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ience activities related to seasonal customs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nd communicative competences. Methods: Participants consisted of twenty-six 5-year-old children who were going to day care center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Half of them belong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half to the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science activities related to seasonal customs, and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scienc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Nuri curriculu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nd communicative competences of the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meaningfully improved. That is to say, the scores of the five sub factors of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nd the two sub factors of communicative competenc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meaningful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Conclusion/Implications: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future science activities related to seasonal customs that will be conducted in the early childhood fiel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성근 (2006). 교사의 과학교수유형에 따른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승희 (2015). 교수-학습 모형과 방법을 이용한 유아과학교육. 서울: 학지사.
  3. 김유선 (2014). 세시풍속을 활용한 박물관 가족교육프로그램 발전 방안 연구: 국립민속박물관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종연 (2005). 세시풍속 교육의 요구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현정 (2008).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세시풍속프로그램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미치는 효과. 가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혜정 (2006). 전통예절 활동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언휘 (2004). 산책을 통한 자연탐구활동의 경험세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영자 (2015). 유아전통문화교육 통합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다례와 세시풍속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박진재 (2002). 아동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사회적 기술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배소정 (2002). 문학적 접근에 의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배은진 (2010).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세시풍속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인식 및 실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신은수, 안경숙 (1995). 인지적 갈등유도에 의한 과학교수방법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1, 203-215.
  13. 임재택, 심미연, 조순영 (1999).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세시풍속 적용사례와 교육적 가치. 영유아보육연구, 5, 51-68.
  14. 엄은나 (2006).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오춘자 (2002). 세시풍속을 중심으로 한 유아전통문화교육에 관한 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경민 (2001). 상호작용적 교수법에 의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 탐구능력, 태도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1(4), 261-284.
  17. 이숙재, 이봉선 (2009). 세시풍속과 연계된 유아경제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7(3), 67-77.
  18. 이현숙 (2013). 그림책 반복적 듣기와 토의활동을 통한 유아의 의사소통 변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혜영 (2014). 세시풍속 교육활동에 참여한 유아들의 경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전미경 (2009). 세시풍속을 활용한 경제교육이 유아의 경제개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정숙주 (2000). 세시풍속 교육에 관한 부모의 유아교육 현장의 요구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최기영, 김미숙, 김미중 (2010). '단오' 교육활동에 참여한 유아의 경험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5(3), 43-73.
  23. 최기영, 이인원 (2007). 두레 정신의 유아교육적 함의. 한국유아교육연구, 9, 33-53.
  24. 최안좌 (2006). 통합적 과학 놀이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 및 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최혜영 (2004).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신념 및 교사행동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편해문 (2007). 전래동요 '꼬부랑 할머니'의 문화콘텐츠 자원화 과정. 민속연구, 16, 75-96.
  27. 하정연 (2004).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세시풍속 프로그램 실천에 관한 문화기술적 탐구. 열린유아교육연구, 9(4), 239-260.
  28. Martin, D. J. (1997).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ctivist approach. Albany, NY: Delmar Publisher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