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for Comparing the Legal Importance of Digital Forensics Issues in Korea

국내 디지털 포렌식 분야에서 법률적 이슈사항의 중요도 인식에 따른 우선순위 비교 연구

  • Jae Bin Lee (AhnLab, Inc.) ;
  • Won Kyung Sung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Yonsei University) ;
  • Choong C. Lee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Yonsei University)
  • 이재빈 (안랩) ;
  • 성원경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 이중정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Received : 2017.04.30
  • Accepted : 2017.07.04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In modern society, crime records have been digitized. Digital information is difficult to distinguish from original information, but the former is easy to modulate. This situation explains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digital forensics. However, digital forensic has several inefficiencies because of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unclear jurisdiction, and tool errors. This study surveyed digital forensic specialists and derived the priority of domestic digital forensic issues by redefining 17 issues in digital forensics from Brungs-Jamieson study in Australia. The present study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namely, police, government and public corporations, private companies, and legal groups. The study could compare and analyze comparative analysis of existing studies in Australia and the US. This study can also examine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each group in Korea. Thus, the key issues in Korea were derived as "Requirements to 'Fire Up' Original." The differences of the three groups in terms of legal issues were then identified. This finding enables us to understand differences in priorities and importance between groups and countries.

현대사회, 범죄에 관련된 많은 기록들이 디지털 상에 남겨지고 있다. 디지털 정보는 원본구분이 어렵고, 위·변조가 용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과학적 수사기법을 통해 증거요건을 갖추도록 하는 디지털 포렌식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디지털 포렌식 기술은 빠른 변화, 국가 경계의 모호함 등으로 증거수집 절차나 도구 오류 등에서 많은 비효율성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디지털 포렌식 이슈의 우선순위 도출을 위하여 호주의 Brungs-Jamieson 연구에서 도출한 17가지 디지털 포렌식 분야의 이슈를 국내 상황에 맞게 재정의 후, 디지털 포렌식 전문가들에게 이슈 별 중요성 및 우선순위 조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는 경찰, 정부 및 공기업, 민간기업, 그리고 법조계 그룹으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기존의 호주, 미국과의 비교분석뿐만 아니라, 국내의 각 그룹별 조사결과의 차이를 비교 분석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로서 국내 디지털 포렌식 분야에서의 주요 핵심 이슈사항은 '모범 사례 지침과 표준의 중요성'으로 도출되었으며 법률적 이슈사항에 대해 세 그룹으로 분류하여 그룹 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그룹, 국가 간 이슈의 우선순위 및 중요도 차이 원인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으며 향후 국내 디지털 포렌식 분야 발전을 위해 그룹 별 우선 해결 사항들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병선, "디지털 포렌식 수사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법학연구, 제42권, 2011, pp. 171-191. 
  2. 권양섭, "형사절차상의 디지털 증거개시(EDiscovery) 제도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 제62호, 2016a, pp. 421-442. 
  3. 권양섭, "유비쿼터스 컴퓨팅환경하에서 디지털 포렌식 수사절차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제16권, 제1호, 2016b, pp. 93-120. 
  4. 권영옥, 김병도, "정보보안 사고와 사고방지 관련 투자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9권, 제1호, 2007, pp. 105-120. 
  5. 김민석, 박석천, "홈오토메이션 환경에서 디지털 포렌식 보안 방식 제안", 한국인터넷정보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5, pp. 277-278. 
  6. 김승용, 김상욱, 황인철, "기업 보안을 위한 CCTV 비할당 영역 분석용 디지털 포렌식 솔루션 개발",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6권, 제4호, 2016, pp. 185-202. 
  7. 대검찰청, 디지털 증거의 무결성 유지를 위한 절차와 시설에 관한 연구, 대검찰청, 2006. 
  8. 대검찰청,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과 증거능력 제고 방안, 대검찰청, 2014. 
  9. 박세환, 디지털 포렌식 기술 동향 및 국내 경쟁력, 정보통신산업진흥윈, 2015. 
  10. 박종성, 문종섭, 최운호, "자동화된 침해사고 대응시스템에서 네트웍 포렌식 정보에 대한 정의", 정보보호학회지, 제14권, 제4호, 2004. 
  11. 백승조, 심미나, 임종인, "국가 디지털 포렌식 법률 체계와 국내외 디지털 포렌식 법제 현황", 정보보호학회지, 제18권, 제1호, 2008, pp. 49-61. 
  12. 성혜정, 유혜정, "디지털 증거 검증기관의 역할 및 처리절차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12호, 제7권, 2014, pp. 79-88. 
  13. 신지호, 최낙범, "경찰 디지털 포렌식 조직구조와 업무과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찰학 연구, 제16권, 제3호, 2016, pp. 231-262. 
  14. 어수웅, 조우연, 이석준, 손태식, "모바일 포렌식 증거능력 확보 방안 연구", 정보보호학회논문지, 제26권, 제1호, 2016, pp. 135-152.  https://doi.org/10.13089/JKIISC.2016.26.1.135
  15. 윤종철, 박용석, "안드로이드 환경에서의 KakaoTalk 메신저의 포렌식 분석 방법론 제안 및 분석",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제20권, 제1호, 2016, pp. 72-80.  https://doi.org/10.6109/JKIICE.2016.20.1.72
  16. 윤한성, "정보보안 및 정보시스템자산 관리를 위한 내부 감시․통제시스템",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9권, 제1호, 2007, pp. 121-137. 
  17. 이상복, "디지털 포렌식 업무의 법․제도적인 개선방향", 서강법학, 제10권, 제2호, 2008, pp. 139-178. 
  18. 이종민, "부산 범죄수사에 디지털 증거분석 의뢰 '급증'", 연합뉴스, 2013. 01. 06., Available at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3/01/04/0200000000AKR20130104140100051.HTML. 
  19. 이현진, "사이버범죄 10년새 90% 증가...예방 위한 단일 법령 만든다", 한국경제, 2017. 4. 20., Available at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7042057541. 
  20. 전상덕, 홍동숙, 한기준, "디지털 포렌식의 기술 동향과 전망", 한국정보사회진흥원, 제13권, 제4호, 2006, pp. 3-19. 
  21. 정대용, 김성훈, 김기범, 이상진, "국제협력을 통한 디지털 증거의 수집과 증거능력", 형사정책연구, 제28권, 제1호, 2017, pp. 49-77. 
  22. 정대희, 이상미, "디지털 증거 압수수색절차에서의 '관련성'의 문제", 형사정책연구, 제26권, 제2호, 2015, pp. 95-130. 
  23. 조광훈,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서울법학, 제21권, 제3호, 2014, pp. 699-738.  https://doi.org/10.15821/SLR.2014.21.3.020
  24. 최재민, 이상진, 임종인, "포렌식 어카운팅 기술 동향", 정보보호학회지, 제18권, 제1호, 2008, pp. 29-40. 
  25. 탁희성, 이상진, "디지털 증거분석도구에 의한 증거수집절차 및 증거능력 확보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06, pp. 06-21. 
  26. Broadhurst, R., "Developments in the global law enforcement of cyber-crime", Policing: An International Journal of Police Strategies & Management, Vol.29, No.3, 2006, pp. 408-433.  https://doi.org/10.1108/13639510610684674
  27. Broucek, V. and P. Turner, "Bridging the divide: Rising awareness of forensic issues amongst systems administrators", In 3rd International System Administration and Networking Conference, 2002, pp. 27-31. 
  28. Brungs, A. and R. Jamieson, "Identification of legal issues for computer forensics", Information Systems Management, Vol.22, No.2, 2005, pp. 57-66.  https://doi.org/10.1201/1078/45099.22.2.20050301/87278.7
  29. Carney, M. and M. Rogers, "The Trojan made medo it: A first step in statistical based computer forensics event reconstru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Evidence, Vol.2, No.4, 2004, pp. 1-11. 
  30. Chauhan, P. and P. Bansal, "Emphasizing on various security issues in cloud forensic framework", Indian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Vol.8, No.1, 2016. 
  31. Conley, J. M. and R. M. Bryan, "A survey of computer crime legislation in the united stat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Law, Vol.8, No.1, 1999, pp. 35-57.  https://doi.org/10.1080/13600834.1999.9965797
  32. Harbawi, M. and A. Varol, "An improved digital evidence acquisition model for the Internet of Things forensic I: A theoretical framework", In Digital Forensic and Security(ISDFS)", 5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IEEE, 2017, pp. 1-6. 
  33. Laubscher, R., M. S. Olivier, H. S. Venter, D. J. Rabe, and J. H. P. Eloff, "Computer forensics for a computer-based assessment", Proceedings of the Fifth Annual Information Security South Africa Conference, 2005. 
  34. Liles, S., M. Rogers, and M. Hoebich, "A survey of the legal issues facing digital forensic experts", IFIP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gital Forensics,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09, pp. 267-276. 
  35. Pocar, F., "New challenges for international rules against cyber-crime", European Journal on Criminal Policy and Research, Vol.10, No.1, 2004, pp. 27-37.  https://doi.org/10.1023/B:CRIM.0000037565.32355.10
  36. Reid, L. A., "Amanda M. Hubbard, JD Fulbright scholar former trial attorney, computer crime and intellectual property section, US department of justice", Journal of Information Privacy and Security, Vol.2, No.1, 2006 pp. 47-56.  https://doi.org/10.1080/15536548.2006.10855786
  37. Reith, M., C. Carr, and G. Gunsch, "An examination of digital forensic models",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Evidence, Vol.1, No.3, 2002. 
  38. Slay, J. and F. Schulz, "Development of an ontology based forensic search mechanism: Proof of concept", arXiv preprint arXiv, 2014, 1407.8258. 
  39. Witter, F., Legal Aspects of Collecting and Preserving Computer Forensic Evidence, InfoSec Reading Room, SANS Institute, Bethesda, Maryland,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