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olitical Leadership of Xi Jinping: Focusing on Max Weber's Political Domination Type

시진핑의 정치리더십에 관한 연구: 막스 베버의 정치지배유형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7.08.11
  • Accepted : 2017.09.11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e political system of Xi Jinping which was launched in 2013, faced many difficultie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Xi Jinping must integrate and stabilize society through political reforms, such as sustained economic growth and Resolved corruption. In addition, he should seek new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on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political leadership of Chinese political leaders including Xi Jinping using Max Weber 's political domination type. From the first generation political leaders to the fourth generation political leaders in China, the types of political dom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 political leaders tend to be charismatic rather than legitimate domination. But the third generation political leaders tend to have a tendency of traditional domination rather than legitimate domination, and the fourth generation political leaders have a tendency to dominate more than traditional domination. On the other hand, the type of political domination of Xi Jinping shows traditional domination and legitimate domination tendency in the process of political growth and emergence, but shows tendency of charismatic domination after domination of political power.

2013년에 시진핑 체제가 본격적으로 출범하였지만 대내외적으로 많은 난관에 직면하였다. 시진핑은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부정부패 척결 등의 정치개혁으로 사회를 통합하여 안정시켜야 하며, 미국과의 새로운 관계정립과 한반도의 비핵화 등 난제들은 해결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정치지도자들의 정치리더십이 국가발전의 중요한 변수가 된다고 보아 막스 베버(Max Weber)의 정치지배유형을 활용하여 시진핑을 비롯한 중국의 정치지도자를 분석하였다. 시진핑 이전 제1세대 정치지도자부터 제4세대 정치지도자까지를 검토해 보면, 제1세대와 제2세대 정치지도자의 정치지배유형은 합법적 지배성향보다는 카리스마적 지배성향을 보인다. 하지만 제3세대 정치지도자는 합법적 지배성향보다는 전통적 지배성향을, 제4세대 정치지도자는 전통적 지배성향보다 합법적 지배성향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시진핑의 정치지배유형은 정치적 성장에서는 전통적 지배성향을, 정치권력의 구축과정에서는 합법적 지배성향을 보이지만 집권이후에는 카리스마적 지배성향을 보이고 있다. 시진핑은 중국의 독특한 권력교체방식과 권위주의적 후계체제로 전통적인 지배성향을 보이지만 당대회나 전국인민대표대회 등 적법한 절차에 통해 최고지도자로 선출되었기 때문에 합법적 지배성향도 있으며, 정책추진과정에서는 마오쩌둥과 덩샤오핑과 같은 카리스마적 지배성향도 보이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창순. 1997. "등소평의 생애와 사상." 북한 제304호. 22-29.
  2. 고정오. 2012. "중국 세대별 지도자들의 경제관 비교 연구: 마오쩌둥에서 후진타오까지." 중국지식네트워크 제2권. 73-97.
  3. 김기동. 1990. "중국 제3세대 지도자 강택민." 북한 1990년 4월호. 99.
  4. 김기수. 2012. 시진핑 리더십. 서울: 석탑출판.
  5. 김소중. 2001. "모택동과 등소평의 리더십과 치적 비교." 한국동북아논총 제20집. 211-245.
  6. 김용욱. 2002. 정치학: 이슈와 성찰. 서울: 법문사.
  7. 김정계.전영란. 2013. "중국 제5세대 지도자 시진핑-성장과정과 정치사회적 배경." 동북아인문학 제24집 제4호. 461-494.
  8. 박광득. 2007. "후진타오의 정책 변화와 그 전망." 대한정치학학보 제14집 제3호. 87-110.
  9. 박병광. 2013. "시진핑 지도부의 등장과 중국의 대외정책: '지속'과 '변화'의 측면을 중심으로." 전략연구 통권 제60호. 139-170.
  10. 박창희. 2013. "시진핑 주석의 리더십과 한반도 안보." 전략논단 제18권. 58.
  11. 서상민. 2015. "시진핑 시기 중앙영도소조의 연결망분석과 집단지도체제." 아세아연구 제58권 제3호. 173.
  12. 이동률. 2011. "중국 비전 2020-초강대국화 전략의 과제." 이동률 편. 중국의 미래를 말하다. 서울: 동아시아연구원. 13-15.
  13. 이동률. 2013. "시진핑체제 외교정책의 변화와 지속성: 제18차 전국대표대회 보고를 중심으로." 중국연구, 제36권 제4호. 24.
  14. 이창헌. 1987. "등소평체제의 등장배경 및 과정과 개혁에 따른 자유.민주화의 갈등." 동북아연구(구 통일문제연구). 제6권. 67-88.
  15. 임상우. 1991. 베버의 지배유형론. 서울: 일조각.
  16. 何频.高新 저. 김규영 역. 1997. 포스트 등소평시대의 파워 엘리트. 서울: 평민사.
  17. Li, Cheng and White Lynn. 2003. "The Sixteenth Central Committee of Chinese Communist Party: Hu Gets What?" Asian Survey 43-4(Jul/Aug). 355-356.
  18. http://baike.baidu.com/item/%E4%B9%A0%E8%BF%91%E5%B9%B3/515617?fr=aladdin(검색일: 2017.7.25).
  19. 鄧小平. 1983. "黨和國家領導制度的改革." 鄧小平文選. 香港: 三聯書店.
  20. 孫哲. 2012. 亞太戰略變局與中美新型大國關係, 北京: 時事出版社.
  21. 王迪. 2010. 经济与社会, 上海: 三联书店.
  22. 丁望. 2005. 胡锦涛与共青团接班群. 香港: 当代名家出版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