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ynamic Causality and Impulse Response between Maritime Import Volume, Relative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and Regional Industrial Activity : Focusing on a Trade Port of the Jeonnam Province

해상 수입물동량, 상대적 실질실효환율, 지역경기의 동태적 인과성과 충격반응 : 전남지역의 무역항을 중심으로

  • 김창범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 Received : 2017.01.31
  • Accepted : 2017.03.13
  • Published : 2017.03.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short run and long run dynamics between maritime import volume (IMV), industrial production (IP), and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REER) of the Korean Won over the REER of certain major currencies (US Dollar, Chinese Yuan, and Japanese Yen) in Korea's Jeonnam province. The Johansen and Juselius cointegration results reveal that at least one cointegration vector or long-run relationship exists. Hence, this study estimated the long run equilibrium equation, which indicates that both IP and REER are inelastic, although the former is bigger than the latter. Moreover, the dynamic causality analysis reveals short and long-run unidirectional causality from IP and REER to IMV in all three models. Further, in all the models, the results indicate short run unidirectional causality from REER to IP. In addition, the impulse response (IR) results show that the impulse of IP and REER decayed after four months. Additionally, the IR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REER of the Korean Won over the REER of Japanese Yen is the biggest with respect to the impact of relative REER on IP, which is the proxy variable of regional real income. Thus, empirical results indicated that real income and REER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Jeonnam's maritime import demand behavior in the short run and long run. More importantly, substantial actions reducing unexpected fluctuation of the REER and real income based on micro and macro economic policies will increase the imported volume in the ports of the Jeonnam province.

본고는 전남지역 수입물동량의 결정요인으로 전남지역 산업생산지수와 상대적인 실질실효환율(미국, 중국, 일본의 실질실효환율 대비 원화 실질실효환율)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적어도 한 개의 장기균형관계 또는 공적분벡터가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 장기균형식을 추정하여, 지역경기와 상대적 실질실효환율은 비탄력적이며, 경기가 환율보다 탄력성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동태적 인과관계 검정을 실시한 결과, 모든 모형에서 전남의 지역경기와 상대 실질실효환율이 전남 수입물동량에 단기와 장기 모두 일방적인 인과성이 성립하였다. 또한 모든 모형에서 상대적인 실질실효환율이 지역경기에 대한 단기적인 인과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게다가, 충격반응 결과는 모든 모형에서 장기균형관계 추정식과 동일한 부호를 보였으며 모든 변수의 충격이 4개월부터 그 효과가 소멸되었다. 그리고 상대 실질실효환율이 전남의 지역경기에 미치는 영향은 엔화에 대한 원화의 상대 실질실효환율이 수입물동량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증분석 결과들은 실질실효환율과 지역실질소득이 전남지역의 수입물동량에 장 단기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전남지역의 수입물동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국가 차원의 거시적 측면과 지역 차원의 미시적 측면에 기반한 실질실효환율과 실질소득의 기대되지 않는 변동을 감소시키려는 정책적 조치들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창범(2010), "환위험과 경기 불확실성이 우리나라의 수입물동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6집 제4호, 88-100.
  2. 김창범(2014), "실질실효환율, 세계경기, BDI, 상품수 출이 우리나라 해상운송의 서비스수출에 미 치는 영향", 해운물류연구, 제30권 제4호, 801-823.
  3. 김창범(2016), "한국의 對인도네시아 수출입 물동량 의 결정요인과 한.ASEAN FTA 효과", 해운 물류연구, 제32권 제3호, 521-537.
  4. 모수원(2012), "광양항의 물동량 행태분석: 인천항, 평택. 당진항과 비교",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 28권 제3호, 111-125.
  5. 모수원(2009), "경제변수의 변동이 광양항 수입컨테이너 물동량에 미치는 효과",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권 제3호, 269-282.
  6. 모수원(2013), "항만 물동량과 지역경기의 인과관계: VAR 접근", 해운물류연구, 제29권 특집호, 695-714.
  7. 모수원.이광배(2015), "광양항 수출입 물동량의 행태 분석", 한국기업경영학회, 제22권 제5호, 371-387.
  8. 최봉호(2007), "국내 주요항만별 항만물동량과 산업성장의 인과관계",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3권 제4호, 159-175.
  9. Bahmani-Oskooee, M. and F. Niroomand(1998), "Long-run Elasticities and the Marshall- Lerner Condition Revisited," Economics Letters, Vol.61, 101-109. https://doi.org/10.1016/S0165-1765(98)00147-5
  10. Johansen, S.(1988), "Statistical Analysis of Cointegrating Vectors," Journal of Economic Dynamics and Control, Vol.12, 231-254. https://doi.org/10.1016/0165-1889(88)90041-3
  11. Kwiatkowski, D., P.C,B. Phillips, P. Schmidt, and Y. Shin(1992), "Testing the Null Hypothesis of Stationarity against the Alternative of a Unit Root: How Sure are We that Economic Time Series have a Unit Root?," Journal of Econometrics, Vol.44, 169-178.
  12. Mackinnon, J.G., A.A. Haug, and L. Michelis (1999), "Numerical Distribution Function of Likelihood Ratio Tests for Cointegration," Journal of Applied Economics, Vol.14, 563-577. https://doi.org/10.1002/(SICI)1099-1255(199909/10)14:5<563::AID-JAE530>3.0.CO;2-R
  13. Narayan, P.K. and S. Narayan(2005), "Estimating Income and Price Elasticities of Imports for Fiji in a Cointegraion Framework," Economic Modelling, Vol.22, 423-438. https://doi.org/10.1016/j.econmod.2004.06.004
  14. Sinha, D.(1997). "Determinants of Import Demand in Thailand," International Economic Journal, Winter, 73-84.
  15. Sinha, D.(2001), "A Note of Elasticities in Asian Countries," The International Trade Journal, Vol.15, 221-237. https://doi.org/10.1080/088539001316901042
  16. Tang, T.C., M. Nair(2002), "A Cointegration Analysis of Malaysian Import Demand Function: Reassessment from the Bounds Test," Applied Economics Letters, Vol.9, 269-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