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1920-30년대 한국 만화의 '웃음'과 미학적 특징

The Laughter and Aesthetics of Korea Manwha on 1920-30s

  • 서은영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투고 : 2017.02.01
  • 심사 : 2017.03.05
  • 발행 : 2017.03.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1920-30년대 만화의 특징을 분석해 식민지 조선의 대중문화 속에 발현되는 웃음의 정서를 살펴보고, 이 시기 만화의 웃음이 어떠한 영향 관계 속에서 조선 만화의 미학을 체계화해 나갔는지 밝히는 데에 있다. 1920-30년대 대중문화 안에서 유머/웃음은 센티멘털이라는 음울한 분위기가 감도는 전반적인 분위기에서 새롭게 부상한 감각이었으며, 그 감각을 대중들에게 보여주고 전유시키며 부상한 매체가 바로 만화였다. 식민지 조선 만화의 미학적 문법이 어떠한 영향관계 안에서 조선 만화의 특성을 체계화해 나갔는지 밝히기 위해 본고에서는 1920-30년대 만화가운데 인접 장르를 각색한 만화를 대상으로 분석했다. 이 각색과정을 통해 어떻게 교합하고 이 안에서 무엇을 취사선택 했는지 분석함으로써 만화가 대중성, 즉 웃음을 어떤 방식으로 확보해 나갔는지 규명했다. 코믹스가 처음 등장했던 1920년대에는 모자람을 통해 흥미로움을 전달하는 인물, 사건전개에 따른 장면전환, 복수라는 통속성을 가미해 코믹스의 문법적 기틀을 마련했다. 덧붙여 모험과 기담, 쫓고 쫓기는 긴장감을 주는 활극성도 1920년대 코믹스에 등장하는 요소였다. 이는 1910년대부터 유행했던 희활극 영화와 모험을 모티프로 한 번안 번역 소설을 읽던 대중독자를 만화로 유입하는 데 유효했다. 모험과 여행이라는 활극적 상상력을 갖춘 번역 소설인 <허풍선이 남작의 모험기담>은 활극성을 더욱 가미하는 방향으로 각색되었다. 이는 '사랑의 성취'라는 구체적인 목표 설정과 함께 긴장감을 불어 넣으면서 통쾌함을 선사했다. 게다가 식민지 경성을 배경으로 각색함으로써 독자들에게 피식민지인의 대리물로서 통렬한 복수와 통쾌함도 제공했다. 한편 1920년대에 기틀이 마련된 코믹스는 1930년대에 이르면 보다 통속화되는데, 김규택의 만문만화는 이를 잘 보여준다. 1920년대 만문만화가 세태풍자에 그쳤다면, 김규택의 만문만화는 1930년대 유행했던 에로그로넌센스의 감각을 끌어들여 독자로 하여금 보다 통쾌한 웃음을 유발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1920s and 1930s to analyze the emotions of laughter in the popular culture, This period, such as the style of comic books, tools, and textures, has been influenced by the influence of the eodi, and it is in its way to establish the aesthetic aesthetics of the colonial Joseon Dynasty. In the pop culture of the 1920-30s, laughter was a new feeling in the gloomy atmosphere of colonial rule. It was the comic media that showed the sensation to the public, owned it, and injured it. Also, the comic book was an important period in which comic books were produced to produc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The study explored how the comics interacted with other media in the 1920s and 30s. And the study analyzed what was selected in there. This can quickly explain how the comics gained, or how they obtained them. This shows how the comics gained, in a way, how they obtained laughter.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진영, 신문관 번역소설 전집, 소명, 2010.
  2. 소래섭, 에로 그로 넌센스 - 근대적 자극의 탄생, 살림, 2005.
  3. 손상익, 한국만화통사, 시공사, 1999.
  4. 신명직, 모던뽀이, 경성을 거닐다, 현실문화연구, 2003.
  5. 신명직, 김규택의 만문만화와 '웃음'-모던춘향전.모던심청전.억지춘향전을 중심으로, 사에구사 도시카쓰 외, 한국근대문학과 일본, 소명, 2003.
  6. 윤영옥, 한국신문만화사; 1909-1995, 열화당, 1995.
  7. 이해창, 한국시사만화사, 일지사, 1982.
  8. 최열, 한국만화의 역사와 만화 대중화운동론, 한국만화의 역사, 열화당, 1995.
  9. 천정환, 근대의 책읽기, 푸른역사, 2003. pp.216-217.
  10. 요모타 이누히코, 김이랑 역, 만화원론, 시공사, 2000.
  11. 시미즈 이사오(淸水 勳), 김광석 역, 일본만화의 역사, 신한민디어, 2001.
  12. 시미즈 이사오(淸水 勳), 장영순 역, 풍자만화로 보는 근대일본, 소명출판, 2011.
  13. 시미즈 이사오(淸水 勳), 四コマ漫畵一北齋から 萌え まで, 岩波新書, 2009.
  14. 湯本 豪一, 風刺漫畵で日本近代史がよくわかる本, 草思社, 2011.
  15. 徐園, 日本における新聞連載子ども漫畵の戰前史, 同志社大學博士論文, 2010.
  16. 김경민, "허생전의 패러디소설연구",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7. 윤기헌, "동아시아 근대 만화의 특성 비교 연구", 경북대학교 시각정보디자인 박사학위논문(2012).
  18. 서은영, "한국근대만화의 전개와 문화적 의미",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 박사학위 논문(2013,8)
  19. 고은지, 1930년대 대중문화 속의 '춘향전'의 모던화 양상과 그 의미, 민족문학사연구 제 34호(2007). pp.272-303.
  20. 권두연, 신문관 출판활동의 구조적 측면 연구(2); 서적 목록과 광고를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 제 44권(2010), pp.264-308.
  21. 권두연, 신문관 단행본 번역소설 연구, 사이 제 5권(2008), pp.113-150.
  22. 김화선.안미영, 1920년대 서구 전래동화의 번역과 번역 주체의 욕망- 동명에 소개된 그림동화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53호(2007), pp.332-333.
  23. 박진영, 홍난파와 번역가의 탄생, 코기토 11집(2011), pp.61-86.
  24. 박진영, 문학청년으로서 번역가 이상수와 번역의 운명, 돈암어문학 제 24집(2011), pp.59-88.
  25. 서은영, 1910년대 만화의 전개와 내용적 특질 : 매일신보 게재 만화를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30호(2013.3).
  26. 민병욱, 심청전의 장르 패러디적 연구, 한국민족문화 23호,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4.pp.45-62.
  27. 최진형, 심청전의 전승양상; 출판 문화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판소리연구 19집(2005), pp. 189-190.
  28. 이승희, 배우 신불출, 웃음의 정치, 한국극예술연구 22(2011), pp.13-49.
  29. 이주라, 식민지시기 유머소설의 등장과 그 특징, 현대소설연구 51(2012), pp.199-227.
  30. 최호석, 웅초 김규택의 장편만문만화에 대한 연구, 한국언어문학 92호(2015),pp.183-207.
  31. 천정환, 식민지 조선인의 웃음-<삼천리>소재 소화와 신불출 만담의 경우, 역사와 문화 18(2009), pp.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