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애니메이션 분야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공간구성 -Walt Disney스튜디오 작업환경과 공간구성 사례를 중심으로

The Spatial Composition for Animation Competency Education -By Focusing on the Studio Environment and Spatial Composition of Walt Disney

  • 이현석 (동서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부)
  • 투고 : 2017.02.01
  • 심사 : 2017.03.05
  • 발행 : 2017.03.31

초록

정보통신기술의 빠른 발전과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확대로 인해 관련 실용학문분야는 교육의 내용과 환경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핵심 분야인 애니메이션 교육은 창의와 융합 그리고 실무교육이 중시되며 교육 내용과 방법에서 많은 개선이 시도되었다. 하지만, 기존 컴퓨터실 형태의 획일적 교육 공간은 애니메이션 교육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분야 직무 역량과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제작의 특성이 반영된 효율적인 실습교육 공간 구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의 전개는 첫째, 기존의 애니메이션 교육공간의 한계점에 대해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도출한다. 또한, Pre-production, Main-production, Post-production의 세 단계로 구성된 애니메이션 제작의 작업적 특성과 순차적 업무에 따른 여섯 개 세부 직무의 역량에 대해 고찰한다. 둘째, 애니메이션 제작공간의 구성을 파악하기 위해 공간구문론을 차용한 6가지 공간 유형에 대해 고찰한다. 셋째, 애니메이션 제작특성, 세부직무역량 요소, 6가지 공간 유형을 분석 툴로 하여,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인 Walt Disney의 작업환경과 공간구성에 대해 사례분석을 진행한다. 다섯째, 문헌연구와 사례연구의 결과를 연계적으로 분석하여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공간 구성의 특성을 도출한다. 본 연구를 통해 프로젝트 실무와 직무역량요소의 특성이 반영된 교육 공간 구성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으리라 사료된다. 또한, 본 사례분석을 통해 애니메이션 교육공간 구성을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으나, 기존과 차별화된 프로젝트 교육 공간구성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가치가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practical learning requires the new paradigm in its content of education and environment along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expansion of digital content industry. Especially, the animation education, core area of digital content industry, has attempted to improve the content and method of education by focusing on creativity, convergence and practical education. However, education environment in the previous form of computer laboratory has not been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animation education. In the light of this, this research would suggests the effective education environment implemented animation job competency and the characteristics of animation production. Firstly, the problem of previous educational environment will be explored through looking at computer rooms of domestic Universities. The characteristics of animation production consisted of Pre-production, Main-production, Post-production and elements of animation job competency will be reviewed by focusing on three phases of production, Pre-production, Main-production and Post-production, and six particular jobs, concept art, modeling & texturing, animating, lighting, VFX and compositing. Secondly, 6 types of space adapted from space syntax, possibly explored the embedded meaning of the structure of space and environment, will be reviewed by focusing on integration, separation and interaction. Thirdl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nimation production, the element of animation job competency, 6 types of space, analytical tools about animation project education will be deducted, and the case study regarding animation studio, Walt Disney studio, will be processed by focusing on its production environment and spatial composition by focusing on Pre-production, Main-production, Post-production. Fifthly, the effective spatial composition for animation project education will be explored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y. In regard to this, the research addresses the spatial composition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learning and job competency in animation education, which differs from the previous form of standardized education spaces.

키워드

참고문헌

  1. 구병모.김기호.김종규, "역량과 역량모형의 연구: 역량모형 연구의 현주소", 인적자원개발연구, 제13권, 제1호(2010), pp.131-154.
  2. 국진선.조자연,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자하 하디드 뮤지엄 건축의 공간구조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22권, 제5호(2013), pp.311-319.
  3. 김석래, "북미의 3D관련 교육과 실무환경의 분석을 통한 3D애니메이션 교육방안의 제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8권, 제2호(2008), p.201-208.
  4. 김효용, "창조성 시대에 산업 및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대학에서의 애니메이션 교육에 관한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제9권, 제4호(2013), pp.116-128.
  5. 김해윤, "콘텐츠산업에 적합한 새로운 CG 교육 모델 제안",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제39권, 제4호(2012), pp.173-182.
  6. 권혁제.이공희.이승조, 개신교 (교회)건축에 있어서 교육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2권, 제2호(2002), p.315-318.
  7. 손영기.정대영.신영철,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업종별 상업 공간 분석", 한국지적정보학회지, 제12권, 제1호(2010), pp.45-55.
  8. 이현석.김미진, 창의인재 교육을 위한 스마트러닝 공간, Space G, 2015.
  9. 최돈일, "교육중심의 애니메이션전공 교육과정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19호(2010), pp.183-197.
  10. Stale, A., Marcus, L. & Karlstrom, A., "Place Syntax Tool -GIS Software for Analysing Geographic Accessibility with Axial Lines", Istanbul Technical University, pp. 35-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