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ifferences in Tour Performance and Behavior Intention among Segmented International Tourism Markets based on Urban Tourism Contents Satisfaction

방한 외래관광객 도시관광콘텐츠 만족도 세분시장에 따른 관광성과 및 행동의도 차이 연구

  • 엄문연 (경희대학교 컨벤션전시경영학과) ;
  • 이재희 (경희대학교 컨벤션전시경영학과) ;
  • 김미성 (경희대학교 컨벤션전시경영학과) ;
  • 윤유식 (경희대학교 컨벤션전시경영학과)
  • Received : 2016.10.18
  • Accepted : 2017.01.23
  • Published : 2017.03.28

Abstract

Foreign tourists who are visiting Korea urban tourism destination have been continuedly growing and more various tourism products and service are requested to fit those foreign tourists' needs and wants. Accordingly, tourism contents and its satisfaction in urban tourism destination have been developing to provide more valuable products and service to touris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gment foreign tourists based on 4 different tourism urban destination contents, including destination facility contents, leisure entertainment contents, shopping contents, accommodation contents. Cluster analysis provided four different groups based on the mean score of urban tourism destination contents. MANOVA was conducted to identify whether ot not there are differences among the segmented groups in terms of travel performances and destination loyalty, Chi-square analysis were also conducted to see if there are differences among the segmented groups based on demographic information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we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s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tourism products planners and developers.

최근 외래 관광객이 증가하는 추세에 한국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다양한 콘텐츠 등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러한 콘텐츠 들은 도시 관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관광콘텐츠 등이 관광지의 스토리텔링이외에도 관광시설, 위락, 숙박, 쇼핑 등 관광객들이 이용하는 모든 자원에 포함되고 있고 이를 경험하고 즐기는 관광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중요하며 더욱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방한 외래 관광객을 대상으로 도시 관광에 있어서 콘텐츠만족도를 중심으로 군집분석을 통한 시장세분화를 실시하여 각 세분시장별 관광성과 및 추후행동의도에 대한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도시 관광콘텐츠 만족별 세분시장은 '약간만족 집단', '약간불만족 집단', '대체적만족 집단', '매우만족 집단'으로 4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세분화된 도시 관광 콘텐츠만족집단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행동특성을 나타내는 변수들인 국적, 관광의사결정과정 및 관광유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시 관광 콘텐츠만족집단에 대한 세분시장별 관광성과와 행동의도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문화관광지의 핵심경쟁력인 콘텐츠만족 세분시장별 특성을 파악하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활성화방안 제시를 하였다. 이를 통하여 문화관광지로 경쟁력을 확보하는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문화체육관광부, 2015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2015.
  2. 오상훈, "관광시장의 세분화기준에 관한 연구," 산경논집: 제주대 관광산업연구, 제15권, 제2호, pp.229-225, 2002.
  3. 이하정, "중국 인바운드 관과자의 시장세분화 특성 연구," 관광연구, 제23권, 제4호, pp.297-417, 2009.
  4. 서구원, 배상승, 도시마케팅,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5. 김형준, 도시 관광콘텐츠 구성요인 개발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6. 김미경, 김보경, "일본과 중국인의 한국 의료관광 참여의도와 선택속성의 비교연구," 한국관광학회 발표논문집, pp.463-477, 2011.
  7. 강성진, 도경록, 조록환, "지역 음식관광 활성화를 위한 외국인 방문객 시장세분화 연구-여행 중 음식관련 행동들을 기반으로," 관광연구, 제29권, 제5호, pp.177-197, 2014.
  8. 김용일, "DMZ 일원 외국인 관광동기에 따른 시장 세분화에 관한 연구," 관광레제연구, 제28권, 제4호, pp.153-169, 2016.
  9. 송민경, 김민경, "방한 의료관광객의 관광객 행동 특성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의료관광스토리텔링 속성에 대한 차이연구: 방한 중국인과 일본인의 의료관광객을 대상으로," 관광연구, 제31권, 제3호, pp.43-68, 2016.
  10.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도시관광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2011.
  11. 지봉구, 이계희, "관광콘텐츠를 이용한 도시브랜드 활성화," 한국콘텐츠학회, 2010 춘계 종합학술대회, pp.616-617, 2010.
  12. 김철원, 이태숙, "관광레저도시의 관광콘텐츠 탐색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제34권, 제4호, pp.273-290, 2010.
  13. 김향자, 유지윤, "관광개발의 대상으로서 '도시관광'에 대한 접근 방안," 한국관광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77-88, 2001.
  14. 김향자, "도시관광 활성화 정책 추진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15. 이영주, "도시관광과 도시관광개발," 강원발전연구원, 연구보고서, pp.1-15, 2005.
  16. 이희원, "도시주거지 건물속성에 따른 지가의 공간분포 특성 분석," 대한건축학회지연합논문집, 제9권, 제4호, pp.99-106, 2007.
  17. 전명숙, "서울시 도시관광 장소마케팅 전략분석-서울시 인터넷 홈페이지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지, 제6권, 제4호, pp.185-199, 2008.
  18. 이하나, 도시경관 구성요소로서의 미디어아트 콘텐츠 유형별 심리적 특성분석: 서울스퀘어 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9. 최지연, "도시관광 콘텐츠 개발을 위한 고지도 활용방안," 한국콘텐츠학회 2007 춘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제5권, 제1호, pp.29-33, 2007.
  20. 양길승, 신영선, "도시관광 활성화를 위한 관광상품개발 연구: 문화중심도시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문화관광연구, 제10권, 제2호, pp.21-33, 2008.
  21. 이영주, "관광학습도시 조성방안 연구: 강릉평생 학습도시와 연계하여," 강원발전연구원, 2008.
  22. 최기종, 도시이미지와 환경단서, 가치지변수의 구조적 변수의 체계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23. 윤유식, 한송희, 박재덕, "녹색관광자원 유형별 중요도에 따른 관광경험성과, 후속행동의도 및 녹색관광개발 지지도 연구," 관광연구, 제27권, 제6호, pp.97-116, 2013.
  24. 최윤근, SIT상품 태도와 계획구매행동,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25. 이후석, "관광객의 환경에 대한 인식이 만족과 관광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제28권, 제3호, pp.189-204, 2013.
  26. 이유재, "고객만족 연구에 관한 종합적 고찰," 소비자학연구, 제11권, 제2호, pp.139-166, 2000.
  27. 김효윤, 마케팅믹스 요인에 의한 도시관광 만족도와 태도 연구 : 광주광역시를 방문하는 국내.외 관광객을 대상으로, 호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28. R. L. Oliver, "Whence Customer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pp.33-44, 1999.
  29. 강혜숙, 명소형, 윤덕인, "음식관광매력속성이 지역이미지 및 방문객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국제학술발표대회집, 제76권, 제1호, pp.704-712, 2015.
  30. J. Kandampully and D. Suhartanto, "Customer loyalty in the hotel industry: the role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imag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mporary hospitality management, Vol.12, No.6, pp.346-351, 2000. https://doi.org/10.1108/09596110010342559
  31. V. A. Zeithaml, "Consumer perceptions of price, quality, and value: a means-end model and synthesis of evidence," The Journal of marketing, pp.2-22, 1988.
  32. D. A. Baker and J. L. Crompton, "Quality,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27, No.3, pp.785-804, 2000. https://doi.org/10.1016/S0160-7383(99)00108-5
  33. M. K. Brady and C. J. Robertson, "An exploratory study of service value in the USA and Ecuador," International Journal of Service Industry Management, Vol.10, No.5, pp.469-486, 1999. https://doi.org/10.1108/09564239910289003
  34. J. J. Cronin Jr and S. A. Taylor, "SERVPERF versus SERVQUAL: reconciling performance-based and perceptions-minus-expectations measurement of service quality," The Journal of Marketing, pp.125-131, 1994.
  35. E. Szivas, M. Riley, and D. Airey, "Labor mobility into tourism: attraction and satisfac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30, No.1, pp.64-76, 2003. https://doi.org/10.1016/S0160-7383(02)00036-1
  36. 김상혁, 오현주, "항공사 형태 및 노선에 따른 항공사 이미지가 고객만족,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제37권, 제3호, pp.249-167, 2013.
  37. 오민재, 이충기, 송수정, "사회적 책임(CSR)을 이용한 카지노 종사자의 시장세분화 연구," 관광연구, 제29권, 제3호, pp.61-81,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