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상현 (2013). 공.민영 체계 개편 및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 방안. <방송문화연구>, 25권 1호, 39-74.
- 강성원 (2016, 2, 26). "백종문, 술마시고 헛소리한 것일 뿐이라고?". <미디어오늘>.
- 강준만 (2000). <권력변환: 한국언론117년사(1883-2000)>. 서울: 인물과 사상사.
- 강형철 (2012). <공영방송 재창조: 공영방송에서 공영미디어로>. 서울: 나남.
-
강형철 (2015, 11, 23). "현 정부에선 공영방송 공정성 희망 사라져".
. - 고재열 (2014, 12, 8). 종편, '경로당 방송'이 살아남는 법. <시사IN>.
-
구보라 (2016, 11, 16). "특검, 대통령부터 언론부역자까지 조사하라."
. - 권순택 (2015, 6, 30). 방송학자들,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 필요" 91.8%. <미디어스>.
- 권순택 (2016, 2, 18). 방통위, MBC녹취록 조사도 전에 "사적인 자리"로 규정..."법인카드 사용 확인했나?". <미디어스>.
- 권순택 (2016, 4, 7). 고영주, "MBC녹취록 안건 이제 안 받아". <미디어스>.
- 김경래 (2016). 너무나 익숙한 '생계형 호위무사들'의 충성경쟁. <방송기자>, 28권(1.2월호), 18-19. URL: http://reportplus.kr/?p=16537
- 김경환 (2013). 새 정부 출범과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방안. <한국언론인협회 새 정부 출범과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 세미나 발표집>. 서울: 사단법인 한국언론인협회.
-
김경환 (2015). MBC 지배구조 개선방안. NCCK 언론위원회 연속토론회 두 번째 자료집
. - 김경환 (2016). 공영방송 이사의 구성방식과 자격조건에 관한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통권 41호, 5-35쪽.
- 김달아 (2016, 9, 26). 'MBC 녹취록' 백종문, 언론자유 핑계 대며 국감 불출석. <한국기자협회보>.
- 김상균.한희정 (2014). 천안함 침몰 사건과 미디어 통제: 탐사보도 프로그램 생산자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66호, 242-272.
- 김서중 (2015). 특집1: 세월호 참사 1년, 한국 사회의 쇄신을 바라며. 세월호 보도 참사와 근본 원인. <역사비평>, 통권 110호, 37-64.
- 김수정.정연구 (2011). 무(無)보도 현상과 언론윤리 그리고 한국사회의 이념갈등: 국정원, 기무사 민간사찰 관련 보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53호, 5-28.
- 김연식.박홍원 (2011). 방송 저널리즘 통제요인에 관한 연구: 직능 및 방송사별 차이를 중 심으로. <언론학연구>, 15권 1호, 5-30.
- 김연식 (2014). 방송 저널리스트의 방송 통제요인 인식 변화 연구. <한국언론학보>, 58권 1호, 83-305.
-
김춘효 (2015). '시민' 없는 한국 공영방송: 지배구조 문제점과 개선 방안들. NCCK 언론위원회 연속 토론회 세 번째 자료집.
. - 김회권 (2015, 9, 21). [누가 한국을 움직이는가] KBS 영향력.신뢰도 1위 '2관왕'. <시사프레스>.
- 남지원 (2017, 1, 6). '반성문 동영상' MBC 막내기자들에 "경위서 내라". <경향신문>.
- 남효윤 (2006). 언론보도와 통제 요인에 관한 연구: 지역신문의 규모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6권 1호, 115-146.
- 문현숙 (2016, 2, 2). "공영방송 경영진이 특정당 대변해 여론조작". <한겨레>.
- 박경신 (2011). 전략적 봉쇄소송 억제(Anti-SLAPP) 법리의 미국민사소송제도 상의 환경에대한 이해와 우리나라에서의 적용 가능성. <인하대학교 법학연구>, 14권 3호, 77-106.
- 박성제 (2017, 1, 9). "'짖어봐' 조롱 듣는 MBC 막내기자들... 당신들의 잘못이 아닙니다". <오마이뉴스>.
- 박은하.조형국.박홍두 (2014, 5, 8). 영정 들고 KBS 간 유족들 "교통사고 비유 망언 사과하라". <경향신문>.
- 박인규 (2010). 구조적 통제 하의 저널리즘: KBS 시사 프로그램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4권 6호, 209-245.
- 박준영 (1997). <한국신문뉴스결정의 역학관계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 방송통신위원회 (2016, 1, 28). 제6차 방송통신위원회 회의 속기록.
- 방송통신위원회 (2016, 2, 4). 제8차 방송통신위원회 회의 속기록.
- 신태섭 (2017, 1, 22).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꿀 수 있는 방법. <미디어오늘>.
- 심훈 (2014). 한국 공영 방송의 공정보도에 대한 인식 평가.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66호, 110-132.
- 안수찬 (2009, 4, 4). 언론탄압 탄탄대로. <한겨레21>, 제757호.
- 오택섭 (1998). 조선일보 대 최장집 논쟁이 남긴 언론에 대한 교훈. <저널리즘 비평>, 26권, 8-9.
- 원성윤 (2017, 1, 6). MBC 막내기자 3명이 고개숙인 반성문(동영상). <허핑턴포스트코리아>.
- 원용진.홍성일 (2015, 8월). <변화하는 저널리즘 환경과 탐사 저널리즘의 미래: 텔레비전 저널리즘을 중심으로>. 한국PD연합회.한국언론정보학회 주최 '탐사 저널리즘의 현재와 미래' 세미나.
- 유창하 (1989). <게이트키핑(Gatekeeping)의 내적통제에 관한 연구: 기자들의 뉴스가치관과 보도내용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 윤석민 (2013, 3, 20). 공영방송 지배구조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 미디어미래연구소 주최 '2020 미래방송포럼 3' <공영방송 공공성 제고 및 정체성 확보> 발제문. 1-36.
- 윤영철 (2006, 4, 5). 전환기 한국 신문의 과제: '좋은 신문'의 조건. 한국언론재단 주최 한국사회와 신문저널리즘 학술 세미나 발제문.
- 이기형 (2014). 종편 저널리즘의 위상과 함의. <문화과학>, 104-128.
- 이승선 (2016). 공영방송의 독립과 언론자유 확보를 위한 개선방안: 국회입법안 분석을 중심으로. 무절제한 정치권력, 흔들리는 공영방송: 공영방송의 독립과 언론자유 확보를 위한 개선방안 논의. 한국방송학회.한국언론정보학회.
- 이오성 (2015, 8, 3). "MBC 파업 해결한다고 박 대통령이 약속했었다". <시사IN>.
- 이윤정 (2017, 1, 6). MBC 막내 기자들의 반성문..."MBC를 욕하고 비난하길 멈추지 말아달라". <조선일보>.
- 이재경 (2003). 언론인 인식을 통한 한국 사회와 언론 자유의 조건 연구. <한국언론학보>, 47권 2호, 54-77.
- 이정국 (2014, 5, 5). KBS 보도국장 "세월호 희생자 교통사고 생각하면 많지 않다" 파문. <한겨레>.
- 이정환 (2012, 9, 30). 잔혹했던 언론 탄압 5년의 역사. <미디어오늘>. URL: http://www.leejeonghwan.com/media/archives/002202.html
- 이준웅 (2013, 2, 13). 박근혜 정부의 공영방송 규제와 지배구조 개선 임무. 언론3학회 공동 주최 긴급 세미나 '정부조직 개편 논의와 방송정책의 방향' 발제문 (33-43쪽).
- 이춘구 (2014). 공영방송의 정치적 독립성에 관한 법적 연구: 공영방송 지배체제 입법을 중심으로. <언론과 법>, 13권 2호, 217-265.
- 이효성 (2009). <방송, 권력과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임영호 (2015). 한국 텔레비전 생산 연구의 실태 진단. <언론정보연구>, 52호 1권, 5-32.
- 문화방송노보 (2016, 4, 4). 파업특보 제1호 경고파업 돌입. <문화방송노보>.
- 문화방송노보 (2016, 5, 24). 떠난 이들이 돌아올 그날까지.... <문화방송노보>, 206호.
- 문화방송노보 (2016, 10, 6). 안광한 사장의 MBC, 그 흑역사(黑歷史). <문화방송노보>, 211호.
- 문화방송노보 (2016, 11, 15). 뉴스데스크, 100만 촛불마저 축소 급급. <문화방송노보>, 215호.
- 정수영.남상현 (2012). 지상파TV 3사 종합뉴스프로그램의 무보도와 단독보도 뉴스에 관한 연구: 뉴스 주제와 뉴스 가치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6권 4호, 265-309.
- 조항제 (2003). <한국의 민주화와 미디어 권력>. 서울: 한울.
- 조현호 (2016, 5, 11). "국정원 댓글 리포트 빼라, 윤창중 톱으로 다루지 마라". [단독] 김시곤 전 KBS보도국장, 길환영 전 KBS 사장 보도개입 폭로... "큐시트 수정 지시 30여 건" '비망록' 제출. <미디어오늘>.
- 조현호 (2016, 5, 12). 이정현, KBS 전화 걸어 "박근혜 행사가 왜 맨 뒤냐". [단독] 홍보 수석 시절 보도국장에 뉴스편집 불만전화, "아쉬움 표시도 못하나... 지금이라도 할 것". <미디어오늘>.
- 조현호 (2016, 5, 16). "김시곤 비망록, 'KBS 이렇게 유린됐구나' 느꼈다". [인터뷰] 성재호. KBS 새노조위원장 길환영.이정현 검찰 고발... "권력 압력 프로세스 구체적으로 드러나". <미디어오늘>.
- 정철운 (2016, 2, 19). 'MBC녹취록' 진상규명 두고 미방위 여야 갈등. <미디어오늘>.
- 정필모 (2012). <공영방송 보도의 공정성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언론통제 메커니즘의 관점에서 KBS 사례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주섭일 (1999, 8, 26). 반역자 처단이 프랑스를 단결시켰다. <한겨레21>, 272호.
- 주정민 (2012). 공영방송의 독립성과 지배구조. KBS. <공영방송의 이해>, 파주: 한울.
- 최영묵.박승대 (2009). 방송의 정치적 독립성 확보를 위한 미디어 정책방향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46호, 590-626.
- 최영묵 외 (2012, 2). 공영방송의 독립성과 지배구조. KBS 외. <공영방송의 이해> (245-274쪽). 서울: 한울.
- 최영재 (2014). 공영방송 보도국의 정파적 분열: 민주화의 역설, 정치적 종속의 결과. <커뮤니케이션이론>. 10권 4호, 476-510.
- 최진봉 (2014). <길환영 방지법, 어떻게 만들어야 하나?>. 새정치민주연합 최민희 의원실 토론회 자료집.
- 최원형 (2017, 1, 5). MBC 막내 기자들의 반성문... "계속 욕해주십시오". <한겨레>.
- 최원형 (2016, 1, 25). "파업 PD들 다 배제시켜" "고발프로 전혀 못하게 통제". <한겨레>.
-
하누리 (2016, 11, 15). [TV조선 특종] 청와대 "비판언론 불이익 가도록" 지시.
. -
하수영 (2016, 9, 27). "국감 불출석 백종문, 강제 구인이라도 해야".
. - 한국기독교교회연합회 (2015, 5, 14). NCCK 언론위원회 연속토론회 두 번째. <"MBC, 왜? 어떻게? 망가졌나!">.
- 한수경 (2015). 방송과 공정성: 방송의 지배구조와 방송의 공정성 훼손. <정치와 평론>, 17집, 49-77.
- 홍은희 (2006). 신문사의 경영적 통제요인과 기자의 홍보원 인식에 관한 연구. <홍보학연구>, 10권 1호, 66-86.
- 황근 (2010). 미디어 거버넌스 시대 공영방송의 역할과 규제체계. <한국언론정보학보>, 3권 2호, 224-247.
- Kovach, B., & Rosenstiel, T. (2007). The elements of journalism (2nd ed.). 이재경 (역) (2009). <저널리즘의 기본 원칙>.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 Tuchman, G. (1978). Making news: A study in the construction of reality. 박흥수 (역) (1995). <메이킹 뉴스: 현대사회와 현실의 재구성 연구>. 서울: 나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