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ogical Discovery from Inscribed and Circumscribed Circles of a Triangle to Inscribed and Circumscribed Spheres of a Tetrahedron Through the Analytical Method

분석적 방법을 통한 삼각형의 내접원, 외접원에서 사면체의 내접구, 외접구로의 유추적 발견

  • Received : 2017.11.13
  • Accepted : 2017.12.20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This study targeting 10 high school 3rd grade students who have studied space figures in natural sciences track analyzes the process of analogical discovery from the construction of inscribed and circumscribed circles of a triangle to that of inscribed and circumscribed spheres of a tetrahedron through the analytical method using Geogebra. The subject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five,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those who have experienced analytical method and the comparative group consisting of those who haven't. This research analyzing the process of constructing inscribed and circumscribed spheres of a tetrahedron. Although students of both groups all have an accurate preliminary knowledge of inscribed and circumscribed circles of a triangle, they have difficulty in constructing inscribed and circumscribed spheres of a tetrahedron. However, the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who have studied the constructing process of inscribed and circumscribed circles of a triangle in reverse using analytical method and Geogebra can perform analogical discovery finding out the way to construct inscribed and circumscribed spheres of a tetrahedron using analogy by themselves. They can control and explore space figures by visualization. Also, they can immediately examine and provide feedback on the analogizing process of their own. In addition, the process affects the attitude of students toward mathematics positively as well as gives validity to the result of analogy.

본 연구에서는 공간도형을 학습한 고등학교 3학년 자연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Geogebra를 활용한 분석적 방법을 통해 삼각형의 내접원, 외접원 작도에서 사면체의 내접구, 외접구 작도로의 유추적 발견 과정을 분석하였다. 학생 1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적 방법을 경험한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대해서 본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각각 5명씩 구성하여 사면체의 내접구, 외접구 작도 과정을 살펴보았다. 본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삼각형의 내접원, 외접원 작도에 대한 정확한 사전지식이 학습되어 있으나 사면체의 내접구, 외접구 작도를 어려워하였다. 하지만 분석적 방법으로 Geogebra를 활용해 삼각형의 내접원, 외접원의 작도과정을 거꾸로 찾아가며 작도방법을 탐구한 본집단의 학생들은 스스로 작도방법을 유추하여 사면체의 내접구, 외접구의 작도방법을 찾아내는 유추적 발견이 가능하였다. Geogebra를 통해 시각화가 이루어짐으로써 도형의 조작과 탐구가 가능하였고 변화과정을 직접 살펴봄으로써 학습자 자신의 유추 과정을 즉각적으로 확인하고 피드백 할 수 있었다. 또한 추론 결과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기하 탐구에 대한 수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윤수, 서은정 (2009). 삼각형의 내.외심 지도방법 연구. 한국학교수학회 논문집, 12(3). pp.171-188.
  2. 교육부 (2015). 2015 중.고등학교 교육과정 수학(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3. 김현라 (2014). 유추와 분석법을 활용한 초등수학영재들의 정사각형 분할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나귀수 (2009). 분석법을 중심으로 한 기하 증명 지도에 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19(2). pp.185-206.
  5. 나귀수 (2014). 수학 교사의 증명과 증명 지도에 대한 인식 - 대학원에 재학 중인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28(4). pp.513-528. https://doi.org/10.7468/jksmee.2014.28.4.513
  6. 류현아 (2008). 중등 기하문제 해결에서 시각화와 추론 과정.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7. 박경미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개발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8. 신동선, 류희찬 (1998). 수학교육과 컴퓨터. 경문사.
  9. 우정호 (1998).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대학교 출판부.
  10. 우정호 (2000).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대학교 출판부.
  11. 우정호 (2003). 역사발생적 수학교육 원리에 대한 연구(1) - 증명의 의미 지도의 역사발생적 전개.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5(4). pp.401-420.
  12. 우정호 (2004).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증보판). 서울대학교 출판부.
  13. 이경화 (2009). 수학적 지식의 구성에서 유추적 사고의 역할. 대한수학교육학회지, 19(3). 355.
  14. 이승우 (2002). 학교수학에서의 유추와 은유. 대한수학교육학회지, 12(4). pp.523-542.
  15. 반은섭 (2012). 유추 조건에 따른 수학적 문제 해결 효과. 한국학교수학회, 15(3). pp.535-563.
  16. 정미미 (2014). 수학교육에서 유추적 사고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7. 최경식 (2013). 지오지브라 바이블. 교우사.
  18. English, L. D. (2004). Mathematical and analogical reasoning of young leader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 Polya. G. (1986).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우정호 역(2005). 교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