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f the Gifted Students Education about Doing Mathematical Task with the Face Plot

얼굴그림(Face Plot)을 활용한 수학영재교육의 사례연구

  • Received : 2017.10.23
  • Accepted : 2017.12.11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activity and disposition of gifted students with face plot in exploratory data analysis at middle school mathematics class. This study has begun on the basis of the doing mathematics at multivariate analysis beyond one variable and two variables. Gifted students were developed the good learning habits theirselves. According to this result, Many gifted students have an interesting experience at data analysis with Face Plot. And they felt the useful methods of creative thinking about graphics with doing mathematics at mathematical tasks. I think that teachers need to learn the visualization methods and to make and to develop the STEAM education tasks connected real life. It should be effective enough to change their attitudes toward teaching and learning at exploratory data analysis.

본 연구는 탐색적 자료분석 영역에서 얼굴그림(face plot)을 활용한 수학영재교육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선발된 중학교 수학 영재학생들 7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융합교육인 STEAM교육의 철학을 바탕으로의 2개의 변수에서 여러 개의 다변수를 취급할 수 있는 수학영재 수업과제를 토론과 실험을 통하여 탐구하였다. 이 수학과제(mathematical task)는 다변수의 확산적 사고와 다중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얼굴그림을 만드는 탐색적 자료분석의 새로운 한 가지 방법이다. 본 연구문제로는 수학 영재 학생들의 통계영역의 탐색적 자료분석의 원리와 개념에 대한 탐구과정으로서 수학에 관한 흥미와 태도 면에서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가를 면담과 관찰을 통하여 연구하고 통계교육의 시사점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영재학생들 스스로 자연현상에 대한 이해와 표현에서 두 변량 이상의 다변량 자료분석방법을 시도해봄으로써 수학적 패턴, 소비자를 위한 자료의 시각화, 관계에 대한 창의적인 통찰 능력의 발현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자료의 시각화 방법과 관계를 통계적이며 직관적인 다변량 분석의 표현 방법을 이해함으로써 자유롭고 창의적인 발상의 전환을 통하여 수학과 통계에 대한 실생활과의 융합 관계에 대하여 흥미와 태도가 생겨났음을 발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호경 (2005). 수학교육에서 실험수업의 의의와 특성,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8(1).
  2. 교육부 (2015). 2015 중고등학교 수학교육과정, 교육부.
  3. 김응환, 이석훈 (2015). 통계와 확률 교육, 경문사, 서울
  4. 김정란, 김응환 (2017). 미국의 통계소양교육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교사교육방향의 탐색,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0(2), 163-186.
  5. 이화연, 김응환 (2016). 수학 학습부진아 지도를 위한 노트쓰기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9(3). 277-290.
  6. 한국과학창의재단 (2013). 교구 및 공학도구를 활용한 평가기반 조성(Building the Foundation of Process-based Assessment Using Manipulatives and Technologies),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2013-6, pp. 24-28.(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7. 한국과학재단 (2016). 수학중심의 STEAM 세상을 읽는 수학교재. 연구보고서 2016-09.
  8. 竹內善和(1983). 顔形그래프을 사용한 統計指導, 교육과학 수학교육. No. 287. pp. 75-82, 명치도서, 일본.
  9. Granberg, C. (2016). Discovering and addressing errors during mathematics problem solving-A productive struggle, The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42, 33-48. https://doi.org/10.1016/j.jmathb.2016.02.002
  10. Hiebert, J & Grouws, D. A. (2007). The effects of classroom mathematics teaching on student's learning,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Vol. 1. pp. 371-404.
  11. Hull, T. C. (2013). Project Origami. Second edition, CRC Press, Boca Raton, pp. 49-62.
  12. Mason, J. & Johnston-Wilder, S. (2015). 수학과제의 설계와 활용, 권오남외 10인 역, 경문사, 서울.
  13. Pintrich, P. R. & Schunk, D. H. (1996).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Prentice Hall.
  14. Schunk, D. H. & Pintrich, P. (2013). 학습동기: 이론과 연구와 지원, 신종호 역, 학지사, 서울.
  15. Tukey, J. W. (1976). Exploratory Data Analysis. Princeton University and Bell Telephone Laboratories. Princeton, New Jersey Christmas.
  16. Van de Walle, J. A. (1998).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ing developmentally, third edition, Long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