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Emotional Trauma to Internet·Smart Phone Addic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중학생의 정서적 외상경험이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 최은실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Received : 2016.12.30
  • Accepted : 2017.01.26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emotional trauma and internet smart phone addiction of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firmed moderating effect by setting emotional trauma as predicting variable, self-esteem as moderating variable and internet smart phone addiction as dependent variable. The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645 middle school students regarding emotional trauma, self-esteem and internet smart phone addi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trauma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net smart phone addiction. Self-esteem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net smart phone addiction. Second, as the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of emotional trauma and self-esteem on internet smart phone addiction. The mean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proved that one of the causes of internet smart phone addiction is adolescent's emotional trauma and, second, it is proved that the intervention of self-esteem is required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 of adolescent's emotional trauma. That is, it turned out that self-esteem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trauma and internet smart phone addi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정서적 외상경험이 인터넷 스마트폰중독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정서적 외상경험을 독립변인, 자아존중감을 조절변인, 인터넷 스마트폰중독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조절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중학생 645명을 대상으로 정서적 외상경험, 자아존중감, 인터넷 스마트폰중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외상경험은 자아존중감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인터넷 스마트폰중독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정서적 외상경험과 인터넷 스마트폰중독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의 수준에 따라 정서적 외상경험과 인터넷 스마트폰중독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의 의의로는 첫째, 정서적 외상경험이 인터넷 스마트폰 중독의 원인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정서적 외상경험의 부정적 영향력을 줄이기 위해 자아존중감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용학, 인터넷 시대의 사회적 위험, 12세기 한국메가트렌드 시리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5.
  2.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2015.
  3. 통계청, 2013년도 아동종합실태조사. 2014.
  4. K. S. Young, "Psychology of computer use: XL; Addictive use of the internet: a case that breaks the stereotype," Psychological Reports, Vol.79, pp.899-902, 1996. https://doi.org/10.2466/pr0.1996.79.3.899
  5. K. S. Young,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1, No.3, pp.237-244, 1998. https://doi.org/10.1089/cpb.1998.1.237
  6. T. Sim, D. A. Gentile, F. Bricolo, G. Serpelloni, and F. Gulamoydeen, "A conceptual review of research on the pathological use of computers, video games, and the internet,"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and Addiction, Vol.10, No.5, pp.1-2, 2012. https://doi.org/10.1007/s11469-012-9374-5
  7. 임은미, "인터넷 역기능현상 및 개인정보침해 대응방안: 한국형 사이버중독 자가진단 및 분석기법 개발," 정보통신부 일반정책연구지정 공모사업 01-GP-09, pp.113-130, 2001.
  8. I. L. Spertus, R. Yehuda, C. S. Wong, S. Halligan, and S. V. Seremetis,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s predictors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symptoms in women presenting to a primary care practice," Child Abuse and Neglect, Vol.27, No.11, pp.1247-1258, 2003. https://doi.org/10.1016/j.chiabu.2003.05.001
  9. R. Orozco, G. Borges, C. Benjet, M. E. Media-Mora, and L. Lopez-Carrillo, "Traumatic life event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Mexican adolescents: results from a survey," Salud Publica de Mexico, Vol.5, No.1, pp.29-37, 2007.
  10. D. G. Dutton, "Traumatic origins of intimate rage,"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Vol.4, No.4, pp.431-447, 1999. https://doi.org/10.1016/S1359-1789(98)00027-5
  11. 허정윤, 유영달, "아동기 정서적 정서적 외상경험이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인으로," 가족과 문화, Vol.24, No.1, pp.177-211, 2012.
  12. 김남선, 이규은, "대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37권, 제2호, pp.72-83, 2012.
  13. 김병년, 최홍일, "과호호적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제29권, 제1호, pp.1-25, 2013.
  14. 진미령, 신성만, "애착외상, 자아존중감, 우울, 자기통제력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도피이론 모형을 중심으로," 제1권, 제1호, pp.31-53, 2016.
  15. 김은화, 김나현, "인터넷게임중독 청소년과 비중독 청소년의 스트레스 수준과 HPA axis 활성도 비교,"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제15권, 제3호, pp.173-183, 2013.
  16. 배성만, "Data Mining을 이용한 아동 및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의 예측요인 탐색,"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9호, pp.259-278, 2014.
  17. 김도우, 이윤호, "Heckman의 2단계 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 중독과 비행요인 분석,"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48권, pp.11-49, 2012.
  18. K. E. Bolger, C. J. Patterson, and J. B. Kupersmidt, "Peer relationships and self-esteem among children who have been maltreated," Child Development, Vol.69, No.4, pp.1171-1197, 1998. https://doi.org/10.1111/j.1467-8624.1998.tb06166.x
  19. S. J. Stevens, B. S. Murphy, and K. McKnight, "Traumatic stress and gender differences in relationship to substance abuse, mental health, physical health, and HIV risk behavior in a sample of adolescents enrolled in drug treatment," The Journal of Child Maltreatment, Vol.8, pp.46-57, 2003. https://doi.org/10.1177/1077559502239611
  20. 김동일, 이윤희, 강민철, 정여주, "정신건강문제와 인터넷 중독: 다층메타분석을 통한 효과크기 검증," 상담학연구, 제14권, 제1호, pp.285-303, 2013.
  21. W. R. Downs and B. Rindels, "Adulthood depression, anxiety and trauma symptoms: a comparison of women with nonabusive, abusive and absent father figures in childhood," Violence and Victims, Vol.19, No.6, pp.659-671, 2004. https://doi.org/10.1891/vivi.19.6.659.66346
  22. X. Huang, H, Zhang, M. Li, J. Wang, Y. Zhang, and R. Tao, "Mental health, personality, and parental rearing styles of adolescents with internet addiction disorder,"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Vol.13, pp.401-406, 2010. https://doi.org/10.1089/cyber.2009.0222
  23. 유지돈, 이익선, 양재호, "지역별 스마트폰 중독실태 및 인구, 사회적 요인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40권, 제3호, pp.51-75, 2014.
  24. 김정숙, 휴대전화 다가사용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우울, 충동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5. 박승민, 김은하, 강민철,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수준 변화에 대한 잠재계층분석과 잠재계층 분류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상담학연구, 제14권, 제5호, pp.2987-3002, 2013.
  26. S. Laconi, R. F. Rodgers, and H. Chabrol, "The measurement of internet addiction: a critical review of existing scales and their psychometric properti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41, pp.190-202, 2014. https://doi.org/10.1016/j.chb.2014.09.026
  27. 이종춘, 신성철,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청소년보호지도연구, 제18권, pp.33-54, 2012.
  28. 이주연, 전종철,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이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17권, 제1호, pp.287-303, 2015.
  29. F. E. Harrell, Regression Modeling Strategies, with Applications to Linear Models, Survival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Springer, New York, 2001.
  30. 정승철, 최은실, 성격5요인검사(BFI), 서울: 한국가이던스, 2015.
  31.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32.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개발연구, 2011.
  33. J. Cohen, P. Cohen, S. G. West, and L. S. Aiken, Applied multiple regression/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3rd ed.),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13.
  34. 최은영, 안현의, "여대생의 아동청소년기 대인간 외상 경험과 자기역량 손상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6권, 제3호, pp.285-302, 2011.
  35. 정구철, "대학생들의 정신건강과 인터넷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655-665,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4.655
  36. 이종하,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9호, pp.433-442,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9.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