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the Community Incivility on the Fear of Crime - Focused on Moderation Effect of Private Security -

지역 무질서가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민간경비의 조절효과 -

  • 김다은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찰행정학과) ;
  • 박종승 (전주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Received : 2017.02.17
  • Accepted : 2017.03.20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Today, crime has become a serious threat to social safety so citizen's desire for safety has increased. So the private security has emerged as a new industry for safety and security and became a crucial component. Private security is responsible not only covers the limitations of the police work, but also fills citizen's desire of security. However, quantitative research on private security has rarely been done and the results of the private security study are not effectively utilized due to biased research trends in Kor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mmunity incivility on fear of crime and the moderation effect of private security.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research uses 6,919 samples from the National Crime Victimization Survey(2014) and conducts hierarchical regression through STATA 13.0 program. As a results, private security guard showed the main effect on the generalized fear of crime, but had not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raction effect with the community incivility. On the other hand, the moderation effect of electronic secur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elation to the community incivility and specific fear of crime. In other words, in a place with high physical disorder, the fear of crime is relatively low in the case of the electronic machin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re is no electronic machin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사회 안전과 관련해 범죄두려움의 중요성이 날로 더해가는 현실에서 민간경비의 활용이 범죄두려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실증적 논의는 그 적실성이 높다 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범죄피해에 대한 위험인식과 그 두려움을 가중하는 대표적 요인인 지역 무질서가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지역 무질서와 범죄두려움의 관계에서 민간경비 유무의 영향력과 방향성을 검증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 형사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전국범죄피해조사 2014년도 자료를 활용하고, STATA 13.0을 통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민간경비 중 경비원의 경우 일반적 두려움에 주효과만을 나타냈으며, 지역 무질서와의 상호작용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지 못했다. 이와 달리 보안장치의 유무는 범죄두려움에 정적인 효과를 보였고, 이는 개인이 특수 잠금장치, 방범장치, 도난 경보시스템을 사용하더라도 여전히 높은 수준의 범죄두려움을 형성하고 있음을 뜻한다. 지역 무질서가 범죄두려움을 가중하는 상황에서 보안장치 유무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물리적 무질서가 높은 곳에서는 보안장치가 있는 경우, 보안장치가 없을 때에 비해 범죄두려움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보안장치의 존재가 물리적 무질서가 높은 곳에서 범죄불안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성과 적합성 측면에서 보안장치의 설치를 유인할 수 있는 정책을 강구하고, 강화된 경비원의 역할과 책임, 재량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찰청 (2016). 경찰백서.
  2. 강민완 (2011). 상점절도 방지를 위한 상황적 경비기법의 효과성.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27호, 9-32.
  3. 강지현 (2016). 1인 가구의 범죄취약성에 대한 연구. 전국범죄피해조사 학술대회 자료집.
  4. 곽대경.이승철 (2010). CCTV에 대한 인식과 지역적 환경요인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안행정학회, 제39호, 11-46.
  5. 권도이 (2016). '묻지마 범죄' 예방을 위한 민간경비 활용방안. 한국시큐리티정책학회 가을학술대회 세미나자료집, 10월 27일. 아산: 찰교육원 정종수 홀
  6. 공배완 (2010). 범죄예방을 위한 경찰과 민간경비의 협력방안, 한국치안행정논집, 제 7권 제 2호, 51-71.
  7. 김기현 (2011). 미래사회 변화에 따른 민간경비업체의 기여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12호, 1-26.
  8. 김상운.신재헌 (2012).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민간경비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32호, 33-63.
  9. 김성언 (2004). 일상영역에서의 시장의존적 보안추구 원인에 관한 경험적 논증, 형사정책연구, 제 60권, 277-322.
  10. 김성언 (2009). 상황적 범죄예방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형사정책연구, 제 77권, 1045-1079.
  11. 김용현 (2016). 한국 민간경비 연구의 분석과 발전방향, 한국경찰연구, 제15권 제1호, 59-82.
  12. 김지선.주익현 (2016). 가구범죄피해의 발생과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국범죄피해조사 학술대회 자료집
  13. 박성수.김미선 (2012). 민간경비원의 직무환경에 따른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민간경비학회, 제 11권 제 4호, 153-175.
  14. 박성훈 (2011). 한국의 도시지역 범죄피해의 지역적 맥락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5. 박정선.이성식 (2010). 범죄두려움에 관한 다수준적 접근 : 주요 모델들의 검증, 형사정책연구, 제 83권, 173-203.
  16. 이민형 (2012). 지역문화축제 안전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민간경비제도 구축방안, 한국민간경비학회보, 제11권 제 2호, 163-182.
  17. 이성식.박정선.이정환 (2012). 지역 무질서, 집합효율성, 범죄두려움의 관계: 세 모델의 검증, 피해자학연구, 제 20권 제 1호, 487-509.
  18. 이용주.장석인 (2012). 민간경비원의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팔로워십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융합보안논문지, 제 12권 제 2호, 23-32
  19. 이재영 (2011). 범죄피해경험과 지역특성의 상호작용이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범죄심리연구, 제7권 제 3호, 231-250.
  20. 장안식 (2012). 범죄피해에 대한 대중의 두려움: 개인적 두려움과 대리 두려움의 비교, 피해자학연구, 제 20권 제 2호, 87-119.
  21. 전국범죄피해조사 (2014). 전국범죄피해조사 2014,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2. 조성구.김태민 (2012). 민간조사업의 도입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경찰학회보, 제 33권, 241-267.
  23. 조영일.김지현.한우리.조유정 (2015). 임상 연구에서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의 비교 및 통합: 개념 정의 및 통계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34권 4호, 1113-1131.
  24. 조윤오 (2015). 필리핀 주택 보안장치와 범죄두려움과의 관계: 앙헬레스 한국 주민을 대상으로, 한국경찰연구, 제 14권 제 3호, 225-280.
  25. 통계청 (2016). 2016년 사회조사, 서울: 통계청
  26. 허경미.박영주 (2008). 기계경비시스템 이용이 소규모 상점주의 범죄피해 및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제32권, 437-475.
  27. Bauer, D. J., & Curran, P. J. (2005). Probing Interactions in Fixed and Multilevel Regression: Inferential and Graphical Technique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40(3): 373-400. https://doi.org/10.1207/s15327906mbr4003_5
  28. Bayley, D., & Shearing, C. (1996). The Future of Policing, Law and Society Review. 30(3): 585-606 https://doi.org/10.2307/3054129
  29. Benson, B. L. (1998). To Serve and Protect: Privatization and Community in Criminal Justice.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Press
  30. Braungart, M. M., & Braugart, R. G., & Hoyer, W. J. (1980). Age, Sex and Social Factors in Fear of Crime, Sociological Focus, 13:55-66 https://doi.org/10.1080/00380237.1980.10570360
  31. Collomb-Robert, N. et al. (2004). Cambridgeshire Distraction Burglary and Rogue Traders Taskforce: An Evaluation, Available online on: http://www.crimereduction.gov.uk/burglary83.htm
  32. Covington, J. & Taylor, R., B. (1991). Fear of Crime in Urban Residential Neighborhoods. The Sociological Quarterly. 32(2): 231-249. https://doi.org/10.1111/j.1533-8525.1991.tb00355.x
  33. Ferraro, K., F. (1995). Fear of Crime: Interpreting Victimization Risk. New York: SUNY Press.
  34. Garofalo, J. (1981). The Fear of Crime: Causes and Consequences. Journal of Criminal Law and Criminology, 72:839-857 https://doi.org/10.2307/1143018
  35. Gibson, C., Zhao, J., Lovrich, N., & Gaffney, M. (2002). Social Integration, Individual Perceptions of Collective Efficacy, and Fear of Crime in Three Cities. Justice Quarterly, 19: 537-564. https://doi.org/10.1080/07418820200095341
  36. Gorden, C., & Buchana, J. (2003).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Doorstep Crime: Are the Crime-Prevention Strategies More Harmful than the Crime?. The Howard Journal, 52(5): 498-515.
  37. Hale, C. (1996). Fear of Crime: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Review of Victimology, 4: 79-150 https://doi.org/10.1177/026975809600400201
  38. Haynie, D. L. (1998). The Gender Gap in Fear of Crime, 1973-1994: A Methodological Approach. Criminal Justice Review, 23(1): 29-50. https://doi.org/10.1177/073401689802300103
  39. Hough, M. (1995). The Impact of Victimization: Findings from the British Crime Survey. Victimology, pp: 1-4.
  40. Lewis, D., A. & Salem, G. (1986). Fear of Crime: Incivility and the Production of a Social Problem. New Brunswick: Transation Books.
  41. Markowitz, F. E., Bellair, P. E., Liska, A. E., & Liu, J. (2001). Extending 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Model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ohesion, Disorder, and Fear. Criminology, 39, 293. https://doi.org/10.1111/j.1745-9125.2001.tb00924.x
  42. Mesch, G. S. (2000). Perceptions of Risk, Lifestyle Acticities, and Fear of Crime. Deviant Behavior, 21(1): 47-62. https://doi.org/10.1080/016396200266379
  43. McCrie, R., D. (1992). Three Centuries of Criminal Justice Privatization in the United States? In Privatizing the United States Justice System: Police, Adjudication, and Corrections Services from the Private Sector, NC: McFarland & Company, Inc.
  44. Norris, F., H., & Kaniasty, K. (1992). A longitudinal Study of the Effects of Various Crime Prevention Strategies on Criminal Victimization, Fear of Crime, and Psychological Distres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0(5): 625-648. https://doi.org/10.1007/BF00941775
  45. Perkins, D. & Taylor, R. (1996). Ecological Assessment of Community Disorder: Their Relationship to Fear of Crime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4: 63-107. https://doi.org/10.1007/BF02511883
  46. Rountree, P., W. & Land, K., C. (1996). Burglary Victimization, Perception of Crime Risk, Routine Activities,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33:147-180. https://doi.org/10.1177/0022427896033002001
  47. Sampson, R., J., Raudenbush, S., W. & Earls, F. (2009). Neighborhoods and Violent Crime: A Multilevel Study of Collective Efficacy. Urban Health: Readings in the Social, Built, and Physical Environments of US Cities. 77-97.
  48. Skogan, W. G., & Maxfield, M. G. (1981). Coping with Crime: Individual and Neighborhood Reactions.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49. Skogan, W., G. (1990). Disorder and Decline: Crime and the Spiral of Decay in American Neighborhoods. New York: The Free Press.
  50. Taylor, R., B. & Hale. C. (1986). Testing Alternative Models of Fear of Crime. Journal of Criminal Law and Criminology, 77(1): 151-189. https://doi.org/10.2307/1143593
  51. Vilata, C. J. (2012). Fear of Crime and Home Security Systems. Police Practice and Research. 13(1): 4-14. https://doi.org/10.1080/15614263.2011.607651
  52. Villarreal, A. & Silva, B. (2006). Social Cohesion, Criminal Victimization, and Perceived Risk of Crime in Brazilian Neighborhoods, Social Forces, 84(3): 1725-1753. https://doi.org/10.1353/sof.2006.0073
  53. Wilson, J., Q. & Kelling, G. (1982). The Police and Neighborhood Safety: Broken Windows. Atlantic Monthly. 127: 2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