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과학에서 제시된 해륙풍 모형실험 분석 및 개선 방안

A Study on the Analysis and the Improvement of Land and Sea Breeze Model Experiment suggested to 2009 Revised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 투고 : 2016.11.07
  • 심사 : 2016.12.20
  • 발행 : 2017.02.28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of land and sea breeze model experiment that has presented in $5^{th}$ grade curriculum in chapter "Weather and our lives" and makes better model simulation so that learners can have better and more effective way to study it. To survey the opinions from dedicated teachers about land and sea breeze model experiment, we produced the survey through interview with science exclusive teacher from M elementary school. 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expert, 3 men of science EdD modified and complemented survey and started Delphi survey to 12 science teachers who have career teaching more than 3 years. The problems found in this survey were 'one heat bulb, short heating time, small temperature difference of water and sand, lack of class time, empty space between sand and water, back of transparent boxes, little amount of scent and the location of the it' etc. But the most of all, it is hard to see the successful result of the experiment. Based on these kinds of investigations, and lots of trial and error, redesigned the new model experiment that has the most similarity to the real one and high probability of success. According to this, it was able to see the smoke forms horizontal movement along the sand and the smoke goes in one circulation cycle. through this experiment, we made a conclusion that although those scientific experiments in textbook were developed through lots of considerations of expert, to consider the aspect of consumer, it needs to reach the educational agreement about simulation experiment so that It can lead to successful experiment and high quality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 (2007). 초등과학 과학 교육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서울, 229p.
  2. 교육과학기술부 (2012a). 과학 6-2. (주) 금성출판사.
  3. 교육과학기술부 (2012b).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6-2. (주) 금성출판사.
  4. 교육부 (2015a). 과학 5-2. (주) 미래엔.
  5. 교육부 (2015b).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5-2. (주) 미래엔.
  6. 교육부 (2015c).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서울, 275p.
  7. 교육인적자원부 (2002a). 과학 5-1.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8. 교육인적자원부 (2002b).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5-1.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9. 도영록 (2015). 초등학교 과학과 날씨 단원의 바람 요소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석사학위 논문.
  10. 부덕현, 홍승호 (2008). '바람'의 개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도와 오개념 유형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2(1), 67-82.
  11. 양미선, 윤성효 (2010). 해륙풍 원리 이해를 위한 대류상자 재설계와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31(3), 246-258. https://doi.org/10.5467/JKESS.2010.31.3.246
  12. 양일호, 조현준, 정진우, 허명, 김영신 (2006). 학교과학 교육에서 실험 활동의 목적 : 전문가 커뮤니티를 통한 델파이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177-190.
  13. 오준영, 김상수, 조운행 (2009). 바람이 부는 이유에 대한 과학 영재들의 대안개념 특성. 과학영재교육, 1(1), 65-78.
  14. 이규호 (2015). 초등학교 교과서 속 해륙풍에 기반한 바람이 부는 이유에 대한 개념적 고찰. 초등과학교육, 34(4), 486-501.
  15. 이성한 (2006).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공기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대류상자 실험의 개선 방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석사학위논문.
  16. 임성만 (2015). 우리나라 역대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다루어진 '지구과학' 영역의 중심개념과 탐구활동 분석 및 차기 교과서 개선 방안 모색. 초등과학교육, 34(3), 288-296.
  17. 조현희, 김광명 (2001). 대기 현상에 대한 초등학생의 선개념 및 오개념 분석. 과학교육연구, 24, 1-23.
  18. 채동현, 정성안 (2008). 초등교사들이 생각하는 '바람이 부는 이유'에 대한 질적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2(2), 457-469.
  19. 최미경 (2012). 바람이 부는 까닭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방법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석사학위논문.
  20. 최성희, 권치순 (2006).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대기와 날씨에 관한 내용 분석. 초등과학교육, 25(1) 15-26.
  21. 현동걸, 강원미, 임성만, 채동현 (2014). 해륙풍에 대한 초등학생의 이해 및 추리과정 조사. 과학교육연구지, 38(1), 160-167.
  22. 민경덕 역 (2001). 대기환경과학; Ahrens, C. D. Essential of meteorology. 3rd ed. 시그마프레스. 서울, 대한민국, 353p.
  23. 한국기상학회 (1999). 대기과학개론. 시그마프레스. 서울, 대한민국, 405p.
  24. Johnstone, A. H. & Al-Schuaili, A. (2001). Learning in the laboratory; some thoughts from the literature. University of Chemistry Education, 5, 42-51.
  25. Cussler, E. L.(2008). Diffusion: Mass transfer in fluid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Y, USA, 656.

피인용 문헌

  1. 학교 실험활동의 역할에 대한 문헌 고찰 vol.38, pp.2, 2017, https://doi.org/10.15267/keses.2019.38.2.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