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reference of Smoking Booth Design

흡연 부스 디자인의 선호도 조사 연구

  • 양근영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 Received : 2016.10.06
  • Accepted : 2016.11.04
  • Published : 2017.01.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improved design for both non-smokers and smokers to minimize inconvenience of smoke, at the same time, allow smoking in comfortable environment. The study was researched in three categories: First, consciousness research regarding smoking booth, second, preference research regarding product design, and third, research on emotional words about smoking booth by emotion evaluation. The result of design preference research was, first of all, smoking booth for smokers should be designed in both notable and familiar shape rather than stiff and rough shape. Second, color for the booth should apply warm colors such as white, pastel, and bright tone rather than prime colors. Third, the internal circulation filter in smoking booth should be managed thoroughly. In addition, extra seats and ventilation design is necessary to prevent passive smoking. The result of emotion evaluation was that people recognized certain words in four aspects. Each image word for factor 1 was "functional emotion', factor 2 was "psychological emotion", factor 3 as "color emotion", and factor 4 as "shape emotion". User-centered service design is necessary for both smokers and non-smokers, to minimize the damage by smoke and to spend time for short break.

본 연구는 흡연자와 비흡연자 모두를 위해 담배 연기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줄 수 있는 흡연 부스를 디자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으로 첫째, 흡연부스에 대한 의식조사, 둘째 제품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조사, 셋째 감성어휘에 의한 흡연부스 감성평가 조사를 하였다. 흡연부스에 대한 의식조사결과, 대부분 모든 사람들이 터미널, 역에 흡연부스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디자인 선호도에 조사결과로 첫째, 외부 흡연자를 위한 디자인부스는 딱딱하고 투박한 이미지 보다는 멀리서도 알기 쉽고 거부감이 들지 않는 형태의 디자인으로 제작되어져야 한다. 둘째, 원색 계열의 색상보다는 화이트와 파스텔 톤의 난색계열 및 밝은 색상을 적용하여 디자인한다. 셋째, 흡연부스이므로 내부 순환 필터 문제가 잘 관리 될 수 있도록 한다. 감성어휘에 의한 감성평가결과 자극물에 대하여 4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인지하고 있었다. 각 인자의 함축 언어로 1인자에 대한 대표 이미지 언어는 '기능적 감정' 2인자의 대표 이미지 언어는 '심리적감정' 3인자의 대표 이미지 언어는 '색상감정' 4인자의 대표 이미지 언어는 '형태감정'으로 정의하였다. 흡연자와 비 흡연자 양쪽 모두를 위해 담배연기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어야 하며 혼자만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디자인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2013국민건강통계, 보건복지부, p.23, 2014.
  2. 최선, ""흡연자, 설 땅이 없다" 서울 금역구역, 여의도 14배," 이데일리, 2012.09.18.
  3. 김용진, "공기청정기 성능기준 마련 및 적정관리 방안," 한국기계연구원, p.6, 2006.
  4. 나도백, "KISTI Market Report,"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15, 2015.
  5. 이진우, 사용자 맞춤 모듈화 방식의 공기청정기 디자인 개발 연구, 한양대학교 산업환경디자인대학원, pp.27-38, 2008.
  6. 공기청정기(Air Cleaner)의 시장 기술 보고서
  7. 이진우, 사용자 맞춤 모듈화 방식의 공기청정기 디자인 개발 연구, 한양대학교 산업환경디자인대학원, p.27, 2008.
  8. 김상철, "흡연부스 시험 및 평가 방법," 한국공기청정협회, p.45, 2015.
  9. 정상훈, "제품 사용 중 표출되는 사용자의 감성과 제품만족도," 한국감성과학회, 제17권, 제3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