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72
- 민현주, "여성의 경력단절 기간별 생애사건 효과 분석," 한국인구학, 제34권, 제1호, pp.53-72, 2011.
- 최민정, "경력단절 여성 지원정책의 현황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9월, pp.62-73, 2015.
- 구명숙, 홍상욱, "기혼여성의 재취업 구조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3권, 제3호, pp.153-167, 2005.
- 김희연,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인적자원 활용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위탁과제보고서, 2006.
- 김지연, 심인선, 경남 여성취업 및 경력개발 원스톱 서비스 구축, 경남발전연구원 중간보고서, 2007.
- 오은진, 박성정, 민형주, 김난주, 송창용, 김지현, 경력단절여성 취업욕구 조사연구, 여성부 여성정책연구원, 2008.
- 권희경, "경력단절 기혼여성의 재취업욕구관련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8권, 제1호, pp.87-98, 2010.
- 김선화, "부산지역 경력단절여성의 취업욕구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논집, 제21권, pp.95-131, 2010.
- 전인경, 경력단절기혼여성의 재취업 욕구와 행동요인,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김수빈,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욕구 선행요인에 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김도희,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실태분석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지방자치연구, 제12권, 제1호, pp.85-10, 2010.
- 이희숙, 경력단절 전업주부의 재취업 욕구분석을 통한 사회복지서비스 지원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 위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최은화, 이윤화, "경력단절기혼여성의 취업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대학사회복지 전공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제9권, 제2호, pp.85-109, 2015.
- 김우영, 기혼여성의 맞벌이 결정요인 분석, 서울: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2008.
- 박효진, 은선경, "경력단절 경험을 가진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7권, 제1호, pp.5-29, 2012.
- 강민채, 경력단절여성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강민지,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정신환,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장벽과 고용가능성 지각이 구직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장서영,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여성연구, 제74권, 제1 호, pp.79-104, 2008.
- 엄경애, 양성은, "기혼여성의 경력단절 및 자녀 양육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9권, 제1호, pp.21-40, 2011.
- 신수진, 장기 경력단절 중년여성의 재취업이 이끈 삶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문란영,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연구, 동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박혁, 한국 비정규노동자의 노동불안정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박현순,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본 기혼여성과 한 부모여성의 취업영향요인 비교연구, 청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조윤성, 경력단절여성의 사회연결망이 경력계획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박수경, "인사관리담당자의 남녀고용평등에 대한 인식," 한국공공관리학보, 제20권, 제2호, pp.189-220, 2006.
- 이번송, 장수명, 김재경, "여성취업률의 지역별 차이에 관한 연구," 경제학연구, 제51권, 제1호, pp.35-59, 2003.
- 최정원,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장벽 지각에 관한 연구,한국기술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김영경, 고학력 경력단절여성 재취업교육의 문제와 개선방안,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황수경,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을 위한 맞춤형 직업훈련지원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6.
- 강선미, "경력단절이 아닌 일과 삶이 재구성되는 과정으로서 공백을 발견하다," 함께 가는 여성, 여는 민우회, pp.6-9, 2013
- 이성식, 여대생이 인식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인과모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조연숙, 강인성, 이인원, "여성인적자원의 활용을 위한 여성신규인력채용의 결정요인연구," 지방행정연구, 제24권, 제4호, pp.363-392, 2010.
- 김인국, 강순희, "자격취득의 결정요인 및 취업 임금효과," 노동경제논집, 제27권, 제1호, pp.83-97, 2004.
- 채정균 외, 청년층의 노동시장이행과 인적자원 개발(I),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 황영정, 백병부, "대졸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결 정요인," 직업능력개발연구, 제1권, 제2호, pp.1-23, 2008.
- 신철우, 진선영, "여성근로자의 성차별 인식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의 검증," 대한경영학회지, 제47호, pp.2783-2803, 2004.
- 이주희, "여성의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고용과 복지의 재구조화," 한국여성학, 제28권, 제3권, pp.35-62, 2012.
- E. Madriz, "Focus Group in Feminist Research," In Denzin, Norman K.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II, Sage Publications, Inc. pp.835-850, 2000.
- A. L. Strauss and J. M. Corb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3Rd Ed, Sage. 2008.
- R. L. Coley and C. M. Lombardi, "Low-Income Women's Employment Experiences and Their Financial, Personal, and Family Well-Being,"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Vol.28, No.1, pp.88-97, 2014. https://doi.org/10.1037/a0034998
- 박경환, "기혼 여성관리자의 일.가정 관계가 관리능력,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제25권, 제2권, pp.879-905, 2012.
- 박효진, 은선경, "경력단절 경험을 가진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7권, 제1호, pp.5-29, 2012.
- P. Martikainen, "Women's employment, marriage, motherhood and mortality: a test of the multiple role and role accumulation hypotheses," Social science & medicine, Vol.40, No.2, pp.199-212, 1995. https://doi.org/10.1016/0277-9536(94)E0065-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