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Qualitative Study of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Reemployment Process :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Career-interrupted Women and Recruiters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경력단절여성과 채용담당자가 경험한 어려움을 중심으로

  • 박은주 (울산과학대학교 사회복지과) ;
  • 전형미 (울산과학대학교 사회복지과)
  • Received : 2016.11.11
  • Accepted : 2016.11.25
  • Published : 2017.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career-interrupted women and recruiters in the reemployment process. Using focused group interview(FGI), the depth interviews with six women and six recruiters had been carried out.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ased on the interview and focus group research method by Corbin and Strauss(2008). Finally, eight domains in career-interrupted women' experience and five in recruiters' were created from the analysis of the data. In the context of the experience there were something in common. They include the need of proper job for woman, the lack of employment system and resource, and the negative perception of women workers. As result, we suggested implications. for solving the difficulties in the reemployment process.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들이 재취업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피고용인과 고용인의 차원에서 다면적으로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재취업 경험이 있는 여성집단과 경력단절여성의 채용 경험이 있는 채용담당자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각 집단은 연구참여에 동의한 경력단절여성 6명과 채용담당자 6명으로 구성되었으며, 포커스집단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경력단절여성은 '존재감 상실과 우울', '나이로 인한 채용단절을 느낌', '욕구와 동떨어진 일자리와 조우', '효용성 낮은 자격증', '직장에 소홀할 것 같은 여성', '가사와 육아는 여성들의 몫', '현실적이지 못한 육아지원제도', '경력개발 및 정보 획득을 위한 자원부족'을 경험하였다. 채용담당자들은 '초기고용비용에 대한 소실', '직업의식이 부족한 여성', '여성에게 맞는 일자리 부족', '현실과 다른 여성의 눈높이', '고용연계시스템 개선에 대한 바램'을 경험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경력단절여성재취업 활성화를 위한 몇가지 제언을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72
  2. 민현주, "여성의 경력단절 기간별 생애사건 효과 분석," 한국인구학, 제34권, 제1호, pp.53-72, 2011.
  3. 최민정, "경력단절 여성 지원정책의 현황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9월, pp.62-73, 2015.
  4. 구명숙, 홍상욱, "기혼여성의 재취업 구조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3권, 제3호, pp.153-167, 2005.
  5. 김희연,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인적자원 활용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위탁과제보고서, 2006.
  6. 김지연, 심인선, 경남 여성취업 및 경력개발 원스톱 서비스 구축, 경남발전연구원 중간보고서, 2007.
  7. 오은진, 박성정, 민형주, 김난주, 송창용, 김지현, 경력단절여성 취업욕구 조사연구, 여성부 여성정책연구원, 2008.
  8. 권희경, "경력단절 기혼여성의 재취업욕구관련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8권, 제1호, pp.87-98, 2010.
  9. 김선화, "부산지역 경력단절여성의 취업욕구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논집, 제21권, pp.95-131, 2010.
  10. 전인경, 경력단절기혼여성의 재취업 욕구와 행동요인,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1. 김수빈,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욕구 선행요인에 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2. 김도희,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실태분석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지방자치연구, 제12권, 제1호, pp.85-10, 2010.
  13. 이희숙, 경력단절 전업주부의 재취업 욕구분석을 통한 사회복지서비스 지원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 위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4. 최은화, 이윤화, "경력단절기혼여성의 취업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대학사회복지 전공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제9권, 제2호, pp.85-109, 2015.
  15. 김우영, 기혼여성의 맞벌이 결정요인 분석, 서울: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2008.
  16. 박효진, 은선경, "경력단절 경험을 가진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7권, 제1호, pp.5-29, 2012.
  17. 강민채, 경력단절여성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8. 강민지,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9. 정신환,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장벽과 고용가능성 지각이 구직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0. 장서영,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여성연구, 제74권, 제1 호, pp.79-104, 2008.
  21. 엄경애, 양성은, "기혼여성의 경력단절 및 자녀 양육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9권, 제1호, pp.21-40, 2011.
  22. 신수진, 장기 경력단절 중년여성의 재취업이 이끈 삶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3. 문란영,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연구, 동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24. 박혁, 한국 비정규노동자의 노동불안정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5. 박현순,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본 기혼여성과 한 부모여성의 취업영향요인 비교연구, 청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26. 조윤성, 경력단절여성의 사회연결망이 경력계획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7. 박수경, "인사관리담당자의 남녀고용평등에 대한 인식," 한국공공관리학보, 제20권, 제2호, pp.189-220, 2006.
  28. 이번송, 장수명, 김재경, "여성취업률의 지역별 차이에 관한 연구," 경제학연구, 제51권, 제1호, pp.35-59, 2003.
  29. 최정원,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장벽 지각에 관한 연구,한국기술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30. 김영경, 고학력 경력단절여성 재취업교육의 문제와 개선방안,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31. 황수경,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을 위한 맞춤형 직업훈련지원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6.
  32. 강선미, "경력단절이 아닌 일과 삶이 재구성되는 과정으로서 공백을 발견하다," 함께 가는 여성, 여는 민우회, pp.6-9, 2013
  33. 이성식, 여대생이 인식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인과모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34. 조연숙, 강인성, 이인원, "여성인적자원의 활용을 위한 여성신규인력채용의 결정요인연구," 지방행정연구, 제24권, 제4호, pp.363-392, 2010.
  35. 김인국, 강순희, "자격취득의 결정요인 및 취업 임금효과," 노동경제논집, 제27권, 제1호, pp.83-97, 2004.
  36. 채정균 외, 청년층의 노동시장이행과 인적자원 개발(I),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37. 황영정, 백병부, "대졸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결 정요인," 직업능력개발연구, 제1권, 제2호, pp.1-23, 2008.
  38. 신철우, 진선영, "여성근로자의 성차별 인식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의 검증," 대한경영학회지, 제47호, pp.2783-2803, 2004.
  39. 이주희, "여성의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고용과 복지의 재구조화," 한국여성학, 제28권, 제3권, pp.35-62, 2012.
  40. E. Madriz, "Focus Group in Feminist Research," In Denzin, Norman K.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II, Sage Publications, Inc. pp.835-850, 2000.
  41. A. L. Strauss and J. M. Corb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3Rd Ed, Sage. 2008.
  42. R. L. Coley and C. M. Lombardi, "Low-Income Women's Employment Experiences and Their Financial, Personal, and Family Well-Being,"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Vol.28, No.1, pp.88-97, 2014. https://doi.org/10.1037/a0034998
  43. 박경환, "기혼 여성관리자의 일.가정 관계가 관리능력,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제25권, 제2권, pp.879-905, 2012.
  44. 박효진, 은선경, "경력단절 경험을 가진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7권, 제1호, pp.5-29, 2012.
  45. P. Martikainen, "Women's employment, marriage, motherhood and mortality: a test of the multiple role and role accumulation hypotheses," Social science & medicine, Vol.40, No.2, pp.199-212, 1995. https://doi.org/10.1016/0277-9536(94)E0065-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