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농촌지역사회 공동체의식 유형별 지역사회활동 참여 특성분석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Participation According to Types of Sense of Community - Case of Pyeongtaek in Gyeonggi Province -

  • 임광명 (평택대학교 피어선칼리지)
  • 투고 : 2017.10.15
  • 심사 : 2017.12.05
  • 발행 : 2017.12.30

초록

A rural community has distinct regional characteristics. It preserves the traditionality relatively and its residents live long in the community. Therefore, a rural community forms the sense of community which differs from that of the city and the participation factors affecting the sense of community also may appear different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participation according to types of sense of community by using a segmentation approach. Through a self-administered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130 rural community residents in Pyeongtaek. As for the sense of community of rural community residents, two segments which are high level of sense of community and low level of sense of community were deduced. According to the types of sense of community, the difference of each segmentation was analyz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mmunity participation activities. The findings significantly will be used to make the way to build up the sense of community in rural.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가영, & 장유미. (2013).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미래청소년학회지, 10(1), 97-123.
  2. 강철희, & 홍현미라. (2002). 지역사회결속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48, 43-77.
  3. 김경준. (1998).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4. 김기헌, 장근영, 조광수, & 박현준. (2010). 청소년 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 한국 청소년 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5. 김나영. (2001). 지역사회 참여활동의 정치교육효과 지각에 관한 연구: 대학생들의 정치지식, 기능 및 태도 변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미숙. (2005). 봉사활동이 공동체의식 함양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상미, & 남진열. (2011).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학교생활 적응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미래청소년학회지, 9(4), 225-242.
  8. 김신일. (1993). 민주적 공동체의식 형성의 과제. 서울:공보처.
  9. 김재식. (2014).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초등 도덕과 교육의 전략 탐색.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5, 29-52.
  10. 류승아. (2014). 대학 공동체의식이 개인의 안녕 및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영향과 촉진 방안. 한국심리학회지, 28(3), 43-60.
  11. 문재우, & 박재산. (2013). 중학생의 체험활동과 자아탄력성, 공동체의식,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련성.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14(2), 29-45.
  12. 박가나. (2009). 청소년 참여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학연구, 16(10), 273-306.
  13. 박광재. (2008).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도덕과 교육의 방향. 윤리철학교육, 10, 23-38.
  14. 박재숙. (2010). 학교청소년의 수련활동과 자원봉사활동,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7(4), 101-120.
  15. 박종관. (2012). 지역공동체 형성전략연구: 천안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2(7), 183-193. https://doi.org/10.5392/JKCA.2012.12.07.183
  16. 배은석, & 박해긍. (2016). 도농복합지역 주민의 공동체의 식이 지역사회 참여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58, 173-199.
  17. 서강식. (2011).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초등 도덕교과서 장애관련 내용분석 연구. 공주교대논총, 47(1), 57-74.
  18. 서정아, & 조홍식. (2012). 사회자본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족, 지역사회 자본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 서주영. (2001).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서재호. (2013). 주민자치 활동 참여와 공동체의식: 부산광역시 4개 동 주민자치센터주민의 인식조사를 토대로. 한국사회와행정연구, 24(2), 437-459.
  21. 성희자, & 이강형. (2013). 농촌지역 주민의 사회참여와 공동체의식이 "배타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4(4), 315-332.
  22. 신영선. (2012). 농촌마을 주민 공동체의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양덕순, & 강영순. (2008). 지역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0(1), 71-89.
  24. 양순미. (2014). 농촌 결혼이민여성들의 한국어 능력과 지역사회활동참여경험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촌지도학회, 21(4), 1061-1091.
  25. 유현희. (2014).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한국농촌지도학회, 21(3), 1-23.
  26. 은지용. (2002). 청소년봉사활동 반성경험이 시민성에 미치는 효과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이영원. (2010). 지역특성에 따른 지역 정체성과 지역만족도에 대한 연구: 전주, 무주 지역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49(2), 252-277.
  28. 임광명, & 박덕병. (2015).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 유형별 학교 및 지역사회활동 참여 특성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7(4), 53-72.
  29. 정수복. (1995). 공동체의식과 시민운동. 서울: 공보처.
  30. 조영숙, 황대용, 박은식, & 고정숙. (2004). 농촌주민의 지역사회 만족도와 지역공동체 의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5(4), 113-125.
  31. 조원섭, & 최상수. (2011). 천안시민의 지역사회 애착도가 지역축제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3), 449-459. https://doi.org/10.5392/JKCA.2011.11.3.449
  32. 최형임, & 문영경. (2013). 청소년 공동체의식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5, 189-209.
  33. 최문형. (2014). 공동체의식과 주민참여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하병규. (2015). 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마을공동체사업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한은영, & 김미강. (2013). 청소년의 사회참여활동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43, 95-124.
  36. Angell, R. C. (1928). A study of contemporary undergraduate life in the American University. New York, NY: Appleton.
  37. Baumeister, R. F., & Leary, M. R. (1995). The need belong: Desire for interpersonal attachments as a fundamental human motiv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17, 497-529. https://doi.org/10.1037/0033-2909.117.3.497
  38. Bonus, s., Woods, Jr. B. H., Chan, K. C. (2005).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among students on religious collegiate campuses in the christian evangelical tradition. Christian Higher Education, 4, 19-40. https://doi.org/10.1080/153637590507423
  39. Carnoy, M. (1972). An empirical study of powerless among high school students. High School Journal, 55, 353-354.
  40. Chipuer, H. M., & Pretty, G. M. H. (2000). A review of the sense of community index: Current uses, factor structure, reliability, and futher development.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7(6), 643-658. https://doi.org/10.1002/(SICI)1520-6629(199911)27:6<643::AID-JCOP2>3.0.CO;2-B
  41. Feldman, K. A., & Newcomb, T. M. (1969). The impact of college on students: Vol. 1. An Analysis of four decades of research. San Francisco. LA: Jossey-Bass.
  42. Glynn, T. (1981).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Measurement and application. Human Relations, 34, 780-818.
  43. Hughey, J., & Speer, P. W. (2002). Community, sense of community, and networks. In A. T. Fisher, C. C. Sonn, & B. J. Bishop (Eds),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Research, applications, and implications (pp.69-84). New York, NY: Kluwer Academic/Plenum.
  44. Long, D. A., & Perkins, D. D. (2008). Community social and place predictors of sense of community: A multilevel and longitudinal analysi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5, 563-581.
  45. Lunsbury, J. W., & DeNeui, D. (1996). Collegigate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in relation to size of college/university and extroversion. Jounal of Community Psychology, 24, 381-394. https://doi.org/10.1002/(SICI)1520-6629(199610)24:4<381::AID-JCOP7>3.0.CO;2-X
  46. Mannarini, T., & Fedi, A. (2009). Multiple sense of community: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communit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7, 211-227. https://doi.org/10.1002/jcop.20289
  47. Manzo, L., C., & Perkins, D. D. (2006). Finding common ground: The importance of place attachment to community participation and planning. Journal of Planning Literature, 20, 335-350. https://doi.org/10.1177/0885412205286160
  48. Mcmilan, D., & Chavis, D. (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 6-23. https://doi.org/10.1002/1520-6629(198601)14:1<6::AID-JCOP2290140103>3.0.CO;2-I
  49. Pacilli, C. B., & Zampatti, E. (2009). The MTSOCS: A multidimensional sense of community scale for local communitie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7(3), 305-326. https://doi.org/10.1002/jcop.20297
  50. Peterson, N. A., Speer P. W., & Hughey, J. (2006). Measuring sense of community: A method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factor structure debate.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4(4), 453-469. https://doi.org/10.1002/jcop.20109
  51. Pretty, G. H. (1990). Relating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to social climate characteristic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8, 60-65. https://doi.org/10.1002/1520-6629(199001)18:1<60::AID-JCOP2290180109>3.0.CO;2-J
  52. Royal, M. A., & Rossi, R. J. (1996). Individual- Level correlates of sense of -community: Findings from workplace and school.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4(4), 395-416. https://doi.org/10.1002/(SICI)1520-6629(199610)24:4<395::AID-JCOP8>3.0.CO;2-T
  53. Tartaglia, S. (2006). A preliminary study for a new model of sense of communit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4(1), 25-36. https://doi.org/10.1002/jcop.20081
  54. Townley, G., Kantz, J., Wandersman, A., Skiles, B., Schillaci, M. J., Timmerman, B. E., & Miusseau, T. A. (2013). Exploring the role of sense of community in the undergraduate transfer student experience.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41, 277-290. https://doi.org/10.1002/jcop.21529
  55. Sanchez, B., Colon, Y., & Esparza, P. (2005). The role of sense of belonging and gender in the academic adjustment of Latino adolescent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4(6), 619-628. https://doi.org/10.1007/s10964-005-8950-4
  56. Wiseman, R. L., Gonzales, S. M., & Salyer, K. (2004). A cross-cultural analysis of students sense of community, degree of involvement, and educational benefits. International Communication Studies, 13, 173-189.

피인용 문헌

  1. 농촌지역주민 공동체의식의 지역사회참여 영향요인 - 거주기간의 조절효과 - vol.25, pp.3, 2017, https://doi.org/10.12653/jecd.2018.25.3.0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