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WR을 이용한 센서스 기반 도시범죄 특성 분석 및 예측모델 구축

Construction of Urban Crime Prediction Model based on Census Using GWR

  • 유영우 (동의대학교 도시공학전공) ;
  • 백태경 (동의대학교 도시공학전공)
  • 투고 : 2017.11.08
  • 심사 : 2017.12.14
  • 발행 : 2017.12.31

초록

본 연구는 범죄와 환경과의 관계가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는 전제하에 범죄억제를 위한 정책수립 및 설계를 위한 대안마련의 사전단계로 범죄위험지역 분석과 요인, 공간적 특성이 반영된 예측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 H구 전체 지역에 범죄가 균등하게 분포하였을 경우와 대비하여 약 1/4 수준으로 범죄발생지역은 군집성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주로 H 해수욕장 배후 상업지역에서 특정범죄(강간, 절도, 폭력)는 강한 핫스팟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공간적 상관관계를 고려하는 지리가중회귀모형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중선형회귀 모형의 결과에서와 같이 연구지역 내 폐공가수가 종속변수와 단순히 부적의 관계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지역에 따라 종속변수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prediction model that reflects crime risk area analysis, including factor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s a precursor to preparing an alternative plan for crime prevention and design. This analysis of criminal cases in high-risk areas revealed clusters in which approximately 25% of the cases within the study area occurred, distributed evenly throughout the region. This means that using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might overestimate the crime rate in some regions and underestimate in others. It also suggests that the number of deserted houses in an analyzed region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dependent variable, based on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results, and can also have different influences depending on the region. These results reveal that closure signs in a study area affect the dependent variable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region, rather than a simple or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dependent variable, as indicated by the results of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키워드

참고문헌

  1. Kim, K.D. and D.H. Kwak. 2003. Utiliz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spatial analysis in the research of crime and criminal justic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p.88. (김기득, 곽대훈. 2003. 지리정보시스템과 공간분석을 활용한 범죄연구 :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88쪽.)
  2. Lee, G.H., C.W. Jin, J.W. Kim, and W.H. Kim. 2016.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ex crimes : spatial analysis based on environmental criminology.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51(6):853-871 (이건학, 진찬우, 김지우, 김완희. 2016. 성폭력 범죄의 공간적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51(6):853-871).
  3. Lee, K.H. 1992. Spatial pattern of urban crime in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Geography Education 27:94-118 (이경희. 1992. 서울의 지역별 범죄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지리교육논집 27:94-118)
  4. Lee, H.H. 2000. Crime analysis using GIS. Korean criminological review 11(3):287-305 (이현희. 2000. GIS을 이용한 범죄분석. 형사정책연구 11(3):287-305).
  5. Jeong, K.S., T.H. Moon, J.H. Jeong. and S. Y. Heo. 2009. Analysis of spatio-temporal pattern of urban crim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2(1):12-25 (정경석, 문태헌, 정재희, 허선영. 2009. GIS와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시.공간적 도시범죄패턴 및 범죄발생 영향요인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1):12-25).
  6. Heo, S.Y. and T.H. Moon. 2011. Spatial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real crime and fear of crime.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4):194-207 (허선영, 문태헌. 2011. 도시내 범죄발생과 범죄 두려움 위치의 공간적 차이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14(4):194-207). https://doi.org/10.11108/kagis.2011.14.4.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