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Ward of Public Hospital for Spatial Composition of Efficient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 Focused on the Regional Public Hospital -

효율적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공간 조성을 위한 공공병원 병동부에 관한 연구 - 지역거점 지방의료원을 중심으로 -

  • 한석범 (한양대학교 건축학과) ;
  • 박재승 (한양대학교 공학대학 건축학부)
  • Received : 2017.09.30
  • Accepted : 2017.12.12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dentify the status of the ward of public hospital for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has been expanding on a national scale from 2016 but most of public hospitals are currently unable to operate due to nursing shortage. In this study 8 wards of public hospital have been chosen and analyzed. The measure of space program and area distribution(patient area percentage, staff area percentage, circulation area percentage), nurses's walking distance(distance from ns to patient room, distance from ns to core) were calculated by depthmapX and autocad program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Nurse's walking distance is more than 24m so the efficiency of nurse's patient care is reduced. The percentage of patient area in double-corridor is higher and the patient feels more comfortable but the Nurse's walking distance is longer and the accessibility is lowered. NS should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ward and close to the core but some wards are not composed of proper space-separation and flow of human trrafic is overlapped. This study may serve as basic research for the architectural plan for future integrated nursing care ward.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공단,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표준운영지침, 2016
  2. 이호준 외, 의료시설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12
  3. 국립중앙의료원, 지역거점공공병원 공공보건프로그램, 2015
  4. 국민건강보험, 포괄간호병동 매뉴얼, 2015
  5. 김길채, 이현진, 권준범, 종합병원 병동부 1인 병실 적용에 따른 기능효율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논문집, 제21권, 4호, 2015
  6. 김길채, 최광석, 종합병원 병동부 간호행태를 고려한 건축계획적 연구,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논문집, 제5권, 9호, 1999
  7. 김진현, 김성재, 박은태, 정수용, 이은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운영성과 및 향후 정책방향, 간호행정학회지, 제23권, 3호, 2017
  8. 김명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사업지침에 따른 병동부 시설현황과 개선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석사논문, 2017
  9. 김영욱, Space Syntax의 이해와 병원건축 계획 및 설계에의 적용,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논문집, 제7권, 12호, 2001
  10. 김윤, 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이후 병원감염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의료정책과 의료이용문화 개선, 대한의사협회지, 제58권, 7호, 2015
  11. 대한병원협회, 의료양극화 해소를 위한 정책토론회, 2016
  12. 보건복지부, 지역거점 공공병원 병동부 건축계획 기준 개발, 2013
  13. '보호자가 필요없는 병원' 시범사업의 성과와 교훈, 그리고 정책과제, 병원경영학회지, 제19권, 3호, 2014
  14. 이규인, 공간구문모델에 의한 단지계획에 대한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80권, 6호, 1995
  15. 이현지, 채철균, S 공공병원 포괄간호병동 내 공간 이용 및 동선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논문집, 제21권, 1호, 2015
  16. 정선애, 김형우, 종합병원 병동부의 간호사 대기실 및 관련공간의 효율적인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8권, 18호, 1999
  17. 조영진, 인간시지각에 기초한 공간분석모델 개발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2009
  18. 국민건강보험공단(www.nhis.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