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ttitude to Death, Perception and Educational Training Needs on the End-of-Life Care on Caregiver

요양보호사의 죽음에 대한 태도, 임종간호 인지 및 교육요구도

  • Received : 2017.10.19
  • Accepted : 2017.11.22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Purpose : The current study objective was to determine the attitudes of nursing students to death, perception of end-of life care, and perceptions of educational training needs in relation to the provision of end-of life care, and to apply the results to the development of an efficient and effective education program in this regard. Method :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between March and April 2017, and was achieved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a questionnaire to 124 caregivers working in a nursing home in C. A self-report instrument was used to measure nursing attitudes to death, perceptions of end-of-life care, and perceptions of educational training needs in relation to the provision of end-of-life ca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R) Statistics for Windows(R)(version 21.0), and were calculated was whole numbers, percentages, $mean{\pm}standard$ deviation,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 The average scores obtained were 2.85 out of a maximum of 4.00, 2.14 out of 4.00, and 2.42 out of 4.00, for attitudes to death, perceptions of end-of-life, and perceptions of educational training needs in relation to the provision of end-of-life care, respectively.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ttitudes to death and perceptions of end-of-life care, and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erceptions of end-of-life care and educational training needs in relation to the provision of end-of-life care. Conclusion :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is necessary to ensure positive attitudes to death in nursing students and improve their perceptions about end-of-life care. Further research is also warrant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such a program in this regard.

Keywords

References

  1. 강기선(2006). 간호과 학생의 죽음의식, 호스피스 인지도, 태도 및 간호요구도 비교. 論文集-논문집편집위원회, 29, 11-25.
  2. 강종덕(2009). 노인요양시설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초당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권소희, 양성경, 박명희 등(2008). 간호사를 위한 호스피스 연수교육 요구도 조사.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11(3), 147-155.
  4. 국민건강보험공단(2017). 2016 노인장기요양보험 통계 연보 발간. http://www.nhis.or.kr/bbs7/boards/B0039/24107
  5. 김광기(2003). 종교인과 비종교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정의감 지각 차이.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미애(2010). 요양보호사의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죽음준비교육 요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보람(2013). 노인요양시설 근무 요양보호사의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8. 김성은(2011). 죽음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식과 임종간호 수행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김신미, 김기숙, 이인숙 등(2013). 중년기 성인의 사전의료 의향서, 호스피스완화의료, 연명치료에 대한 인식.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37, 21-44.
  10. 김은희, 이은주(2009). 죽음준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와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39(1), 1-9. https://doi.org/10.4040/jkan.2009.39.1.1
  11. 김정희(2006).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영적안녕과 죽음에 대한 태도의 관계.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김정희, 이현경(2012). 암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인지 및 교육요구도.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15(4), 205-211.
  13. 김진, 이서영(2013). 노인요양시설 케어인력의 역할 및 역량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3(2), 243-273.
  14. 박석춘(1992).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죽음의식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2(1), 68-80.
  15. 보건복지부 & 건강보험심사평가원(2015). 완화의료 건강 보험적용, 요양 급여비용 및 실무 안내. http://www. moh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PAR_ MENU_ID=03&MENU_ID=0320&CONT_SEQ=324979 &page=1
  16. 이귀량(2016). 요양보호사의 교육만족도와 업무활용도.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이영옥(2012). 중환자실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지정도와 교육요구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이여진, 강현숙, 권성복 등(2010). 요양보호사 양성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요양보호사의 평가, 대한간호학회지, 40(6), 872-881. https://doi.org/10.4040/jkan.2010.40.6.872
  19. 이지수(2015).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임종간호태도 및 죽음인식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이현지(2015). 요양시설 사회복지사와 요양보호사의 죽음 태도와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임종보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지, 52, 31-51.
  21. 이평화(2016).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노인 죽음 경험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2. 조계화, 김연자(2013). 간호사의 품위 있는 죽음태도와 도덕적 민감성 정도가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16(4), 233-231.
  23. 조현, 임희영(2017). 일개요양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서비스의 직종별 행위 분석; 후향적 의무기록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8(4), 570-577.
  24. 정현정(2016).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의 임종케어 제공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교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최은숙, 유양숙, 김현숙 등(2006). 간호사를 위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과정 개발.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9(2), 77-85.
  26. 홍세영(2011).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가 인식하는 돌봄 노동의 의미와 특성. 노인복지硏究, 51, 165-190.
  27. Ajzen I, Fishbein M(1977). Attitude-behavior relations: a theoretical analysis and review of empirical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84(5), 888-918. https://doi.org/10.1037/0033-2909.84.5.888
  28. Black K(2005). Social workers' personal death attitudes, experiences, and advance directive communication behavior. Journal of Social Work End-of-Life & Palliative Care, 1(3), 21-35. https://doi.org/10.1300/J457v01n03_03
  29. Braun M, Gordon D, Uziely B(2010). Association between oncology nurses' attitudes toward death and caring for dying patients. Oncol Nurs Forum, 37(1), 43-39. https://doi.org/10.1188/10.ONF.E43-E49
  30. Thorson JA, Poweell FC(1988). Elements of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death. J Clin Psychol, 44(5), 691-701. https://doi.org/10.1002/1097-4679(198809)44:5<691::AID-JCLP2270440505>3.0.CO;2-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