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Downlink Capacity based on the Visibility Analysis between KPLO and KDSA/DSN

시험용 달 궤도선과 KDSA 및 DSN 간 가시성 분석을 통한 다운링크 용량 연구

  • Received : 2016.09.13
  • Accepted : 2016.09.30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KARI(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has been developing the KPLO(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 for Korean first lunar exploration, and analysing various subjects for the mission success. Especially the performance of the communication is one of important factors, because massive scientific and technical data acquired by multiple payloads might be transferred to ground stations on the Earth. In this paper, we explained the study on the 1-day average downlink capacity based on the visibility analysis between ground stations and KPLO, and described its results.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한국 최초의 달 탐사를 위한 시험용 달 궤도선을 개발하고 있으며, 임무 성공을 위해 다양한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각 탑재체를 통해 획득된 과학 및 기술 데이터를 지구로 전송하기 위해 통신 성능이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판단된다. 본 논문에서는 지상국과 궤도선 간의 가시성 분석을 통해 하루 평균 전송 가능한 다운링크 용량에 대한 연구 내용을 설명하고, 그 결과에 대해 정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신현진, 김희경, 2016. 7, KPLO System Requirement Review Mechanical System,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 431-OPS-000042 LRO Mission Concept of Operations, NASA Goddard Space Flight Center, Nov. 2006.
  3. 민승용, 2016. 7, KPLO System Requirement Review Mission Concept of Operations, 한국항공우주연구원.
  4. 최수진, 김인규, 문상만, 김창균, 류동영, "지구-달 전이궤적 및 임무 궤도에서 궤도선과 지상국의 가시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우주학회지 제 44권 3호, pp. 218-227, 2016. https://doi.org/10.5139/JKSAS.2016.44.3.218
  5. https://www.agi.com/products/stk/
  6. http://deepspace.jpl.nasa.gov/about/DSNComplexes
  7. https://www.openstreetmap.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