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rrangement and Configuration of Acoustic Output Equipment according to Type of Church Broadcast Sources

교회 방송음원의 종류에 따른 음향출력 설비 구성 배치에 관한 연구

  • 박은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매체공학과) ;
  • 이선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전자IT미디어공학과)
  • Received : 2016.09.12
  • Accepted : 2016.09.26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In this paper, by comparatively analyzing horn type speaker and line array type speaker developed based on line sound source theory and point sound source theory, we research whether theory is adaptable or not in real. Academically, point sound source is attenuated as much as 6dB in accordance with double distance and line sound source is attenuated as much as 3dB in accordance with double distance. Line array speaker system developed based on line sound source is analyzed by theory of line sound source about occurring small sound pressure attenuation and it is propose of research that array composition of right speaker is selected in accordance with use purpose and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we analyze theory of point sound source and line sound source. we analyze parameter value by simulating designed horn type speaker and line array speaker based on theory.

본 연구는 선음원과 점음원의 이론에 근거하여 개발된 혼타입 스피커와 라인어레이 타입 스피커에 대해 비교분석하여 실제에서 이론대로 적용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론적으로 점음원은 거리가 2배 됨에 따라 6dB 감쇄하며, 선음원은 거리가 2배 됨에 따라 3dB 감쇄한다. 선음원 이론에 근거하여 개발된 라인어레이 스피커 시스템이 선음원의 이론대로 작은 음압감쇄가 일어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여 사용 목적과 환경에 따른 올바른 스피커의 배열 구성이 선택되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점음원과 선음원의 이론을 분석하였으며, 이론을 바탕으로 설계된 혼타입 스피커와 라인어레이 스피커를 시뮬레이션으로 파라메터 값들을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훈 (2013). "음향시스템의 기초", 사운드미디어. pp. 204-205
  2. 장호준. (2007). "음향시스템 핸드북 3.1", SRM(에스알엠). pp. 154-157
  3. A Harman International Company. (1999). "Sound System Design Reference Manual", pp. 2-1-2-6, pp. 5-11
  4. 강성훈. (2013). "음향시스템의 기초", 사운드 미디어, p.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