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석실로 본 나주 복암리 세력과 주변 지역의 동향

The Character of Bogamni group and trends in the surrounding area seen through the stone chamber

  • 김낙중 (전북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 투고 : 2015.12.28
  • 심사 : 2016.02.01
  • 발행 : 2016.03.30

초록

이글에서는 최근에 영산강유역권 및 서남해 도서에서 발굴조사된 횡혈식석실을 나주 복암리 고분군의 석실과 비교하여 영산강유역 중핵지역의 유력세력인 복암리 집단의 성격과 영산강유역권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복암리 고분군에 처음 축조된 석실은 북부규슈계(北部九州系)의 영산강유형 석실이다. 그런데 최근 조사가 진전되면서 그러한 석실의 조영에 이어지는 흐름이 이미 서남해안의 연앙항로를 따라 5세기 전 중엽에 축조된 왜계 고분에서부터 보이고 있다. 즉, 백제와 왜의 통교 이후 서남해안을 통한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연안항로의 중요성과 관련하여 섬이나 해안가에 왜계 수혈식 고분이 축조되었다. 처음에는 부장품도 왜계 일색이었으나 점차 그런 고분이 축조된 지역 내에 현지의 묘 장제 요소가 가미된 고총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그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당시 내해에 해당하는 영산강 하구의 바닷가에 위치한 영암 옥야리 장동 1호분이다. 그런데 이와 흡사한 매장시설을 사용한 고분이 5세기 중엽경에 나주 복암리 고분군과 인접한 곳에 축조되었다. 나주 가흥리 신흥 고분이 그것인데 이 고분의 축조에 복암리 집단이 직접적으로 관여하였는지는 밝히기 어려우나 지리적인 인접성이나 동일한 원통형토기편이 발견된 점으로 보아 밀접한 관련이 있었음은 분명하다. 신흥 고분은 영산강 본류 가까운 저평구릉의 말단이나 섬에 위치하여 5세기 전 중엽 서남해안 일대에 축조된 왜계 고분과 유사한 배경, 즉 해로 혹은 수로의 이용이나 장악과 관련하여 입지가 선정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그런데 다음 단계에는 복암리 고분군과 동일한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생각되는 정촌 고분에서 영산강유형 석실이 매장시설로 사용되어 이러한 내륙수로 이용의 주도권이 복암리 집단으로 넘어갔을 것으로 여겨진다. 정촌 고분의 축조는 복암리 집단의 급격한 성장의 배경을 보여준다. 이후 복암리 집단은 복암리 3호분 '96석실을 시작으로 7세기까지 고분군을 지속적으로 조영하여 영산강유역에서 주도적인 세력으로 번성하였다. 사비기에 백제의 직접적인 지배 아래 들어간 이후에도 왜와의 밀접한 관계를 지속하며 영산강유역은 물론 서남해 항로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 그것은 신안의 여러 섬들에서 발견된 복암리유형 석실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

This article studied the character of Bogamri group and trends in the surrounding area through recently excavated stone chambers. The first type of stone chamber constructed at Bogamni cemetry was Northen Kyushu style stone chamber tomb with corridor. However, According to recent survey Wa style vertical stone lined tomb had constructed earlier than these stone chamber along the southwest cost. It is likely that the background of these Wa style stone tomb was the beginning of formal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Baekje and Wa. At first, grave goods as well as burial had been Wa style, but gradually local burial element and mortuary practices added. And large tomb had beginning to appear. The representative tombs are Yeongam Okyari Jangdong tomb and Naju Gaheugni Shinhueng tomb. They were built in the middle of the fifth century. It is most likely that the location was selected with regard to the use or securing of inland waterway. But the next step, Yeongsangang river style stone chamber with corridor had constructed at Jeongchon tomb. That tomb is very close to Bogamni tombs and structure and grave goods are very similar also. So these two groups were considered to be the same community. Hereby, It is believed that the inland waterway using power had been turned over to Bogamni group. Bogamni group had constantly constructed stone chamber until seventh century. This represent that Bogamni group had thrived as a leading force in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After under the direct control of Baekje, Bogamni group had continued the close relationship with Wa. For this reason, Bogamni group had influenced southwest cost as well as Yeongsangang river basin. It can be estimated by the Bogamni style stone chamber founded at islands of Shinan.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4a, 영암 옥야리 방대형고분 제1호분 발굴조사보고서(분구)
  2.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4b,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 2차 발굴조사 약보고서
  3.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2, 영암 옥야리 방대형고분 제1호분 발굴조사보고서
  4. 권택장, 2014, 고흥 야막고분의 연대와 등장배경에 대한 검토 고분을 통해 본 호남지역의 대외교류와 연대관(제1회 고대 고분 국제학술대회),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5. 김경수, 2001, 榮山江流域의 景觀變化 硏究,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낙중, 2014, 방형.원형 고분 축조기술 영산강유역 고분 토목기술의 여정과 시간을 찾아서(대한문화재연구원 2014 하반기 국제학술대회), 대한문화재연구원
  7. 김낙중, 2013, 5-6세기 남해안 지역 倭系古墳의 특성과 의미 湖南考古學報 45, 湖南考古學會
  8. 김낙중 2009a, 영산강유역 고분 연구, 학연문화사
  9. 김낙중 2009b, 백제 사비기 횡혈식석실의 확산 및 지역성의 유지-영산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 71, 한국고고학회
  10. 김낙중, 2008, 榮山江流域 初期橫穴式石室의 登場과 意味 湖南考古學報 29號, 湖南考古學會
  11. 대한문화재연구원, 2015, 고창 칠암리고분 학술발굴조사 약보고서
  12. 동신대학교문화박물관, 2013, 함평 마산리 표산 1호분 학술발(시)굴조사 자문위원회 및 현장설명회 자료
  13. 문안식, 2014, 백제의 해상활동과 신의도 상서고분군의 축조 배경 전남 서해안지역의 해상교류와 고대문화(전남문화재연구소 연구총서1), 혜안
  14. 박진일, 2012, 金海 良洞里 遺蹟, 國立金海博物館
  15. 서현주, 2014, '나주 가흥리 신흥고분의 대외 교류상과 연대관'에 대한 토론요지 고분을 통해 본 호남지역의 대외교류와 연대관, 국립나주 문화재연구소
  16. 이영철.임지나, 2015, 羅州 佳興里 新興古墳, 문화재청.한국문화재재단.대한문화재연구원
  17. 이영철, 2014a, 백제의 지방지배-영산강유역 취락자료를 중심으로- 2014 백제사 연구 쟁점 대해부(제17회 백제학회 정기발표회), 백제학회
  18. 이영철, 2014b, 나주 가흥리 신흥고분의 대외교류상과 연대관 고분을 통해 본 호남지역의 대외교류와 연대관,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19. 이정호.이수진.기진화.윤효남, 2015, 신안 안좌면 읍동.배널리 고분군, 동신대학교 문화박물관
  20. 이정호, 2014, 신안 배널리고분의 대외교류상과 연대관-신안 배널리고분의 연대와 축조배경을 중심으로- 고분을 통해 본 호남지역의 대외 교류와 연대관(제1회 고대 고분 국제학술대회),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1. 임영진, 2011, 나주 복암리 일대의 고대 경관 湖南文化財硏究 10, 湖南文化財硏究院
  22. 조근우.박미라.박영훈.허재원.백웅기.박선희.전숙진, 2015, 新安 上台西里 上西古墳群, 馬韓文化硏究院
  23. 조미순, 2001, 榮山江流域 橫穴式石室墳의 變遷 硏究,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홍보식, 2009, 횡구식석실 韓國考古學專門事典 古墳篇, 國立文化財硏究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