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ormation of Taesil of Royal Family in Yecheon Area and Its Significance in the Light of Local History

예천지역 왕실의 태실조성과 지역사적 의의

  • Received : 2016.02.23
  • Accepted : 2016.05.02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significance of Taesil (Placenta Chamber) of royal family in the light of local history by examining the background that Yecheon area had been selected as building site of Taesil of Joseon and Goryeo dynasties and local correlation. In this study, Taesil in Yecheon area was formed at the area between Mt. Sobaek and Geumdangsil village which was promoted with the support of the royal family and given the responsibility of preserving Taesil as soon as Taeju (Owner of Placenta) was enthroned. It is because the formation of Taesil of royal family was an important event in the region, which strengthened the status of the region with the enthronement of Taeju. As shown in the case of Deposed Queen Lady Yun, Taesil of royal family was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birthplace of Taeju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evant area and royal family. Also as in the Case of King Jeongjo, this study says that the selection of Taesil site could be considered as the object of filial piety.

이 연구는 예천지역이 고려와 조선왕조의 태실로 이용되었던 배경과 지역적 연관성을 살펴봄으로써 왕실 태실이 지니는 지역사적 의의를 찾고자 한 것이다. 이 연구로 예천지역의 태실은 소백산에서 금당실마을 사이 권역의 돌혈에 해당하는 곳에 조성되었으며, 해당 고을은 태주의 즉위와 더불어 승격되어 왕실의 지원과 보전관리의 책임이 부여되었다. 왕실의 태실조성은 지역의 중요한 사건으로, 지역민들은 태주의 왕위등극과 함께 지역의 위상을 강화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다. 왕실의 태실지 선정은 폐비윤씨의 사례와 같이 태주의 출생지, 지역과 왕실 간의 관계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정조의 사례와 같이 효행의 대상물로서 인식되었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高麗史
  2. 三國史記
  3. 承政院日記
  4. 新增東國輿地勝覽
  5. 日省錄
  6. 朝鮮王朝實錄
  7. 竹溪誌
  8. 胎封謄錄(奎12893),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2006, 국역태봉등록
  9. 豊基郡誌 : 1899
  10.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2008, 조선왕실의 태봉, 국립문화재연구소
  11.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2006, 국역태봉등록
  12.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1999,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3. 김만중, 2001, 강릉 모전리 정복태실비와 성종의 자녀에 대하여 박물관지 제7호, 강원대학교
  14. 김상환, 2006, 조선왕실의 원자아기 안태의궤 및 태실석물 개보수와 가봉 관련 의궤 조선왕실의 안태와 태실관련의궤, 국립문화재연구소
  15. 김영진, 1997, 청원 산덕리 태실 발굴조사 보고 박물관보 10, 청주대학교박물관
  16. 김영진, 1994, 충주 경종태실 소고 -변작과 복원을 중심으로- 박물관보 7, 청주대학교박물관
  17. 김태일, 2012, 조선 초기 왕실의 태실 연구 -경북 성주지역 태실 21기를 중심으로- 백악논총 제7집
  18. 박대윤, 2012, 조선시대 국왕태봉의 풍수적 특징 연구 한국문화 59집, 서울대학교규장각 한국학연구원
  19. 박대윤, 2010, 조선 성종 태봉의 풍수지리적 특징 비교 -초장지와 이장지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33집,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 박채은, 2008, 성종대왕과 후궁 명빈김씨: 경숙옹주 태실과 관련하여 울산문화연구 제1호
  21. 송석하, 1993, 旅와 傳說 제6권 제7호, 誕生과 葬禮號, 三元社
  22. 심현용, 2015, 조선시대 태실의 입지에 대한 재검토 대구사학 제118집
  23. 심현용, 2014, 조선 초 영주 소헌왕후 태실의 조성과 구조 복원 영남고고학 68호, 영남고고학회
  24. 심현용, 2012, 조선 단종의 가봉태실에 대한 문헌.고고학적 검토 문화재 제45권 제3호, 국립문화재연구소
  25. 심현용, 2010, 성주지역 태실과 생명문화관 전시방안 세종대왕자태실 생명문화관 컨텐츠 및 전시 방향 모색을 위한 전문가 초청 학술세미나, 성주군
  26. 심현용, 2010, 조선왕실 태실석함의 현황과 양식변천 문화재 제43권 제3호, 국립문화재연구소
  27. 심현용, 2006, 조선시대 아지태실비의 양식과 변천 미술자료 제75호, 국립중앙박물관
  28. 심현용, 2005, 대구 광해군태실 고 향토문화 제20집, 대구향토문화연구소
  29. 심현용, 2005, 성주 세종대왕자 태실 연구 박물관연보 2, 강릉대학교박물관
  30. 심현용, 2004, 광해군태실에 대하여 강원문화사연구 제9집, 강원향토문화연구회
  31. 심현용, 2001, 울진지역 태실에 관한 시고 고문화 제57집, 한국대학박물관협회
  32. 용문사 편, 2006, 용문사성보유물관 개관 도록
  33. 윤석인, 2010, 조선왕실 태항아리 변천 연구 고문화 제75집, 한국대학박물관협회
  34. 윤석인, 2000, 조선왕실의 태실석물에 관한 일연구 -서삼릉 이장 원 태실을 중심으로- 문화재 33, 문화재관리국
  35. 이문건, 2000, 양아록, 태학사
  36. 이재완, 2013, 경북 예천지역 태실에 관한 일고찰 고궁문화 제6호, 국립고궁박물관
  37. 예천군 편, 2005, 예천군지 상, 예천군지편찬위원회
  38. 예천군, 1992, 예천촌락사, 예천군
  39. 전주이씨대동종약원 편, 1999, 조선의 태실 I.II.III
  40. 주영하, 2005, 조선왕실의 출산 풍속 조선왕실의 출산 문화, 이화문화사
  41. 최호림, 1985, 조선시대 태실에 관한 일연구 한국학논집 7, 한양대학교한국학연구소
  42. 홍성익, 2015, 조선전기 왕비 가봉태실에 관한 연구 사학연구 제117호
  43. 홍성익, 2008, 홍천 공작산 정희왕후 태실지 위치비정 강원문화사연구 제13집
  44. 홍성익, 2004, 원주시 대덕리 태실에 대하여 강원문화사연구 제9집, 강원향토문화연구회
  45. 홍성익, 1998, 강원지역 태실에 관한 연구 강원문화사연구 제3집, 강원향토문화연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