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ity Desirable for Living, A Sustainable Community - Sustainable Development and Housing Viewed through Urban Hanok Residential Areas and Hanyangdoseong Neighborhood Village in Seoul -

살고 싶은 도시, 지속가능한 공동체 - 한옥주거지와 성곽마을을 통해 본 지속가능한 개발과 주거 -

  • 김영수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 Received : 2016.07.18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In many cities in the East and West during the modern period, historical resources were perceived as obstacles to urban development and were treated as deficiencies calling for development. Korea underwent a process of drastic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lmost unprecedented in modern history. In this process of turmoil, cities expanded rapidly and went through a series of changes. City development followed a repeated cycle in which resources were concentrated in the city area, which, in turn, led to further development. However, such method of development is reaching its limits. In order to make a city desirable for living, it is crucial to make an effort to build a sustainable city environment where life and history coexist harmoniously. It is now time to consider how to carry forth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city wher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coexist. If so, how will the future of our cities look and the form of housing change? To answer this question, we examined Urban Hanok Residential Areas and Hanyangdoseong neighborhood village, which went through rapid changes in the modern period. The Hanok, which was a commonplace sight in the past, has been perceived as an underdeveloped form of housing, easily targeted for redevelopment only a few years ago; so was the case with Hanyangdoseong neighborhood village. Yet now these are being revalued as sustainable housing areas able to coexist with the history of the city. That is, through restoration, their potential of contributing to the history and identity of the city is gaining recognition. In this regard, it holds great implications for us to look at the changes that traditional Korean housing areas and castle villages have undergone.

근대기 동서양의 많은 도시들은 역사유산을 도시발전을 저해하는 장애물로 생각하고 개발 또는 개선의 대상으로 삼아왔다. 특히 급격한 개발과 성장을 경험했던 도시에서 개발과 역사유산의 보존은 서로 상충될 수밖에 없는 문제로 인식되었다. 우리 주변의 도시들은 끊임없이 변하고 있으며 변화의 과정에서 많은 역사와 기억을 잃어버리곤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의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그 이유는 지속가능성은 도시의 생명력과 밀접한 관련을 갖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은 근대기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급격한 도시화, 산업화를 겪었다. 이러한 격랑 속에서 유무형의 자원이 도시로 집중되고 개발로 이어지는 순환이 반복되었다. 하지만 더 이상 과거와 같은 도시개발은 삶과 역사가 조화롭게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드는데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제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가 공존하는 도시에서 지속가능한 개발이 어떻게 전개되어야 하는지 생각해 봐야할 시점이 되었다. 그렇다면 우리 도시의 미래는 어떤 모습이고 주거지는 어떻게 변화될 것인가. 이를 위해 본 글에서는 근대기 급격한 변화를 겪었던 한옥주거지와 성곽마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과거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었던 한옥은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낙후된 주거유형으로 인식되어 쉽게 재개발의 대상이 되곤 했다. 성곽마을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현재 이들 오래된 주거지는 도시의 역사와 공존하며 지속가능한 주거지로서의 가능성을 재평가받고 있다. 즉 재생을 통해 도시의 역사 및 정체성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한옥주거지와 성곽마을 변화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세계적인 역사도시들은 근대기 이후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의 격변 속에서도 역사유산을 온전히 지켜왔다. 그로인해 도시에 담긴 다양한 역사적 증거와 유무형의 가치를 지킬 수 있었다. 역사유산을 보존하는 것은 물리적 형태를 유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속에 담긴 다양한 역사문화적 가치를 계승하고 이러한 가치를 시공간을 뛰어넘어 함께 공유하는 것이다. 도시는 역사성, 집단성, 현실성을 가지며 삶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물리적 형태 및 환경이 사라지면 그 안에 담긴 내용도 함께 사라지고 단절된다. 우리의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역사유산을 보전하면서 도시의 생명력을 유지하는 지혜가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중 외, 2001, 서울 20세기 공간변천사, 시정개발연구원
  2. 김영수.조준범, 2016, 서울 안암동 도시한옥의 내외부 공간변화 양상에 대한 고찰 대한건축학회연합회논문집 18권 3호
  3. 김영수, 2013, 지도를 통해 본 한양도성 주변 주거지의 형성과 변화 한국고지도연구 제5권 제2호
  4. 김영수, 2006, 서울 북촌의 역사경관보전정책 변천에 따른 건축물 변화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제15권 3호
  5. 서울시, 2014, 한양도성 주변 성곽마을 보전관리 종합계획
  6. 송인호.김영수.조은주, 2009, 서울 북촌 한옥의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학회 제18권 2호
  7. 신경미.진태승, 2012, 기존 한옥의 보존관리를 위한 제도개선 및 정책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8. 염복규, 2009, 일제하 경성도시계획의 구상과 시행,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조준범.최찬환, 2003, 필지분합을 통해본 서울 북촌 도시조직의 변화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9권 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