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Development Fee for Archaeology and Suggestions

매장문화재부담금제도의 도입 필요성과 방안

  • Received : 2016.07.18
  • Accepted : 2016.08.17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major problems of the present Korean management system of archaeology and to seek desirable suggestions in order to pursue the sustainable harmony between the recovery of academic excavations and economic development. In order to continue the sustainable harmony between preserving the values of archaeological resources as limited pure public goods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present system of developer's payment for archaeology must be replac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development fee for archaeology. The excavation of archaeological resources have been done according to the market principle, that is, the lower price principle. But the principle has produced a lot of serious problems in the Korean management system of archaeology, which must result in the market failure. So the governmental intervention is urgently required. By introducing the development fee, the archaeological field units and the developers can avoid direct contact. Instead, the Heritage Management Office will operate the excavation fund raised by the development fee for archaeology in order to avoid low-price contracts, degrading excavation quality, and other related residents' complaints and social conflicts in advance. In addition, the budget for purchasing the preserved excavation sites, which are the source of the landowners' enormous complaints, must be allocated to the Heritage Management Office by the Ministry of Planning and Finance. More budget for small-sized excavations must be allocated as well in order to solve many residents' complaints. These budget increase will be the fundamentals to decrease the residents' big complaints and social conflicts in relation with the archaeological management, which will be a challenge of the Korean government. Along with the governmental efforts, the archaeological field units must do their all-out efforts to overcome many problems in excavation including low-price contracts. Finally, the wage system and working status system must be revised. Excellent young excavators must be recruited appropriately and continue to work in a safe psychological condition, which are the basis to guarantee high-quality excavation.

매장문화재의 가치를 유지시키면서 개발과의 조화를 지속가능하게 하려는 관점에서 현재의 매장문화재발굴제도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대안을 찾아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순수공공재이면서 제한된 문화자원이라고 할 수 있는 매장문화재의 가치를 지속가능하게 보호하고 개발과의 조화를 이루게 하려면 발굴법인과의 발굴계약을 통해 개발자에게 직접 발굴비용을 부담하게 하는 현행제도를 바꾸는 것이 필요하다. 순수공공재인 매장문화재를 그 동안 시장의 원리에 맡겨 조사해왔는데 시장실패양상을 보여줌으로 적극적인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 방식이 매장문화재부담금제도의 도입이다. 발굴법인과 개발자의 직접적 접촉을 방지하고 문화재청의 관리 속에서 매장문화재부담금으로 확보된 재원으로 매장문화재의 발굴이 진행되게 되면 저가수주, 발굴의 질 하락, 민원과 사회적 갈등과 같은 매장문화재 발굴과 관련된 많은 문제가 사전에 해결될 것이기 때문이다. 매장문화재부담금제도의 도입을 통해 매장문화재발굴제도와 보호제도를 개선하면서 민원을 사전적으로 크게 줄이기 위해서는 민원의 폭탄이 되는 '발굴보존문화재 존치구역에 대한 토지매입예산'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것이 가능하도록 기획재정부는 문화재청에 예산을 배정해 주어야 한다. 소규모국비발굴예산의 대폭확충을 통한 개별민원의 감소도 모색되어야 한다. 매장문화재의 발굴과 보존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매장문화재에 대해 민원을 가진 주민이 줄어들 수 있도록 정부는 그 토대를 놓아주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저가 입찰, 부실 발굴 등에 대한 발굴법인의 자정(自淨)노력도 이루어져야 하고 우수한 발굴조사인력의 이직방지와 양성을 위한 임금체계와 근로신분체계의 제도보완이 요망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권구, 2013a, 우리나라 문화재정책의 획기적 전환 필요성 -발굴제도, 문화재관련 민원의 획기적 해소방안, 문화재뉴딜정책(Heritage New Deal Policy)을 중심으로- 문화재 관리체계 개선 워크숍, 문화재청
  2. 김권구, 2013b, 국민행복시대를 여는 향후 50년 문화재 정책 방향 문화융성시대, 문화재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과 실행을 위한 세미나, 문화재청
  3. 김권구, 2009, 내셔널리즘을 넘어서 -신뢰성 있고 타당성 있는 고고학지식의 구축을 위하여- (공동주제발표 토론문) 동아시아의 고고학연구와 내셔널리즘 (제52회 전국역사학대회 고고학부 발표자료집), 한국고고학회
  4. 김종승, 2015, 문화재청의 발굴 보존유적 관리체제 개선방향 보존조치유적 제도개선 모색을 위한 워크숍, 한국고고학회.(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5. 김종일, 2015, 해외 보존유적의 관리 및 활용실태 보존조치유적 제도개선 모색을 위한 워크숍, 한국고고학회.(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6. 문화재청, 2016a, 문화재연감
  7. 문화재청, 2016b, 문화재청 주요업무통계자료집(2016년 3월)
  8. 문화재청, 2015, 문화재연감
  9. 문화재청, 2014, 문화재연감
  10. 문화재청, 2013, 문화재연감
  11. 문화재청, 2012, 선사유적 보존.정비관리방안연구
  12. 문화재청 발굴제도과, 2015,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령집
  13. 박종섭, 2015, 국내 발굴유적의 보존사례와 개선방안 보존조치유적 제도개선 모색을 위한 워크숍, 한국고고학회.(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14. 배기동, 2006, 문화유산과 자연유산 보존과 활용의 현재와 미래 문화유산가 자연유산 -현실과 미래 비전-, 주류성출판사
  15. 신종환, 2015, 대구 달서지역 선사유적의 활용과 문화콘텐츠 구축방안 달서지역 선사유적의 역사적 의미와 문화적 가치, 대구광역시 달서구.세종문화재연구원
  16. 이준우, 2015,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개선방향 보존조치유적 제도개선 모색을 위한 워크숍, 한국고고학회.(사)한국매장문 화재협회
  17. 이청규, 2006, 매장문화재의 발굴조사와 보존활용 문화유산과 자연유산 -현실과 미래 비전-, 주류성출판사
  18. 장호수, 2013, 문화재 보존관리 체계 전환을 위한 제언 문화재 관리체계 개선 워크숍, 문화재청
  19. 채미옥, 2013a, 역사문화환경의 보전 및 관리제도의 개선과제 문화재 관리체계 개선 워크숍, 문화재청
  20. 채미옥, 2013b, 국토의 문화적 품격 제고를 위한 역사문화유산 관리체계의 개선방안 문화융성시대, 문화재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과 실행을 위한 세미나, 문화재청
  21. 최민정, 2016, 매장문화재 보호정책의 어제와 오늘, 진인진
  22. 최병현, 2015, 신라왕성: 세계유산 경주 월성의 조사.연구와 정비.복원의 방향 경주월성 조사와 세계유산의 발굴 정비 사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3. 최종규, 2015, 국내 보존유적 정비 및 관리방안 보존조치유적 제도개선 모색을 위한 워크숍, 한국고고학회.(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24. 한국매장문화재협회, 2015, 2014년도 한문협 회원기관 매장문화재 조사 편람
  25. 禰宜田 佳男, 2014, 일본에서의 매장문화재 가치인식과 사회적 갈등관리 매장문화재의 가치인식과 사회적 갈등관리, 사단법인 한국매장문화재협회
  26. Carman J. 2014, 영국에서의 고고학 : 불완전하지만 효과적인 문화재 관리정책 매장문화재의 가치인식과 사회적 갈등관리 사단법인 한국매장문화재협회
  27. English Heritage, 1997, Sustaining the Historic Environment: New Perspectives on the Future -An English Heritage Discussion Document-(Product Code: XH20047), London
  28. Kim Gwongu, 2006, 'Identity, politics and heritage management in Asia' In Living with Cultural Heritage -Asia, perspectives at changing period: Theories and outlines-(Proceedings - Fourteenth Seminar on the Conservation of Asian Cultural Heritag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Cultural Properties, Tokyo
  29. Pugh-Smith J. and Samuels J., 1996,Archaeology in Law, Sweet & Maxwell, London.
  30. Trigger B., 1995, 'Romanticism, nationalism, and archaeology', In (eds.) P. L. Kohland and C. Fawcett, Nationalism, Politics, and Practice of Archae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Westphal J., 2014, 덴마크의 매장문화재 관리 매장문화재의 가치인식과 사회적 갈등관리 사단법인 한국매장문화재협회
  32. Willems W. J. H., 2014, 문화유산과 갈등:공생적 동반관계 매장문화재의 가치인식과 사회적 갈등관리 사단법인 한국매장문화재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