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rrelations and Comparison among Swallowing Function, Dietary Level, Cognitive Function, Daily Living according to Characteristic in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삼킴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특성에 따른 삼킴기능, 식이수준, 인지기능, 일상생활의 비교 및 상관관계

  • Moon, Jong Hoo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Gachon University) ;
  • Kim, Kye Ho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achon University) ;
  • Won, Young Sik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Shinsung University)
  • 문종훈 (가천대학교 보건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 김계호 (가천대학교 보건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 원영식 (신성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16.08.31
  • Accepted : 2016.12.24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swallowing function, dietary level, cognitive function, daily living, and comparison for general characteristics in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Subjects of this study participated to 56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Outcome measures is evaluated by Functional Dysphagia Scale(FDS), and Ameri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National Outcomes Measurements System(ASHA NOMS), and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MMSE), and Korean Modified Barthel Index(K-MBI). Collected all data analyezed to independent t test for four assessment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for four assessments. Results of study, swallowing function according to lesion location differed significantly(p<.05).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onset duration differed significantly(p<.05). Age of subjects and dietary level, cognitive func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p<.05). Swallowing function and dietary level, cognitive func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p<.05). Cognitive function and dietary level, daily living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p<.05). Based on current results, we suggest that swallowing rehabilitation for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performed with consideration for cognitive function and characteristic of patients.

본 연구는 삼킴장애를 가진 뇌졸중 환자의 특성에 따른 삼킴기능, 식이수준, 인지기능, 일상생활의 비교와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삼킴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 56명이었다. 결과측정은 기능적 삼키장애 척도(FDS), 미국언어청각협회 삼킴척도(ASHA NOMS),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K-MMSE), 한국판 수정바델지수(K-MBI)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각 평가들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 t 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각 평가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들의 손상위치에 따른 삼킴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발병기간에 따른 인지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들의 나이는 식이수준, 인지기능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삼킴기능은 식이수준, 인지기능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인지기능은 식이수준, 일상생활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삼킴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에 대한 삼킴재활 치료는 환자들의 특성과 인지기능을 고려하여 수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