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a Primary Healthcare Post Obesity Management Program for Middle-Aged Obese Women Living in Rural Areas

농촌 거주 중년 비만여성을 위한 비만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 박춘임 (충청남도 서천군 지원보건진료소) ;
  • 우진주 (경북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16.04.03
  • Accepted : 2016.06.17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nges in body weight (kg) and body mass index (BMI) in middle-aged women following a 12 week exercise program. Methods: The obesity management program for primary health care posts, which consists of exercise therapy and dietary counseling, was provided for obese women aged 40 to 64 (N=15).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women and differences in body weight and BMI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Resul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verage body weight before the program was 65.7 kg, and it was significantly reduced to 63.9 kg after the program (z = -3.41, p = .001). The average level of BMI decreased considerably from 27.9 kg/m2 to 27.2 kg/m2 (z = -3.41, p = .001). Conclus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how a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weight and BMI after the program. Continuous study is needed to develop a variety of obesity management programs for middle-aged obese women. When developing programs regional characteristics need to be considered and there is a ne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원 (2010). 중년 여성의 비만 실태와 체중조절 프로그램에 관한 고찰. 여성연구논총, 25, 153-166.
  2. 김현 (2015). 중년 여성 대상의 지역사회 참여형 비만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9(1), 79-89. https://doi.org/10.5932/JKPHN.2015.29.1.79
  3. 남상남, 안상현, 김종혁 (2008). 레크리에이션 댄수가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7(2), 713-721
  4. 박상갑, 김은희, 권유찬 (2008). 요가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건강체력과 우울증, 스트레스관련지표 및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3(2), 999-1010.
  5. 박석일, 김병준 (2009). 운동 변화단계에 따른 체육수업 재미 및 스트레스.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 48(6), 219-230.
  6. 박영숙, 조동숙, 이은희, 김증임, 신혜원, 정재원 (2012). 여성건강간호학. 서울: 수문사.
  7. 반성민, 이경준, 양정옥 (2012). 비만 중년여성의 복합운동이 대사증후군 지표와 건강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3(4), 703-715.
  8. 보건복지가족부 (2009). 2008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차년도 세종:질병관리본부.
  9. 양윤준 (2000). 2000년도 대한비만학회 연수 강좌\ 비만의 실제적 치료: 비만의 운동요법. 대한비만연수강좌 (단일호), 79-87.
  10. 이윤미, 박형숙 (2004). 중년여성의 운동행위 변화단계, 운동 자기효능감, 우울 및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0(3), 218-225.
  11. 이정애, 신준호, 정은경, 신민호, 김상용 (2004). 농촌지역 중년여성의 생활양식과 갱년기 증상 및관리 수행과의 관계. 한국모자보건학회지, 5(1), 83-96.
  12. 전창후 (2005). 유산소성 운동과 저항성 근력 운동의 복합훈련이 비만 중년 여성의 신체조성 및 혈중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대학원. 창원
  13. 정덕은, 성경미 (2011). 통합 관리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의 갱년기 증상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동서간호학연구지, 17(1), 40-47. https://doi.org/10.14370/JEWNR.2011.17.1.040
  14. 장경태, 한은정 (2001). 중년여성들의 트레이닝 및 트레이닝 중단에 따른 혈중지질 및 신체조성의 변화.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0(2), 135-144.
  15. 천우광 (2006). 중년비만여성의 12 주간 운동 프로그램 수행 후 신체구성과 혈압 및 혈류 맥파속도의 변화. 운동영양학회지, 10(3), 341-345.
  16. 한소연 (2010). 12주간의 복합운동이 중년 비만여성의 신체조성, 건강관련 체력 및 사회적 체형불안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서울.
  17. 한숙희 (2004). 중년 여성의 폐경 증상과 폐경 관리 및 삶의 질.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18. 한홍무, 염태호, 신영우, 김교헌, 윤도준, 정근재 (1986). Beck Depression Inventory의 한국판 표준화 연구. 신경정신의학, 25(3), 487-502.
  19. Cooney, G., Dwan, K., & Mead, G. (2014). Exercise for depressio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311(23), 2432-2433. https://doi.org/10.1001/jama.2014.4930
  20. Kim, E. J., & Hwang, H. J. (2010). Effects of a nutrition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of overweight or obese female adults on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9(1), 78-84. https://doi.org/10.3746/jkfn.2010.39.1.078
  21. Kim, N. J. (2008). Related factors and the symptoms of menopause in male worker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5(4), 29-42.
  22. Sawilowsky, S (2009). New effect size rules of thumb. Journal of Modern Applied Statistical Methods, 8(2), 467-474.
  23. Sim, J. H., Go, D. G., & Yoo, Y. J. (2007). The effect of an obesity control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 level among middle-aged obese women in a health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8(2), 201-210.
  24. Soules, M. R., Sherman, S., Parrott, E., Rebar, R., Santoro, N., Utian, W., et al. (2001). Executive summary: stages of reproductive aging workshop (STRAW). Climacteric, 4(4), 267-272. https://doi.org/10.1080/cmt.4.4.267.272
  25. Whitmer, R. A., Gunderson, E. P., Barrett-Connor, E., Quesenberry, C. P., & Yaffe, K. (2005). Obesity in middle age and future risk of dementia: a 27 year longitudinal population based study. British Medical Journal, 330(7504), 1360. https://doi.org/10.1136/bmj.38446.466238.E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