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ttom-up Approach: the Effects of Performing Arts Fostering Program, Chang-jak-san-shil

상향식접근(bottom-up approach)이론을 이용한 창작산실육성지원사업의 효과연구

  • Kim, InSu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Culture) ;
  • Shin, Hyesun (The Ohio State University, Dept. of Arts Administration, Education, & Policy) ;
  • Lee, Heungjae (Chugye University for the Arts, Graduate School of Culture & Arts Management)
  • 김인설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
  • 신혜선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
  • 이흥재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 Received : 2016.06.30
  • Accepted : 2016.08.22
  • Published : 2016.08.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performing artists in Korea, who are the target beneficiaries of the Arts Council Korea's Performing Arts Fostering Program, Chang-jak-san-shil(CJSS), would perceive and assess the current state of CJSS and its effects. To do so, this paper has adopted a bottom-up approach as a theoretical lens for policy evaluative analysis. This research engages with qualitative research design by conducting a series of in-depth interviews and FGIs with 28 participants in total. The interview participants consist of CJSS grantees(n=21) and peer-review panels(n=7) based on the intension to enhanc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the study.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suggest that the grant program still carries pressing needs to achieve a success as follows: providing post-program support, enhancing transparency of the panel appointment process and the peer review process, reflecting different nature of each arts discipline, and having more open communications with arts professional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will provide and discuss about policy implications which can contribute to the performing arts domain at large.

아무리 좋은 목적을 가진 정책이라도 본래 의도한 결과를 적절한 평가 및 보완과정 없이 단번에 실현하는 경우는 드물다. 이 논문은 '창작산실육성지원사업의 정책대상자인 예술가들은 동 사업의 효과와 문제점을 어떻게 바라보고 평가하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정책집행과정연구의 한 방식인 상향식접근(bottom-up approach)이론을 통해 정책현장의 관점을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연구방법으로 초점집단면접(FGI)과 개인심층면접(PII)을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수집은 2015년 9월부터 약 3달간 진행되었다. 연구참여자는 총 28명으로 창작산실사업을 통해 지원받은 예술가그룹(n=21)과 심사에 참여했던 전문가그룹(n=7)으로 구성하여 직접적인 수혜자가 바라본 정책사업에 대한 인식과 평가를 보다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자료 분석결과, 일부 긍정적인 사업의 성과에 있어 공통의 합의점을 찾을 수 있었으나 작품지원 후 작품에 대한 사후지원, 유통 및 관리, 심의과정에 대한 공정성과 심의위원 위촉과정의 투명성, 단계별 심사의 장르적 특성을 반영한 유연한 설계 및 심의결과 공개를 통한 예술계와의 소통 등이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 도출되었다. 본 논문은 상향식접근이론을 준거로 예술지원사업의 정책대상자를 통해 공공기금의 적절한 운용과 이에 따른 예술계의 발전방향에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제언을 도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