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off-line and on-line fandom activity participation on adolescents' academic time management skills -A multi-level growth curve analysis-

청소년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팬덤 활동이 청소년의 학습시간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다층성장모형의 적용-

  • Jeon, Suah (Dept. of Child Psychology &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
  • Han, Yoonsun (Dept. of Child Psychology &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 전수아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 한윤선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Received : 2016.09.29
  • Accepted : 2016.12.22
  • Published : 2016.12.30

Abstract

Fandom is a meaningful social phenomenon that represents a significant dimension of contemporary Korean youth culture. Previous research, however, has considered fandom as a deviant activity that is negative in nature, and there is scant research on the positive effects of fandom activit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off-line and on-line fandom activity participation on adolescents' academic time management cap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three waves (2010, 2012, and 2014)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middle school cohort; N=2,206 at baseline). Results from the multi-level growth curv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half of the adolescents reported participating in fandom activities, and the majority of them participated in both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Second, adolescents' academic time management capability improved over time. Third, both off-line and on-line fandom activity particip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dolescents' academic time management capability at the baselin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he size of this relationship, however, decreased over time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This study presented the importance of appropriate guidance by adults to develop and promote the positive aspects of fandom activity, and highlighted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that focuses on the positive aspects of fandom activities.

팬덤 문화는 오늘날 한국 청소년 문화의 중요한 측면을 나타내는 의미있는 사회적 현상이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에서는 팬덤 활동을 일종의 일탈적 현상으로 여겨, 청소년들의 팬덤 활동에 대하여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경우가 많았으며, 팬덤 활동의 긍정적인 영향에 초점을 둔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팬덤 활동을 오프라인과 온라인 팬덤 활동으로 구분하여 팬덤 활동 빈도가 청소년 학습시간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영향이 시간의 따라 다른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YPI)에서 실시하는 한국아동 청소년 패널조사(KCYPS)의 중학교 1학년 패널의 1차 년도(2010) 데이터(N = 2,206), 3차 년도(2012) 데이터(N = 2,150), 5차 년도(2014) 데이터(N = 1,911)를 활용하였다. 종속변수를 학습시간 관리능력으로 설정하고, 독립변수를 오프라인 팬덤 활동 빈도와 온라인 팬덤 활동 빈도로, 통제변수를 보호자의 최종학력, 가구 연간소득, 성별, 자아존중감, 학교적응으로 설정한 뒤 다층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변인간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팬덤 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과반수가 넘으며, 오프라인 팬덤 활동과 온라인 팬덤 활동을 병행하는 청소년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청소년의 학습시간 관리능력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적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깃값에서 청소년의 오프라인 팬덤 활동 빈도와 온라인 팬덤 활동 빈도는 학습시간 관리능력과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학교 1학년에서 중학교 3학년, 그리고 고등학교 2학년으로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팬덤 활동이 학습시간 관리능력에 미치는 정적 영향 크기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주요한 문화인 팬덤 활동 및 팬덤 활동의 긍정적 측면에 대한 성인들의 이해와 적절한 개입을 강조하였으며, 학습시간 관리능력 교육의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