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fucians Funeral Rituals during the mid-Joseon Dynasty Lee Mun Geon'Mourning beside His Mother's Grave

이문건 시묘살이를 통해 본 조선중기 유자(儒者)의 상례(喪禮) 고찰

  • 조은숙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Received : 2016.09.13
  • Accepted : 2016.10.17
  • Published : 2016.10.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uneral rituals practiced by the Joseon Dynasty as recorded about Lee Mun Geon (1494~1567, a.k.a Mukjae), who mourned by the grave of his deceased mother, Ms. Shin (1463~1535), a woman whose family's origin was Goryeon. The study focuse on the rituals performed by Lee after his mother's death, his participation in the funeral, and his mourning specifically as an individual who has lost his parent. Reviewing Lee's mourning life beside the grave, the contents of diary belonging to a nobleman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were studied aimsing to find out the meaning of rituals, the overall recognition accorded to death, and the filial duties that were carried out by the noblemen of the time. Although noblemen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ceaselessly attempted to change the observance of funeral rituals through legislation, it was difficult to change the mindset of the people, who fllowed the deep-rooted traditions of long history. It must be acknowledged that the Joseon Dynasty had a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than that of China. There was a fundamental problem when they tried to adapt The Family Rituals of Zhu Xi, followed by the Chinese, to the Joseon society. Although The Family Rituals of Zhu Xi emphasized ancestral rites focusing on enshrining mortuary tablets and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the family shrine hundred times, noblemen in the mid-Joseon Dynasty period cared for their parents in the grave by mourning for them than by following such practice. The solemn memorial service held in front of the grave, and the annual ritual service on the death anniversary were far more important to the noblemen in the mid-Joseon Dynasty. Amid such contradictions, the noblemen accepted and performed the mourning rituals beside the grave of their parent. Human beings across the ages have always dwelt upon thoughts of the afterlife. Most people believe that they attain a state after the death of their physicalbody. If humans did not have such thoughts, they would not be bothered if death occurs on being hit by a car on the street. Thus, human beings often think of the ritual services related to death, although in different forms. Therefore, mourning by the grave of their parent held great significance among the noblemen of the Joseon Dynasty as a sign of their filial piety.

본고는 묵재 이문건(1494-1567)이 어머니 고령 신씨(高靈申氏; 1463-1535)의 시묘살이를 하며 기록한 상례(喪禮)에 대한 고찰이다. 상례는 죽음에 대한 의례이다. 이문건이 행한 죽음의례, 즉 시묘살이 상례(喪禮)에 개인이 어떻게 구체적으로 참여하였는가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즉 이문건이 실천한 시묘살이 상례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그 의례가 지향하는 바의 의미와 조선중기 사대부 일기의 글쓰기를 통해 당대인의 효의 실천과 죽음에 대한 제반 인식을 유추해보는 데 그 의의를 둔다. 조선중기 사대부들은 법제화에 의한 상례 준수로 인식변화를 끊임없이 시도하지만, 기나긴 역사의 밑바탕에 깔린 인간의 의식세계를 완전히 개조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웠다. 중국과 조선은 문화적 배경이 달랐음을 인정해야만 하였다. 중국의 제도인 "주자가례"를 조선에 끼워 맞추려고 한 것은 처음부터 문제를 배태하고 있는 것이다. 신주(神主) 중심의 조상 제사와 가묘(家廟) 설립의 중요성을 "주자가례"에서 백 번 강조하지만, 조선중기 사대부는 무덤 속에 누워 있는 부모에게 더 마음이 가는 것이다. 사당과 시제(時祭)보다는 무덤과 묘제(墓祭) 및 기제사(忌祭祀)가 조선중기의 사대부에게는 더 중요한 것이다. 이런 모순 속에서 조선중기 사대부는 죽음에 대한 의례로서 시묘살이 상례를 수용하고 실천하였다. 고대인 혹은 중세인이 아니라도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 인간에게 죽음에 대한 지배적 생각, 즉 현세와 정신적 물질적 생활을 지속한다는 계세사상(繼世思想)을 뿌리 채 뽑아버리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만약 이 사상이 없다면 인간의 죽음 역시 고속도로 위에서 차에 치여진 동물의 사체와 다름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간은 시간이 변해도 형태는 바뀔지언정 죽음에 대한 의례 자체를 끊임없이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선중기 사대부의 시묘살이는 효의 실천과 죽음에 대한 의례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