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ntry Strategies on the Western China of Korean Logistics Corporations

한국물류기업의 중국서부지역 진출 전략

  • Choi, Hyuk-Jun (The Graduate School of Logistics and Information, PyeongTaek University)
  • 최혁준 (평택대학교 물류문화정보대학원)
  • Received : 2016.08.11
  • Accepted : 2016.09.10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e Korea-China FTA and China's huge development policy for its western regions could create a strategic opportunity for Korean Companies. This study suggests a strategy for expanding the domestic activities of Korean logistics Corporations and supporting the activities of Korean Companies operating in China. Using surveys of 32 Korean Logistics Corporations, important factors to consider when expanding into western China were analyzed. The results identified factors in the order of government, local markets, strategy, infrastructure, and finance and budget. The "development of Chinese Logistics specialists," "economic cooperation with the local governments of western China," and "holding investment Fairs and exhibitions" were important government-related factors. "Understanding entry permits and procedures for logistics corporations in China" and "understanding the logistics system of western China" were also shown to be important factors. Furthermore, governmental factors were suggested to be significant by large, medium-sized, and small businesses alike, while the factor of local markets was suggested to be significant by small-scale businesses.

한 중 FTA 체결과 중국서부지역의 대개발정책은 우리기업들에게는 전략적인 기회요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물류기업들이 국내 물류산업의 활동기반을 확대하고 중국에 진출한 우리나라 기업들의 원활한 비즈니스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진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물류기업 32개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 방식을 이용하여 중국서부지역 진출시 중요시 고려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부요인, 현지시장 요인, 전략적 요인, 인프라 요인, 금융 및 예산 요인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정부요인으로는 '중국물류전문가 육성', '중국서부지방 정부와의 경제협력', '투자박람회 및 전시회 개최' 등이 중요한 활성화 요인이며, 현지시장 요인에서 '중국물류사업 진입 허가 및 절차파악', '중국서부지역 물류시스템 파악'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기업과 중소 중견기업은 정부요인이 중요하다고 제시한 반면, 소기업은 현지시장 요인이 진출에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정(2005), 중국의 서부대개발과 신공간혁신클러스터 전략, 통상정보연구 7권 4호, 한국통상정보학회.
  2. 김성철(2010), 한.중 FTA 추진 현황과 시사점,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3. 김창도(2012), 중국 서부지역으로 몰려가는 글로벌 기업들, POSRI 보고서.
  4.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5), 한.중FTA 비즈니스 모델 및 활용, KOCHI 자료 15-005.
  5.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5), 중국 지방 성.시별 진출정보, KOCHI 자료 15-008.
  6. 송일호(2013), 중국 경제성장의 제약요인이 한국 통상환경에 미치는 영향, 통상정보연구 15권 4호, 한국통상정보학회
  7. 양평섭 외(2015), 중국 13차 5개년 규획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KIEP 오늘의 세계경제, 제15권 제30호, KIEP.
  8. 이철용(2011), 중국 서부 대개발 인프라 깔기 10년, 이제 거점 중심으로 본격 개발, LG Business Insight 2011.
  9. 정인교 외(2011), 중국 서부대개발 지역의 주요 개방신구 비교 및 우리기업 진출 지원 방안, 연구보고서,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10. 정지현 외(2014), 중국 지역경제 변화와 새로운 한.중 협력방안, 세미나자료모음 14-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1. 정혜선 외(2015), 중국 중서부 진출, 한.중 FTA 바람을 타라, Trade Focus Vol.14, No.9,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12.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2014), 2015년 통상환경 전망 및 주요쟁점, Trade Brief No.80.
  13.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10), 중국 서남지역 1축 2익 물류체계, 동향분석 리포트, 제10호 2011-12.
  14. 中國政府(2011), "中華人民共和國國民經濟和社會發展第十二个五年規划網要".
  15. 國務院發展硏究中心課題組(2010), "十二五發展十二題".
  16. 각성인민정부사이트 및 정부 통계청
  17. 산업연구원, http://www.kiet.re.kr/
  18. 중국경제데이터베이스, www.ceicdata.com/ko/countries/china
  19. 코트라 글로벌윈도우, http://www.globalwindow.org
  20. 한국무역협회, http://www.kita.net/
  21. 한중무역투자정보망(http://koreachina.mke.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