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KS Certification System on Export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KS인증시스템 표준화가 중소기업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6.07.27
  • Accepted : 2016.12.10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KS certification system on export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n Korea. The analysis may contribute to enhance export competitiveness of Korean SMEs. Based on previous studies for environment-specific and business-specific determinants regarding KS certification system, this study analyzed six factors influencing on export performance of Korean SMEs. For empirical tests, this study used frequency, validity, reliability,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1.0. The results of analysi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Managerial mind had influence on KS certification system, whereas employee's awareness on standard was influential to the same categories. Another business-specific factor, KS certification education & training, affected factors of general standardization of KS certification system. General standardization of KS certification factor had effects on export strategic performance. This empirical study presents following implications for small and medium businesses. First, considering that SME management mind proved to be influencing all variables, the concerned SME CEOs are required to support and encourage intra-standardization of KS certification mind within the company to improve their export performance. Second, to better the export performance, SMEs not only need to support, but also to provide education of KS certification to raise awareness on standardization among the employees. Third, ISO certification as well as intra-business standardized system for FTA-related works are highly encouraged to put into use to improve the quality of products.

본 연구는 KS인증업체를 중심으로 KS인증시스템이 중소기업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여 국제환경에 중소기업의 수출경쟁력을 강화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환경특성요인과 기업특성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이 요인들이 KS인증시스템 표준화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규명하고 KS인증시스템 표준화 요인이 수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타당성분석, 신뢰성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기업특성요인의 경영자마인드, 종업원표준인식, KS인증교육이 KS인증시스템 표준화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KS인증시스템 표준화 요인이 수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한 결과에 따라 중소기업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수출성과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 최고경영자는 KS인증시스템에 대한 사내표준화 마인드를 고양시키는 지원이 요구된다. 둘째, 중소기업 종업원에 대한 표준화 인식이 높아질 수 있는 KS 인증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제품품질 향상을 위해 ISO 인증, FTA관련 업무 사내 표준화 시스템 활용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홍중.성윤갑, "한국의 원산지 표시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관세학회, 관세학회지 제6권 제2호, 2005.
  2. 김무한, "FTA 원산지 결정기준에 따른 활용전략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8.
  3. 김봉주, "중소기업의 글로벌화를 위한 해외규격인증의 취득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경영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12.
  4. 김종태, "중소제조업의 품질경영 활동요인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8.
  5. 김진수, "중기업과 소기업의 경영특성과 성과 결정요인 비교에 관한 연구", 경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12.
  6. 김찬우, "한국 표준화 정책의 기원과 성격-산업정책적 기원과 시장 발전 대응에 따른 표준화 정책의 변화", 영남대학교 대학원 전공 박사학위 논문, 2013.6.
  7. 김창로.김용덕, "무역상 기술 장벽으로서의 표준에 대한 중소기업의 인식과 표준화 정책방향", 한국무역학회, 무역학회지 제33권 제5호, 2008.11, pp.1-23.
  8. 김창봉.구윤철, "한국 수출입 제조 기업의 국제표준인증 활용과 파트너십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통상정보연구 제18권 제2호, 2016. 6, pp.131-150.
  9. 박계호, "KS표시 인증이 기업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2.
  10. 서정대.박순찬, "FTA 확산과 중소기업 부문의 대응전략", 중소기업연구원, 기본연구, 2005, pp.4-21.
  11. 성태경, "표준의 국제무역 효과에 관한 고찰", 서강대학교 시장경제연구소, 서강경제논집 제40집 2호, 2011, pp.119-140.
  12. 송태호, "무역기술장벽 제거를 위한 적합성 평가체계의 문제점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6.
  13. 오성근, "수출 선도 중소기업의 연구개발역량이 글로벌 마케팅역량 및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8.
  14. 오주환.김지대, "중소기업의 환경경영에 영향을 끼치는 외부요인과 적합한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중소기업학회, 중소기업연구 제36권 제1호, 2014.3, pp.159-187.
  15. 이경한, 산업표준화법 해설과 KS인증 실무가이드, 한국표준협회미디어, 2013.7.
  16. 이명화, "한국의 글로벌 스탠다드 행정 정착을 위하여-수입농림수산물 원산지 표시사례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회 추계학술대회, 2005, pp.17-33.
  17. 이병옥, "품질경영활동과 조직원 신뢰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충청북도 제조업체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경영학전공 석사학논문, 2008.6.
  18. 장철주, "중소제조기업에서 최고경영자의 진성리더십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조직신뢰와 직무만족의 매개역할", 한양대학교 기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8.
  19. 정재우.이길남, "한국의 주요 FTA별 원산지 결정기준의 비교와 시사점", 한국통상정보학회, 통상정보연구 제13권 3호, 2011.9, pp.143-166.
  20. 조철호, "KS표시인증과 ISO 품질경영시스템인증이 기업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6.
  21. 진병진, "FTA 원산지정보 관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통상정보연구 제18권 제2호, 2016.6, pp.107-127.
  22. 채명수.이형택, "수출기업의 시장 지향성, 경쟁우위 및 수출성과", 경영학연구 제35권1호, 2006.2, pp.279-306.
  23. 천동필.정양헌.이인우.서한결.우청원, "경쟁 환경에 따른 기업의 연구개발비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잠재적 경쟁과 산업내 경쟁강도를 고려하여", 한국회계학회, 한국회계학회 학 술발표논문집,제2013권 제2호, pp.947-964.
  24. 하세근, "중소 수출기업의 경영환경과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8.
  25. KS 인증 표준화 심사항목, KS인증지원시스템(www.ksmark.or.kr).
  26. FTA관련 자료, 관세청(www://www.customs.go.kr)
  27. Robbins, S.P. and Coulter, M.(2012), Management, Prentice-Hall, Upper Saddle River, NJ, (1962), 152-165.
  28. Schlegelmilch, B.B and Ram, S.(2000),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on Strategic market Orientation : An Empirical Investigation", Journal of Global Marketing, 13(3), 111-127. https://doi.org/10.1300/J042v13n03_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