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ark Wansea's novel and Dongdaemoon Market: The Gender Politics of Dongdaemoon Market and Formation of Postwar Korean Bourgeoisie Fami

박완서 소설에 나타나는 동대문시장의 젠더정치학과 전후 중산층 가정의 균열

  • Published : 20160000

Abstract

This paper intends to add "Dongdaemoon Market" in theCheonggyecheon Stream area to the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of wartie Seoul shown in Park Wan-seo's novels. It is becauseDongdaemoon Market can be said to be the most appropriate space foridentifying the new signs of changes in Korean society (e.g., thedistorted and crippled operation of the Korean capitalism and theresultant process of reorganizing Seoul) and for noticing their intimatemeanings.Her "The man's house" examines the actual situation of the femalemain agents for economic activities emerging in the public place ofDongdaemoon Market and shows how the traditional gender structurebased on the dichotomy of public and private matters dismantles theboundary in the postwar Dongdaemoon Market. In addition, itreproduces the way shopping in Dongdaemoon market imprints andregulates the identities of middle-class housewives in the conflictingcontexts of the concept of females' homeliness and consuming subjects.Dongdaemoon Market obtains a significant meaning also in Year ofFamine in the City. This novel reveals the gendered origin ofDongdaemoon Market by tracing through the U.S. Army dollars theprocess of primary capital accumulation until the protagonist's entry intoDongdaemoon Market. The gender competition process, in which a new form of family relationship generated by middle-class female heads ofhousehold poses a strong challenge to a patriarchal system and causesits resistance, is also one of the major concerns in this novel.This paper sought to examine how the gender monopoly of the spaceaffected the formation of Korean middle-class families in ParkWan-seo's novel by paying attention to the working mechanism of thepower of Dongdaemoon Market and the female main agents' productionprocess; the politics of Dongdaemoon Market present in her novels liesin this point.

본고는 박완서의 소설에 나타나는 전시 서울의 장소성 연구에 청계천 일대 ‘동대문시장’을 추가하고자 한다. 동대문시장은 한국 자본주의의 굴절과 파행 및 그로 인한 서울의 공간 재편성 과정 등 한국사회의 새로운 변화의 조짐을 확인하고 그것이 젠더와 맺고 있는 내밀한 의미를 읽어내기에 가장 적합한 공간이다. 박완서의 『그 남자네 집』은 동대문시장에서의 장보기가 중산층 주부의 정체성을 각인시키고 규율하는 과정을 여성의 가정성이라는 개념과 소비 주체라는 상반된 맥락 속에서 재현하고 있다. 소비주체로서의 여성은 결국 여성의 무한한 욕망에 대한 승인을 초래하고 이는 중산층 가정에 균열을 가하는 일탈로 드러나기도 한다. 동대문시장은 『도시의 흉년』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획득하고 있다. 이 소설은 동대문시장에 입성하기까지의 자본의 본원적 축적 과정을 전시 미군 달러와 관련지어 드러냄으로써 동대문시장에 출현한 여성 주체의 경제적 기원을 드러낸다. 물질적 부에 기반한 중산층 여성 가장의 가족 관계가 기존의 가부장제에 대한 강력한 응전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것의 저항을 유발하는 젠더 경합의 양상 역시 이 소설의 주요한 관심사다. 본고는 박완서 소설에 나타나는 동대문시장의 권력 작동 방식 및 여성주체의 생산 과정에 대한 관심을 통해 공간의 젠더적 전유에서 비롯된 한국 중산층 가정의 균열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박완서 소설에 나타나는 동대문시장의 정치성은 바로 그 점에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