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강 소설의 공간 풍경 알레고리 - 「훈자」의 장면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llegories in the Spatial Landscapes of Novels by Han Kang- With a focus on the scenes of Hunza -

  • 발행 : 20160000

초록

알레고리가 문학에서 가장 의미 있는 관계로 수용되고 있음은 다르게 말하기의 총화이기 때문이다. 이야기 전체에 대한 은유 형식인 알레고리는 특히 소설 안에서 주제를 강화시키는 다양한 서사적 기법으로 오랫동안 차용되어 왔다. 신화를 비롯한 모든 종교의 경전들에서도 그 유래를 찾을 수가 있으며, 우화와 고전소설 안에서 인간 세상의 본질의 가치와 풍자와 교훈을 깨우치기 위한 효과적인 기법으로 활용되었다. 현대소설에서도 알레고리는 다양하고 확장된 세계를 아우르는 서사 재현의 요소로써 미학적 장치가 되고 있다. 한강의 소설「훈자」는 제목에서부터 ‘공간적’인 암시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서사의 진폭을 예측할 수 있게 한다. ‘훈자(Hunza)’라는 장소가 바로 주인공인 젊은 여성 자신을 투사시키고 싶은 곳으로 지정되고 있다. 오지마을인 훈자는 가정과 직장생활의 병행으로 고단한 일상에 지친 여성이 필요로 하는 안식처의 대안 공간이다. 은둔과 무릉도원의 표상이 되는 훈자의 풍경들은 주인공 여성이 욕망하는, 비현실적인 이상향의 알레고리적인 반영이다. 남편의 불안정한 직업과 어린 아들의 육아 부담 등, 증폭된 생활의 부침으로 인해 정신적인 폐허를 겪는 여성은 더욱 훈자에 심취되고, 그녀의 억압된 심상에서 훈자의 풍경 장면들은 다양하게 변주되어 나타난다. 이처럼 소설「훈자」에서 제시된 풍경 장면들은 알레고리적 관점에서 다양한 고찰의 해석으로 논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다.

Walter Benjamin's theory of allegory has served as an archetypicalground for arguments in literary criticisms and been investigated bylater-generation scholars. His theory of allegory is addressed in all theareas in modern times and advocated as the spirit of art, reason for theexistence of culture, and even the "spirit of allegory."Allegory is accepted as the most meaningful relation in literarybecause it is the flower of speaking differently. Being a metaphor formfor the whole story, allegory has long been used as part of variousnarrative techniques to reinforce the topic in novels. It traces its historyeven back to the scriptures of all religions including myths and hasbeen used as an effective technique to make the readers realize theessential values of human world, satires, and lessons in fables andclassical novels. In modern novels, it serves as an aesthetical device toreproduce narratives, encompassing various expanded worlds.Hunza by Han Kang connotes the "spatial" implication with its title,thus allowing the readers to predict the amplitude of its narrative. Theplace name "Hunza" was designated as a place where the protagonist, ayoung lady, wanted to project herself.A remote village, Hunza is an alternative space of shelter to awoman that is exhausted between family and work life. The landscapesof Hunza, the representation of life in seclusion and paradise, are theallegorical reflection of unrealistic Utopia that the protagonist has desirefor. Suffering from mental devastation due to the unstable job of he husband, increasing burden of raising her son, and amplified ups anddowns of life, she is further infatuated with Hunza. The landscapescenes of Hunza appear in diverse variations in her suppressed imagery.Tho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landscape scenes depicted in Hunzahave enough room for interpretations based on diverse considerationsfrom an allegorical perspectiv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