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ractal Phenomenon appeared in the Formativeness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한국 전통복식 조형에 나타난 프랙탈적 현상

  • Kim, So-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Chae, Keum-Seok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김소희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채금석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16.07.12
  • Accepted : 2016.09.13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is study looks into the Korean traditional costume formation and the thoughts of the Korean people that form the foundation of that Korean traditional costume formation. And the goal of this study is in linking the thoughts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the Korean traditional costume formation to the fractal geometry, in an attempt to reveal correlation between Korean traditional costume formation which have existed for thousands of years to contemporary science of the West. The fractal theory that appeared as the new paradigm of contemporary science displayed similarities with the traditional ideologies of Korea, and the fact that formation principles of fractal appear in the formation of Korean costume, formed based on the Korean ideologies, show magnanimous capacity of the traditional Korean culture. When we look at the concept of fractal, the word fractal refers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shape repeats, where small structure is similar to the whole structure in form in endlessly repeating structure. In other words, 'fractal' means a structure that geometrically untangles the concept of 'self-similarity' which possesses the same shape in parts and in whole, and its major characteristics include 'self-similarity', 'circularity' and 'repeatability'. Korean costumes were formed based on the Han-thoughts, with a structure that possesses parts within the whole and the whole within parts, in accordance with the self-similarity theory of 'fractal'. This study compared studied fractal phenomenon which appear in form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which were formed based on the Korean traditional ideology, in other words, Korean costume formation and formation principles of fractal geometry were compared studied.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고궁박물관. (2013). 왕실문화도감 조선왕실복식. 서울: 디자인인트로.
  2. 권준희. (2001). 신라 복식의 변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동영. (2012). 한국 현대건축의 프랙탈 현상에 대한 연구. 자연과학연구논문집, 10(1), 149-161.
  4. 김민자. (2013).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제다움 찾기.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5. 김민호. (2003). 사물(四物)놀이의 시각표현에 대한 연구 : 프랙탈을 이용한 시각적 표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상일. (1985). 한철학. 서울: 전망사.
  7. 김상일. (2014). 오래된 미래의 한철학. 대전: 상생출판.
  8. 김선화, 주해정. (2013). 프랙탈적 해석과 전통문양의 융합을 통한 미디어아트의 프로세스 개발에 대한 연구. 조형미디어학, 16(2), 39-46.
  9. 김은영. (1999). 프랙탈 기하학의 비선형적 특성을 적용한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은정. (2004). 현대 패션에 나타난 한국적 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남오철. (2002). 프랙탈 기하학적 형태의 화예디자인 조형작품에 관한 연구. 한국화예디자인학회지, 7(0), 121-147.
  12. 문진수. (2009). 무용철학 : 상모춤의 프랙탈 미학.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17(4), 381-395.
  13. 문진수. (2010). 상모춤의 미적 탐색.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박근형. (2008). 디지털 건축에서의 프로세스 비교분석을 통한 형태변이 인자에 관한 연구 : 위상기하학과 프랙탈 기하학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유진. (2009). 한국 건축에서 카오스-프랙탈 개념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서봉하. (2014). 아시아 전통 복식의 조형적 특성과 미적 가치 비교 연구-불교권, 힌두권, 이슬람권 복식을 중심으로. 복식, 64(6), 47-64. https://doi.org/10.7233/jksc.2014.64.6.047
  17. 손경자. (2001). 전통한복양식. 서울: 교문사.
  18. 양윤희. (2000). 프랙탈적 해석에 의한 텍스타일 디자인 응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상욱. (2008). 한국의 전통 및 근대기 마을에서의 프랙탈 구조 연구 : 성주 한개마을과 부산 대청동 마을을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광모. (2000). 카오스이론과 동양사상의 비교연구. 통일연구(The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5, 139-158.
  21. 이지윤. (1994). 해체주의 공간의 구성원리 및 디자인 특성과 조형적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진. (2008). 프랙탈 기하학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Kai's Power Tools(KPT)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정보리. (2013). 프랙탈 기하학 패턴을 응용한 텍스타일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정수경. (2005). 전통조형물에 적용된 바시미 구조를 응용한 디자인연구(해체주의 이론적 접근).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정수지. (2010). 프랙탈 기하학적 구성에 의한 칠보표현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정순희. (2003). 한국 전통 조각보의 구조분석 : 프랙탈적 분석 가능성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채금석. (2012). 전통한복과 한스타일. 파주: 지구문화사.
  28. 최명식, 남주현. (2005). 脫物質化 시대에 있어서 디자인 스타일 接近方法 硏究 : 바시미 美學의 기초적 접근. 경희대학교부설디자인연구원 논문집, 7(2), 7-14.
  29. 최명식, 정수경. (2004). 전통조형물에 적용된 바시미 구조를 응용한 디자인 연구. 경희대학교부설 디자인연구원 논문집, 7, 198-205.
  30. 하용훈. (2011). 한국 디자인의 조형적 발상과 원형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37, 39-50.
  31. 황영미. (2004). 건축디자인에서 프랙탈 기하학의 적용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EBS 동과서 제작팀, 김명진. (2008). 동과 서. 서울: 지식채널.
  33. J. Briggs and F. D Peat. 1989. Turbullent Mirror. New York: Happer and Rown Public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