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Brexit on Container Volume of Korea

브렉시트(Brexit)의 한국 컨테이너물동량에 대한 영향

  • Received : 2016.08.10
  • Accepted : 2016.09.27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influence of Brexit on container volume of Korea, especially of macroeconomic variables such as exchange rate and industrial production of EU and United Kingdom. To do this, we use monthly time series data during 2000-2016, and introduce the analysis method of cointegration test and VECM, and analyze the influence of industrial production and exchange rate of EU and U.K. on container volume of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ainer volume of Korea is influenced by the exchange rate and industrial production of EU in the long run. But the exchange and industrial production of U.K. influenced on only export container volume of Korea, and the influence of U.K. macroeconomic variables on container volume of Korea was not large in the long lun. Second, In the shot run, the influence of exchange rate on container volume of Korea, especially on export container volume was significant in EU and U.K. To sum up, the influence of EU macroeconomic variables on container volume of Korea is larger than that of U.K., and the influence of exchange rate variable is more significant than that of industrial production variable.

본 연구의 목적은 브렉시트로 인한 세계 거시경제환경의 변화, 특히 당사국인 영국과 EU의 경기 및 환율의 변화가 한국의 컨테이너물동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을 위하여 2000-2016년의 월별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하고 장기적 관계를 위한 공적분 검정과 장기 및 단기 동학적 분석을 위한 VECM모형과 인과성 검정을 위한 VECM인과성 검정을 도입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 컨테이너물동량은 장기적으로는 EU의 경기와 환율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영국의 경기와 환율은 한국의 수출컨테이너물동량에만 한정하여 영향을 미친다. 두 번째, 단기적으로는 EU의 거시경제환경 변수 중 경기 상황보다는 유로화 환율이 한국 컨테이너물동량에 미친 영향 관계가 더욱 의미가 있는데, 이는 특히 수출컨테이너물동량의 경우 더욱 명확하다. 영국도 마찬가지로 경기의 영향은 유의성이 없지만 환율은 한국 수출컨테이너물동량에 대한 영향관계의 유의성이 커서 의미가 있다. 이러한 사실은 VECM인과성 검증에서도 잘 나타나 한국 총컨테이너물동량과 수출컨테이너물동량은 EU의 유로화환율에, 그리고 영국의 파운드화 환율은 한국의 수출컨테이너물동량에 대해서 인과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영국의 브렉시트로 인한 영국 및 EU의 경기 및 환율 변화에 의한 한국 컨테이너물동량의 영향은 경기 변화보다는 환율변화에 의한 것이 더 크고 주로 수출컨테이너물동량에 집중하는 등 제한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브렉시트 당사국인 영국보다는 EU의 경기 및 환율변화에 의한 영향이 좀 더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창범(2010), "환위험과 경기 불확실성이 우리나라의 수입물동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6권 제4호, 88-100.
  2. 모수원(2009), "경제변수의 변동이 광양항 수입컨테이너 물동량에 미치는 효과",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집 제3호, 269-282.
  3. 신석하(2014), "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한 한국의 탄소배출량 결정요인분석", 경제학연구, 제62집 제3호, 5-28.
  4. 유병철 외(2008), "VAR 모형을 이용한 부산항과 상해항의 물동량 분석", 한국물류학회지, 제18권 제3호, 189-208.
  5. 이재득(2013), "환율이 부산항 물동량에 미치는 영향", 관세학회지, 제14권 제3호, 151-169.
  6. 임상수(2015), "환율의 컨테이너 수입 물동량에 대한 비대칭적 영향에 관한 연구", 해양정책연구, 제30권 제2호, 105-131.
  7. Carter Hill. R, W.E., Griffiths and G.C., Lim(2010), Principles of Econometrics, Third edition, WILEY
  8. Engle, R. and C. Granger(1987), "Co-integration and Error Correction: Representation, Estimation, and Testing," Econometrica, Vol.55, 251-276. https://doi.org/10.2307/1913236
  9. Johansen, S.(1988), "Statistical Analysis of Cointegrating Vectors," Journal of Economic Dynamics and Control, Vol.12, 231-254. https://doi.org/10.1016/0165-1889(88)90041-3
  10. Johansen, S. and K. Juselius(1990),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and Inference on Cointegration with Application to the demand for money," Oxford Bulletion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52, 169-210.
  11. Maddala, G.S.(1992), Introduction to Econometrics, Second edition, Prentice Hall.
  12. Toda, H. Y. and P.C.B. Phillips(1994), "Vector Autoregressions and Causality: A Theoretical Oview and Simulation Study," Econometric Reviews, Vol.13, 259-285. https://doi.org/10.1080/07474939408800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