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occupational value, as felt by new employees working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on turnover intent and also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between occupational value and turnover intent. The analysis drew out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study verified that, among inherent values, only social commitment had a positive(+) direction of influence on turnover intent, and second, among extrinsic values, only face-saving and stability seeking had a positive(+) direction of influence on turnover intent.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inherent values on turnover intent according to emotional support, the study revealed that turnover intent increased, as the perception of emotional support increased, on condition that the item, value of knowledge seeking, among inherent values, was perceived highly, On the other hand, if the item, relationship-centered, scored highly among inherent values, then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emotional support, the lower the turnover intent.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extrinsic values on turnover intent according to emotional support, the study revealed that turnover intent decreased, as the perception of emotional support increased, on condition that the value of economic priority, among extrinsic values, was perceived highly. On the other hand, if the item, face-saving, scored highly among extrinsic values, then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emotional support, the higher the turnover intent. Fif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ing effect of inherent values according to methodical support, the study revealed that turnover intent increased as the perception of methodical support increased, if the item, knowledge-seeking among inherent values was perceived highly. Six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ing effect of extrinsic values according to methodical support, the study revealed that turnover intent decreased as the perception of methodical support increased, if the item, economic priority among extrinsic values was perceived highly. On the other hand, if the item, face-saving, among extrinsic values, was perceived highly,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methodical support, the higher the turnover intent.
본 연구에서는 외식업체에 종사하는 신입사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는 직업가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조직후원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직업가치 중 내재적 가치와 이직의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내재적 가치 중 사회헌신만이 이직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직업가치 중 외재적 가치와 이직의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외재적 가치 중 체면유지와 안정추구만이 이직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적 후원에 따라 내재적 가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내재적 가치 중 지식추구에 대해 높게 지각한다면 정서적 후원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내재적 가치 중 인간관계중심에 대해 높게 지각한다면 정서적 후원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서적 후원에 따라 외재적 가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외재적 가치 중 경제우선에 대해 높게 지각한다면 정서적 후원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외재적 가치 중 체면유지에 대해 높게 지각한다면 정서적 후원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수단적 후원에 따라 내재적 가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내재적 가치 중 지식추구에 대해 높게 지각한다면 수단적 후원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수단적 후원에 따라 외재적 가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외재적 가치 중 경제우선에 대해 높게 지각한다면 수단적 후원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외재적 가치 중 체면유지에 대해 높게 지각한다면 수단적 후원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