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with respect to the impact on school maladjustment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성숙도가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6.08.15
  • Accepted : 2016.09.23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with respect to the impact on school maladjustment. Also, this study clarify the relationship. This study purpose is to permanently provide Meister as the basis for the vocational education sector career education needed to faithfully serve as a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Tools used for the survey is maladaptive measurement tools developed by Leegyumi (2004) and Career maturity measurement tools developed at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2012). Using these tools, a reliability test was conducted. Meister students' career maturity was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impact of school maladjustment. Independent variables are consisted of career maturity and independence, attitude toward the job, planning, self-understanding, rational decision-making, information retrieval, knowledge of the desired job, career exploration and ready for action.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students' background variables are little girls was higher than boys,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test was conducted to ascertain the career maturity and school maladjustment differences of adaptation groups and maladaptive group in meister school students in background variables. A career maturity and school maladjustment between adaptive and maladaptive population group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ackground variables.

이 연구의 목적은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학교부적응에 대하여 알아보고 진로성숙도가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여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진로교육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마이스터고와 진로성숙도, 학교부적응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진로성숙도와 학교 부적응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통해 2016년 완성학급이 된 37개 마이스터고등학교 1,660명의 학생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70%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이스터고 학생의 진로성숙도는 학교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도 하위 영역에서는 '독립성', '직업에 대한 태도', '합리적 의사 결정', '정보 탐색'과 '진로 준비 행동'이 학교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적응 집단과 부적응 집단으로 구분하여 실시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적응 집단이 부적응 집단에 비하여 진로성숙도가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서는 여학생이 학교 부적응 수준이 낮고, 진로성숙도가 높았다. 학년에서는 1, 2, 3학년 순으로 학교 부적응 점수가 높아졌지만, 진로성숙도에서는 2학년이 3학년보다 진로성숙도가 더 낮은 결과를 보였다. 성적에 있어서는 성적이 높아질수록 학교 부적응은 낮았고, 진로성숙도는 높았으며, 계열에 따른 변인에서는 공업, 농 생명산업, 수산 해운 순으로 학교 부적응이 낮았고, 진로성숙도가 높았다. 담임의 교과에 따른 분류에서는 보통교과가 담임인 경우가 진로성숙도가 더 높고, 학교 부적응이 낮았다. 졸업 후 진로에 따른 학교 부적응은 대학에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에 비하여 취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학교 부적응이 낮고 진로성숙도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기타(창업, 가업 승계)의 경우에는 학교 부적응 수준과 진로성숙도가 함께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적응 집단과 부적응 집단의 배경 변인별 진로성숙도와 학교 부적응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윤정(2006). 교육대학교의 잠재적 부적응 집단에 관한 연구: 사회인지 진로이론의 적용. 상담학연구, 7(2), 417-432.
  2. 곽종문(2002). 학교를 버린 아이들, 학교를 떠나는 아이들. 청소년상담문제연구보고서, 46, 81-117.
  3. 김도진(2011). 마이스터고등학교와 외국어고등학교 재학생들의 입학동기 및 개인배경 비교연구. 교육연구논총, 32(2), 55-80.
  4. 김유나(2009). 청소년의 진로 성숙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종우, 김형만, 장명희, 최수정, 허영준(2013).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노동시장 이행 성과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6. 김현옥(1989). 청소년의 진로 성숙과 관련변인과의 상관관계.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혜영(2002). 학교중도탈락 청소년의 삶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나병현(2001). 학교교육의 위기와 공교육 이념의 재검토. 아시아교육연구, 2(2), 139-159.
  9. 류방란, 최윤선, 신희경, 이규재(2007). 학교 부적응 학생의 교육실태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10. 박장환(1996). 실업계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박창남(2010). 학교의 구조와 조직의 특성이 학교의 부적응수준에 미치는 영향. 미래청소년학회지, 7(3), 165-184.
  12. 배상훈, 김환식, 김효선(2011). 마이스터고 학생의 학교소속감, 학교만족도, 학교수업 및 진로지도에 대한 인식 - 특성화고 및 일반고 학생과 비교를 중심으로. 직업능력개발연구, 14(3), 155-180.
  13. 서정선(2002). 고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학교 및 가정배경 변인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송지준(2012).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개정2판). 경기파주 : 21세기사.
  15. 오만록(2011). 생활지도 및 상담. 서울 : 정민사.
  16. 유한구(2012). 마이스터고 졸업생 추적조사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윤철경, 최인재, 김윤나(2011). 학교 부적응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18. 은순(2003).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학습태도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이규미(2004). 중.고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교 부적응 행동지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2), 227-241.
  20. 이돈정(2006). 도서지역 중학생의 학교생활 부적응 유형과 요인 분석. 순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이명훈, 조동헌(2011).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과 관련 변인. 직업교육연구, 30(1), 291-311.
  22. 이병욱, 박철우, 이명훈, 조동헌, 조종우, 박기문, 배동윤. (2008)마이스터고 졸업 후 진로 모형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3. 이은경(1996). 아동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이인자(2002). 고교생의 학업성취도와 교사와의 대인거리,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이학식, 임지훈(2011). SPSS 18.0 매뉴얼. 학지사
  26. 임언, 정윤경, 상경아(2001). 진로성숙도 검사개발 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7. 임언, 서유정, 최수정, 김인형(2012). 진로심리검사 개정 및 활용 프로그램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8. 임유화(2012). 특성화고 학생의 잠재적 학업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임인재, 김봉환(2008). 진로성숙도검사 실시요강. 마인드프레스
  30. 장석민, 임두순, 송병국(1991). 진로성숙도 검사 표준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1. 장수정(2014). 학교부적응 중학생을 위한 진로 탐색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정홍란(2012). 청소년의 정서지능과 교우 관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조성심(2010). 학교 부적응 중학생을 위한 생태체계 관점의 진로 탐색 프로그램 개발. 평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4. 최수정, 김종우, 장명희, 한지영(2012). 마이스터고 운영현황 모니터링 분석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5. 최수정, 김종우, 장명희, 정희영(2014). 마이스터고 운영 모니터링 및 컨설팅 지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6. Smith, JW Rojewski. (1993). School to Work Transition Alternatives for Education Reform. Youth& Society, 25(2), 222-250. https://doi.org/10.1177/0044118X93025002003
  37. Super, D. E. (1953). A theory of Vocational development : American Psychologist, 8, 185-190. https://doi.org/10.1037/h0056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