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roving Legislation on the use of Healthcare Data for Research Purposes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연구목적 사용에 대한 법제 개선방안

  • 박대웅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 정현학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 정명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산업기획단) ;
  • 류화신 (충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6.11.30
  • Accepted : 2016.12.29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of big data processing technology, the potential value of healthcare big data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In order to realize these potential values, various research using the healthcare big data are essential. However, the big data regulatory system center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aspect of big data as an economic material and causes many obstacles to utilize it as a research purpose. The regulatory system of healthcare information, centered on the primary purpose of patient treatment, should be improved in a way that is compatible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easy to use for public interest.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trends of overseas legal system reflecting the concerns about the balance of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implications of the overseas legal system, we can derive improvement points in the following directions from our legal system. First, a legal system that specializes in healthcare information and encompasses protection and utilization is needed. De-identification, which is an exception to the Privacy Act, should also clearly define its leve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egal basis for linking healthcare big data to create synergy effects in research.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the introduction of the opt-out system on the basis of the discussion on the foreign debate and social consensus. But most importantly, it is the people's trust in these systems.

빅데이터 처리기술의 발전과 함께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잠재적 가치도 크게 주목받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잠재적 가치를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이용한 다양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개인정보보호법을 중심으로 한 빅데이터 규제체계는 경제재로서의 빅데이터의 측면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어, 이를 연구목적으로 활용하는데 많은 장애를 발생시키고 있다. 환자의 치료라는 1차적 목적을 중심으로 한 보건의료정보의 규제체계를 기술의 발전에 부합하며 공익적 활용이 용이한 형태로 개선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개인정보의 보호와 활용의 균형에 대한 고민이 반영된 해외의 법제 동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해외 법제의 시사점을 바탕으로 우리 법제에서 다음과 같은 방향의 개선점을 도출할 수 있다. 우선 보건의료정보에 특화되고 보호와 활용을 아우르는 법제가 필요하다. 개인정보의 비식별화도 개인정보보호법의 적용이 배제되는 수준을 명확하게 규정해야 한다.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연계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의 구축을 통해 관련 연구에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야 한다. 외국에서의 논의에 대한 검토와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옵트아웃 제도의 도입도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시스템에 대한 국민의 신뢰일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희정,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정책 현황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2016.
  2.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보의 비식별화 처리가 개인정보 보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15.
  3. 관계부처합동,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비식별 조치 기준 및 관리.체계 안내, 2016.
  4. 관계부처합동, 보건산업 종합발전전략, 2016.
  5. 관계부처합동, 서비스경제 발전전략, 2016.
  6. 김수영.김현경, "디지털헬스케어환경에서 개인정보의 활용과 규제의 합리적 조화방안 연구", IT와 법연구, 2016.
  7. 김승한, "빅 데이터 시대의 도래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법의 한계와 개선방향", 연세의료.과학기술과 법, 2013.
  8. 김재선, "의료정보의 활용과 개인정보의 보호", 행정법연구, 2016.
  9. 김주한, "진료정보 2차사용과 새로운 환자-의사 간 관계", 의료정책포럼, 2011.
  10. 김진영.홍태석, "의료분야에 있어 빅데이터의 활용 동향과 법적 제문제", 법학논총, 2016.
  11. 라포르시안,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제약사.보험사에 돈벌이에 제공?", 2016.9.9.
  12. 박종현, "의료연구에 있어서 개인건강정보 보호 및 활용", 법과사회, 2009.
  13. 박지용, "보건의료에 대한 헌법적 기초로서 개념적 및 역사적 접근", 헌법학연구, 2013.
  14. 방윤희.이현실.이일현, "국가별 개인정보보호법 및 의료정보보호법의 비교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4.
  15.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분야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방안 연구, 2013.
  16. 보건사회연구원, 보건의료빅데이터활용을 위한 기본계획수립, 2015.
  17.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의료산업시장분석 및 규제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14.
  18. 윤석진, "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 활용의 충돌, 그 문제와 입법정책 과제-보건의료빅데이터를 중심으로", 중앙법학, 2015.
  19. 이명진.김우주, "빅 데이터를 위한 고급분석 기법과 지원 기술",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2012.
  20. Federal Committee on Statistical Methodology (2015), Statistical Policy Working Paper 22: Report on Statistical Disclosure Limitation Methodology (Control).
  21. Mckinsey & Company (2013), The 'big data' revolution in healthcare.
  22. McKinsey Global Institute (2011), Big data: The next frontier for innovation, competition, and productivity.
  23. National Data Guardian for Health and Care (2016), Review of Data Security, Consent and Opt-Outs.
  24. New York State Department of Health (2015),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Workgroup Final Report.
  25. Nicolas P. Terry, LL.M. (2010), Legal Issues related to data access, pooling, and use, Clinical Data as the Basic Staple of Health Learning: Creating and Protecting a Public Good: Workshop Summary.
  26. Office for Civil Rights (2015), Guidance Regarding Methods for De-identification of Protected Health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HIPAA) Privacy Rule.
  27. 社会保障分野サブワーキンググループ 及び 医療機関等における個人情報保護のあり方に関する検討会 (2012), 医療等分野における情報の利活用と保護のための 環境整備のあり方に関する報告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