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ernity, Suffrage, War, and State: A Diachronic Review of the Women's Movements in Modern Japan

모성·참정권·전쟁 그리고 국가 - 근대 일본 여성운동의 통시적 고찰

  • Received : 2016.05.01
  • Accepted : 2016.06.08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iachronically explore the women's movements in modern Japan by focusing on three key words, 'maternity,' 'suffrage,' and 'war,' in uncovering how these concepts relate to Japan as a state. In particular,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policies toward women no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ate, but rather from women's perspective and evaluates their expectations toward the 'state' thorough the activities of Fusae Ichikawa and $Raich{\bar{o}}$ Hiratsuka. Hiratsuka, who was devoted to establishing the 'state protection of maternity,' ended up casting away such expectations toward the state after the failure of the petition movement developed by the New Women's Association. On the other hand, Ichikawa, encouraged by the success of women's suffrage movement in the U.S., remained active in the petition movement in the hope of attaining female suffrage. Because of this, Ichikawa was more vulnerable to the requests by the national authorities for the cooperation in war efforts-event though most of her activities were contained within the redressing of everyday life issues. The expectations toward the 'state' was a principal driving force of women's movements in modern Japan, yet at the same time it was also the reason why-as purging of Ichikawa symbolizes-they came to be stigmatized with the promotion of invasive war.

본고는 근대 일본 여성운동의 궤적을 '모성' '참정권' '전쟁'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통시적으로 고찰하되, 궁극적으로는 이 모든 것이 일본이라는 '국가'와 어떤 관계를 이루었는가라는 관점에서 다룬 것이다. 특히 국가의 입장에서 여성에 대한 정책 등을 살핀 것이 아니라 여성들의 입장에서, 즉 이들이 '국가를 향해 어떠한 기대를 품었는가'라는 관점에서 히라쓰카 라이초(平塚らいてう)와 이치카와 후사에(市川房枝)라는 두 인물을 축으로 삼아 다루었다는 특징이 있다. '국가에 의한 모성의 보호'를 기대했던 히라쓰카는 신부인협회(新婦人協會)를 통해 전개했던 의회 청원운동의 실패를 끝으로 국가에 대한 기대를 사실상 접게 된다. 반면 미국 여성참정권 획득에 자극을 받은 이치카와는 여성의 참정권 획득을 위한 의회 청원운동을 포기하지 않았으며, 이 때문에 - 비록 대개는 생활문제의 개선이라는 방식이기는 했지만 - 당국으로부터의 전쟁협력 요구에도 응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처럼 국가를 향한 '기대'는 근대 일본 여성운동을 견인하는 주된 원동력이었지만, 한편으로는 - 이치카와가 공직에서 추방되는 것으로 상징되듯- 침략전쟁의 협력의 오명을 쓰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