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14세기 원 건축의 영향과 고려의 수용

The Architectural Influence from the Yuan Dynasty and the Acceptance of Goryeo Dynasty in the 14th Century

  • 투고 : 2016.03.16
  • 심사 : 2016.09.03
  • 발행 : 2016.10.31

초록

The architectural influence from the Yuan had impact on the Goryeo Dynasty in earnest during Yuan intervention period in the 14th century. The representative examples which were influenced by the Yuan architecture are the Eungjinjeon in Seongbulsa(成佛寺) temple, the ten-story stone pagoda of Gyeoncheonsa(敬天寺) temple site, the Bogwangjeon in Simwonsa(心源寺) temple, the Hoeamsa(檜巖寺) temple and so on. Notwithstanding the changes of relationship between two countries, it can be comprehended that there was a selective acceptance of the Yuan architectural peculiarities in Goryeo Dynasty. It means that the adoption of foreign culture in Korea has not been inevitable from the unilateral demand, but been autonomous by perceiving as the advanced culture. This tendency was maintained even though the government had been changed.

키워드

참고문헌

  1. 모리히라 마사히코, 목은 이색의 두 가지 入元루트, 진단학보, 114집, 2012
  2. 강호선, 고려말 나옹혜근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3. 윤기엽, 원간섭기 원황실의 원당이 된 고려사원, 대동문화연구, 46집, 2004
  4. 토니노 푸지오니, 원대 기황후의 불교지원과 그 정치적인 의의, 보조사상, 17집, 2002
  5. 최연식, 고려말 간화선 전통의 확립과정에 대한 검토, 보조사상, 37집, 2012
  6. 류성룡.주남철, 고려시대 대공의 결구방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9권, 6호, 2003
  7. 황인규, 고려시대 유생의 서재와 그 문화, 한국교육사학, 28권, 2호, 2006
  8. 이강한, 공민왕 5년(1356) '반원개혁'의 재검토, 대동문화연구, 65집, 2009
  9. 이익주, 1356년 공민왕 反元政治再論, 역사학보, 225집, 2015
  10. 한지만, 회암사지 日자형 건물지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19권, 2호, 2010
  11. 한지만.이상해, 회암사의 연혁과 정청.방장지에 관한 복원적 연구, 건축역사연구, 17권, 6호, 2008
  12. 염중섭, 회암사 수조명분의 변화와 종교적 해법의 유사구조, 건축역사연구, 23권, 4호, 2014
  13. 한국문화재보존기술진흥협회, 한국문화재보존고: 일정기자료집성 1, 1992
  14. 윤은숙, 고려의 북원칭호 사용과 동아시아 인식, 중앙아시아연구, 15집, 2010
  15. 박상준, 고려후기 탑비, 전통양식의 계승과 변화, 동악미술사학, 17호,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