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피해자에 대한 보복범죄 방지 대책에 관한 연구

Study on Preventing Retaliation against Crime Victims

  • 최기남 (세명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투고 : 2016.12.20
  • 심사 : 2016.12.26
  • 발행 : 2016.12.31

초록

범죄로부터 국민에 대한 안전의 보장은 사회계약에 의한 국가의 존재이유이며, 국민에 대한 국가의무로서, 헌법적 권리인 국민행복추구권의 보장에 핵심적인 과제이다. 보복범죄 근절을 위한 논의의 결론은 첫째 형사사법절차에서 범죄피의자 체포 시 적용되는 미란다원칙에 상응하는 범죄피해자, 범죄신고자, 증인 등에게 범죄신고나 증언 후 보복범죄에 대한 위험 유무를 확인하는 절차를 의무화하고, 이를 어길 경우 처벌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둘째는 보복범죄에 대한 현행법의 보호대상을 확대 적용하고 정보보호를 강화하는 등 관련법과 제도의 개선이다. 셋째 보복범죄위험평가지표를 개발하고, 평가결과를 계량화하여 심화단계 별 신변안전에 대한 구체적인 조치방법과 책임을 명시하여야 한다. 넷째 범죄피해자 및 증인에 대한 적극적인 신변안전조치 제도의 확대 시행과 선진기법의 개발과 적용이다. 마지막으로 사법기관 근무자들의 인식전환이다. 범죄의 초동수사 단계에서부터 출소자 심리검사를 통한 보복의 가능성 진단과 조치에 이르기까지 형사사법기관의 총체적 협조와 공조체계가 구축되어야 하며, 보복범죄발생의 원인규명과 관련자의 직무상 문제점 발생 시 책임을 규정해야 한다. 등이다.

The guarantee of citizens' safety from crime is the reason for a nation's existence according to the social contract, and it is also a salient task in securing the citizens' right to the pursuit of happiness, which is a constitutional right expressing the nation's duty to its citizens. First, a procedure must be made mandatory that corresponds to the Miranda rule applied during the arrest of criminal suspect, which verifies whether there exists a risk of retaliatory crime to the victim of crime, crime reporter, or witness following their report of a crime or testimony. A measure to punish those who violate this should be devised. The second is the improvement of related laws and systems, such as expanding the scope of persons subject to protection from retaliatory crimes under the current law and strengthening information protection. Third, a retaliatory crime risk evaluation index must be developed, and the evaluation results must be quantified to clearly state measures and responsibilities, in detail, for personal safety at each level of intensity. The fourth is the expanded implementation of proactive personal safety measures for victims of crime and witnesses, as well a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dvanced techniques. The last is a change in the perception s of those working for the judicial body. From the initial investigation stage of the crime to the diagnosis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retaliation perpetrated on an ex-convict through psychological tests, systems of general cooperation, and mutual assistance must be established.

키워드

참고문헌

  1. Sellin, Thorsten, "Enrico Ferr," Pioneers in Criminolgy, Montclair New Jersey: Patterson Smith, p. 366, 1973.
  2. 강맹진. 김진철, '현대사회와 범죄', 서울: 대왕사, pp. 81-88, 2007.
  3. 전대양, '범죄대책론', 강원: 청송출판사, p. 13, 2010.
  4. 김용우∙ 최재천, '범죄피해자학', 서울: 박영사, p. 3, 2006.
  5. G.Kaiser, 'Krimnologie', 3Aufl. S.57, p 57, 1976.
  6. 김용세, '피해자학', 서울: 형설출판사, pp. 26-29. 95-96. 70-73, 90, 93-96, 111-120, 2010.
  7. 이윤호, '범죄학', 서울: 박영사, p. 479, 2007.
  8. 김재민, '피해자학 -범죄피해의 예방과 회복-', 서울: 청목출판사, pp. 27-41. 8, 321, 321-324, 2012.
  9. 김재민, '범죄피해자대책론', 서울: 진리탐구, pp. 17-23, 53-63, 2006.
  10. 이성호∙김상균∙신석환, '범죄피해자학', 서울: 21세기사, p. 35, 2005.
  11. 허경미, '피해자학', 서울: 박영사, pp,7-8, 2011.
  12. 충청매일, "법원'보복살인 못 막은 경찰징계 정당", 2014.2.8.자, 사회면.
  13. 특정범죄신고자 등 보호법 제2조 5항[법률 제11305호, 2012.2.10. 일부개정].
  14. 김지선∙안성훈∙장다혜추∙지현, "보복범죄의 원인 및 분석을 통한 피해자 신변보호강화 방안 연구", 대검찰청 연구과제 보고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p. 4, 2014.
  15. 조선일보, "날 고소해? 가만 안둔다" 보복범죄 기승, 2015.3.21.자, 사회면.
  16. 조선일보, "미 범죄수사 보복범죄로 지방검사 피격" 2013.04.02.자, 사회면.
  17. 뉴스1, 법조인 테러"사법 신뢰 회복 필요", 2015.6.10.자 보도.
  18. 서울신문, "보복 무섭고 신고해도 안오고..눈감은 목격자들", 2011.9.30. 사회면.
  19. NEWSIS, "검, 보복범죄자 '구속 격리'....범죄피해자는 '밀착보호', 2013. 7.28.자.
  20. 연합뉴스, "경찰, 보복범죄 우려 범죄피해자 '가명조서' 확대", 2014.02.11. 보도입력.
  21. 대검찰청, 보도자료 2012.4.16.배포.
  22. 김근태, "보복범죄의 피해자 등 보호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고려법학 제77호, p. 123, 2015.
  23. Harvey, Wallace & Roberson, 'Victimology -Legal, Psychological and Social Perspectives', Printice Hall, p. 47,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