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성보. (2000). 제주도 지역농업의 현황과 발전전략, 제주비평, 1, 40-67.
- 권용덕. (2014). 농업의 6차 산업화와 추진과제. 경남발전 , 133, 57-70.
- 권혜숙, 도고야스시, & 안진근. (2015). 농수산물을 활용한 6차산업화 공적지원프로그램에 관한 연구(한국과 일본의 사례비교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34, 19-28.
- 김성훈, & 김용현. (2015). 한국의 대북한 농업개발지원의 6차 산업형 민관협력 모델 연구. 통일과 평화, 7(2), 110-157.
- 김성은, & 김선아. (2013). 의사결정나무 분석기법을 이용한 농촌거주 노인의 우울예측보형 구축. 한국간호과학회 , 43(3), 442-451.
- 김승규, 이항아, & 김태균. (2016). 경북지역 사과 6차 산업화를 위한 체험관광 잠재수요 추정. 관광연구, 31(2), 185-201.
- 김용렬, 허주녕, 이은경, & 오세익. (2011). 일본 농산어촌 6차 산업화 제도 안내.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김종안, 김진희, 김가영, & 이소진. (2015). 농업
${\cdot}$ 농촌자원 활용한 서비스산업 경영체의 비즈니스 모델 진단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 30(6), 387-409. - 김지석. (2016). 농업 6차산업화 활성화를 위한 농지임대차제도 개선방안. 법과 정책연구 , 16(1), 191-208.
- 김태곤, & 허주녕. (2011). 커뮤니터 비즈니스 중장기 육성방안(1/3차연도): 농업의 6차산업화와 부가가치 창출 방안.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김태곤, 허주녕, & 양찬영. (2013). 농업의 6차산업화 개념설정과 창업방법.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농림축산식품부. (2015). 2015 6차산업 경진대회 우수사례집 .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 류선무, 김성기, 박영일, & 류희중. (2002). 농업의 6차 산업화와 경영의 다각화 방안. 농어촌관광연구 , 9(1), 1-21.
- 박성수. (2016). 성공적인 한국형 6차산업화의 정착을 위한 제언. 관광연구, 31(4), 427-434.
- 박시현. (2013). 농촌 6차산업화를 위한 농촌관광의 발전 방향 .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박시현. (2015). 농촌관광의 6차산업화 비즈니스 모델. 농어촌관광연구 , 22(1), 1-17.
- 박종훈, 황재희, & 이성우. (2014). 농업의 6차산업화가 농가 및 농업법인의 농업 및 농외소득에 미치는 영향. 농촌계획 , 20(4), 193-208. https://doi.org/10.7851/ksrp.2014.20.4.193
- 반기민, & 우장명. (2013). 충청북도 증평군을 중심으로한 6차산업화 방안 연구. 지역정책연구, 24(1), 43-66.
- 배화수 등. (2004). 데이터마이닝: SAS Enterprise Miner를 이용한 . 서울: 교우사.
- 브릿지경제. (2015). 이치구의 돈 되는 이야기: 6차산업이 뜬다. (2015.12.21.일. http://www.viva100.com/main/ view.php?key=20151221010004831에서 발췌)
- 서동균, 최현호, 천동원, 이상덕, & 송용섭. (2015). 낙농 6차 산업화 사례와 과제 .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서윤정, 박정운, 한상연, 황대용, & 양정현. (2013). 6차산업화 경영체 경영.기술수준 평가지표 개발. 벤처창업연구 , 8(4), 177-191.
- 신황호, 손호기, 우수곤, & 조록환. (2016). 마을중심 6차 산업화 활성화를 위한 유유누에마을 참뽕문화 축제개발 영향연구. 관광연구, 31(3), 337-355.
- 식품의양품안전청. (2011). 가공식품 분류지침. 청원군 :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기준과.
- 신효중, 김현노, 허국동, & 조민우. (2015). 강원도 6차산업화 가능성 분석. 농어촌관광연구 , 22(1), 19-49.
- 신효중, & 윤희정. (2013). 內生的 發展과 6次 産業. Paper presented at the pp. 28-44.
- 양정임, 이정희, & 황대용. (2014). 지역농업자원의 6차 산업 활성화 방안: 전문가 실증연구를 중심으로. 농촌계획 , 20(3), 111-120. https://doi.org/10.7851/ksrp.2014.20.3.111
- 우장명. (2013). 6차 산업화를 통한 충북 농업의 발전 방안 . 청주: 충북연구원.
- 우장명. (2015). 충북 농업의 6차산업화 육성방안. 청주: 충북연구원.
- 우장명, 최시영, & 민유선. (2016). 충북 6차산업화 제품의 가치사슬분석. 충북 Focus, 121, 1-22.
-
유선욱, & 류시영. (2015). 6차산업 활성화를 통한 농업
${\cdot}$ 농촌의 가치 제고. 관광연구저널 , 29(12), 77-90. - 유학열. (2013). 농업 6차산업화의 필요성과 활성화를 위한 과제. 국토 , 29-35.
- 유학열, & 이영옥. (2014). 창조농업 실현을 위한 6차산업화 .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윤유식, 양정임, & 장양례. (2013). 연구논문 : 6차산업 농어촌관광마을 선택속성 세분시장에 따른 체험프로그램 선호도 및 행동의도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20(3), 755-775.
- 이금동. (2015). 일본의 "농업의 6차산업화" 및 관련 정책에 관한 재고. 지역개발연구 , 47(2), 121-147.
- 이민수, & 최영찬. (2009). 머신러닝을 활용한 모돈의 생산성 예측모델, 농촌지도와 개발 , 16(4), 939-965.
- 이병오. (2014). 강원도 농업의 6차 산업화 전략.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 26(1), 50-61.
- 이용범. (2004). 데이터 마이닝의 농업적 활용. 한국농업기계학회 , 29(1), 79-96.
- 임은영. (2015). 카오스와 프랙탈 이론을 적용한 환경디자인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 6(1), 39-47.
- 정양례. (2015). 6차산업화를 위한 로컬푸드 농가맛집 만족도 연구. 관광연구 , 29(6), 221-239.
- 정오락, 이재희, & 안정근. (2015). 6차산업화를 활용한 지방 중소도시 활성화 방안 연구. 주거환경 , 13(4), 255-266.
- 최종후, 한상태, 강현철, 김은석, 김미경, & 이성건. (2002). 데이터마이닝 예측 및 활용. 서울: 데이터솔루션.
- 최해용, 윤유식, & 박재덕. (2014). 6차 산업으로서 농촌 체험관광의 선택속성과 체험 프로그램 선호도가 농촌관광 행동의도 및 개발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 28(2), 185-198.
- 통계청. (2011). 농림어업조사. 대전: 통계청.
- 한국농업경제학회. (2014). 6차 산업화 관련 정책사업 추진실태 진단 및 정책 간 연계방안 연구 . 나주: 한국농촌 경제연구원.
- 한재환, & 김성훈. (2016). 농업의 6차 산업화에 대한 소비자 인식 분석. 지역사회연구, 24(2), 181-198.
- 호남지방통계청. (2014). 지난 20년간 (1993-2013년) 제주도 농업생산의 변화상.
- 황대용. (2014). 농촌자원을 활용한 농식품 6차산업화 실태조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14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 147-147.
- 小林茂典, & 이병오. (2012). 일본의 6차 산업화 전개방향과 과제 .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Curran, J., & Storey, D. J. (1993). Small firms in urban and rural locations.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 Champaign's Academy for Entrepreneurial Leadership Historical Research Reference in Entrepreneurship.
- Johnson, J. D., & Rasker, R. (1995). The role of economic and quality of life values in rural business location. Journal of Rural Studies, 11(4), 405-416. https://doi.org/10.1016/0743-0167(95)00029-1
- Lowe, P., & Talbot, H. (2000). Policy for small business support in rural areas: A critical assessment of the proposals for the small business service. Regional Studies, 34(5), 479-487. https://doi.org/10.1080/00343400050058729
- Miller, N. J., & Besser, T. L. (2000). The importance of community values in small business strategy formation: Evidence from rural Iowa.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38(1), 68.
- Nakano, K. (2014). The Sixth Industrialization for Japanese Agricultural Development. The Ritsumeikan Economic Review, 63(3), 314-326.
- North, D., & Smallbone, D. (1996). Small business development in remote rural areas: the example of mature manufacturing firms in Northern England. Journal of Rural Studies, 12(2), 151-167. https://doi.org/10.1016/0743-0167(96)00009-5
Cited by
- 소규모 농산가공시설 배출수 처리시설 개선방안 vol.23, pp.4, 2016, https://doi.org/10.12653/jecd.2016.23.4.0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