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hird-Person Effects of Online Hate Comments

혐오성 댓글의 제3자 효과 댓글의 속성과 이용자의 성향을 중심으로

  • Cho, Yoon Yong (Institute for Social Science Research, Pusan National University) ;
  • Im, Yung Ho (Department of Communi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 Heo, Yun Cheol (Department of Communi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조윤용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 임영호 (부산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 허윤철 (부산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Received : 2016.07.23
  • Accepted : 2016.09.22
  • Published : 2016.10.15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third-person effect(TPE) of hate comments on online news, and analyze how the issue-relevant audience factor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message have influence on the TPE. More specifically, ba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hateful and logical comments regarding the issue of illegal immigration, the authors have conducted an online experiment that compares how the message-related features, i.e., ways of expressing the ideas, lead to the difference in TPE. Analysis was also conducted with regards to how political orientation and discriminatory predisposition to immigrants among the audiences, have different impacts on the TPE. The 479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exposed to hate comments) or control group(exposed to logical comments). The results reveal that the TPE of hate comments is higher than that of logical message. The same message proved to be more effective for news users with liberal orientation and discriminatory predisposi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lies in that it has examined the effect of online hate comments in a rigorous experimental setting. Also the research further elaborated on the audience-related variables, for which the previous studies tended to focus those on the general psychological level rather than relate them more specifically to the issues.

이 연구는 온라인 포털 뉴스에 대한 혐오성 댓글의 제3자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특히 뉴스 이용자의 성향에 따라 제3자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이주민의 불법체류에 관련된 뉴스 댓글을 혐오성 댓글과 이성적 논조의 댓글로 나누어 댓글 속성, 즉 표현방식에 따른 제3자 효과를 온라인 실험연구를 통해 비교하였다. 그리고 이용자의 이념적 성향과 이주민에 대한 차별적 성향에 따라 혐오성 댓글의 제3자 효과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479명이 온라인 실험에 참가하였으며, 실험참가자는 혐오성 댓글(실험집단)과 이성적 댓글(통제집단)에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연구 결과, 진보적 성향의 뉴스 이용자는 혐오 표현 유무와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제3자 효과가 높게 나타났지만, 보수적 성향의 이용자는 혐오성 댓글에서만 제3자 효과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통적으로 제3자 효과 연구는 주로 매스미디어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는데, 이 연구는 이러한 효과 이론을 이용자의 댓글이라는 새로운 현상에 적용하고, 이 효과가 뉴스 이용자의 이념적 성향, 다문화에 대한 차별적 태도 등 이슈와 밀접하게 관련된 개인적 특성에 따라 어떻게 불균등하게 발생하는지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상희.김익현 (2008). 온라인 댓글 인식과 댓글 활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댓글의 신뢰도와 인터넷 뉴스 수용자의 수용경향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42호, 44-78.
  2. 김경년.김재영 (2005). 오마이뉴스 독자의견 분석: '난장으로서의 공론장' 가능성 탐색. <한국방송학보>, 19권 3호, 7-41.
  3. 김수아 (2015). 온라인상의 여성 혐오 표현. <페미니즘 연구>, 15권 2호, 279-317.
  4. 김은미.선유화 (2006). 댓글에 대한 노출이 뉴스 수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학보>, 50권 4호, 33-64.
  5. 김은미.조윤용.임영호.송보영 (2015). 다문화 범죄 보도에서 기사 구성 방식과 출신국에 대한 태도가 댓글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9권 6호, 107-136.
  6. 김채환 (2009). 인터넷 뉴스 댓글의 이용과 상호작용성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9권 1호, 5-44.
  7. 김현희 (2014). 인종주의와 한국사회의 법문화: 다문화사회의 법의식. <비교문화연구>, 20권 2호, 5-46.
  8. 민지선.김두섭 (2013). 거주지역의 외국인 비중이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36권 4호, 71-94.
  9. 박신영 (2014). 다문화 관련 TV 프로그램 시청과 다문화 인식, 태도 및 제 3자 효과. <한국방송학보>, 28권 6호, 79-119.
  10. 변상호. (2014). 정치 팟캐스트 이용과 정치성향의 상호작용이 기성 미디어 대체와 보완에 미친 영향. <한국언론학보>, 58권 6호, 90-118.
  11. 설동훈 (2009). 한국사회의 외국인 이주노동자: 새로운 '소수자 집단'에 대한 사회학적 설명. <사림>, 34호, 53-77.
  12. 송경희.이수영 (1998). TV 폭력과 제3자 효과: TV폭력에 대한 프로듀서와 학부모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10호, 229-257.
  13. 안상수.민무숙.김이선.이명진.김금미 (2012).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연구>. 여성가족부.
  14. 양승찬 (1998). 제3자 효과 가설과 침묵의 나선 이론의 연계성: 여론조사 보도에 대한 제3자 효과 지각과 공개적 의견표명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43권 2호, 109-141.
  15. 양혜승 (2008). 인터넷 뉴스 댓글의 견해와 품질이 독자들의 이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2권 2호, 254-280.
  16. 유홍식 (2010). 악성 댓글에 대한 제3자 효과 연구. <한국방송학보>, 24권 5호, 238-278.
  17. 윤태일.심재철.글렌 레슈너 (2003). 안티 사이트의 제3자 효과: 타인반응에 대한 지식과 동의수준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47권 1호, 31-55.
  18. 이미경.최인호.정세훈 (2013). 기업 페이스북에서 긍정.부정 댓글이 이용자들의 태도, 규범 및 구매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학보>, 57권 4호, 51-71.
  19. 이성식 (2008). 인터넷게시판 악성댓글 피해요인에 관한 연구. <피해자학연구>, 16권 1호, 67-85.
  20. 이은주.장윤재 (2009). 인터넷 뉴스 댓글이 여론 및 기사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지각과 수용자의 의견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학보>, 53권 4호, 50-71.
  21. 이재신 (2013). 기사 주제에 따른 댓글 읽기와 관여도가 댓글과 기사 평가에 미치는 영향.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20호, 50-88.
  22. 이제홍 (2013). 인터넷 사용 네티즌의 댓글 행태와 의식사고에 관한 조사 연구. , 14권 5호, 33-51.
  23. 이준기.한미애 (2012). 개인의 정치성향이 뉴스 댓글에 대한 신뢰성과 사회적 영향력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7권 1호, 173-187. https://doi.org/10.7838/jsebs.2012.17.1.173
  24. 이창호.이호영(2009). 포털 이용자들의 포털 뉴스이용패턴 및 포털의 언론역할에 관한 인식. <언론정보학보>, 46호, 177-210.
  25. 이현정.안재웅.이상우 (2013). 다문화 콘텐츠가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언론학보>, 57권 3호, 34-57.
  26. 임양준 (2013). 국회의원 선거 관련 여론조사 보도에 대한 미디어 효과연구: 제19대 총선에 대한 제3자 효과를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28호, 183-219.
  27. 정다은.정성은 (2015). 설득 캠페인 효과 지각에서의 편향: 캠페인의 실제 효과와 지각된 효과 간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9권 6호, 187-220.
  28. 정성은 (2014). 제삼자 효과는 과연 존재하는가?: 제삼자 효과 행동 가설의 논리와 검증 방법 비판. <커뮤니케이션 이론>, 10권 2호, 160-196.
  29. 정성은.이은지(2012). 제삼자 지각 가설의 재구성: 메시지 강도, 관련 지식 보유 정도, 기존 태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5권 5호, 322-349.
  30. 정일권.김영석 (2006). 온라인 미디어에서의 댓글이 여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여론동향 지각과 제3자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0권 4호, 302-327.
  31. 정일권.김지현.이연주 (2009). 여론조사 보도가 여론지각과 의견표명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1호, 157-194.
  32. 정재민 (2007). 대부업 광고에 대한 제3자 효과 연구. <한국언론학보>, 51권 6호, 111-134.
  33. 주정민 (2005). 인터넷 포르노그래피 이용과 지각적 편향. <한국방송학보>, 19권 4호, 565-603.
  34. 최민욱 (2009).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의 제3자 효과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17권 2호, 125-153.
  35. 한균태.차동필 (2003). 공익광고와 제3자 효과: 타인의 반응에 대한 지식이 미친 영향. <한국언론학보>, 47권 3호, 38-59.
  36. 행정자치부 (2015). <2015 외국인주민 현황>. 사회통합지원과, 행정자치부.
  37. 허윤철.임영호 (2016). 범죄 뉴스 노출과 다문화수용성: 위험지각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76호, 92-123.
  38. Anderson, A. A., Brossard, D., Scheufele, D. A., Xenos, M. A., & Ladwig, P. (2014). The "nasty effect": Online incivility and risk perceptions of emerging technologie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9(3), 373-387. https://doi.org/10.1111/jcc4.12009
  39. Andsager, J. L., & White, A. H. (2007). Self versus others: Media, messages, and the third-person effect.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0. Bryant, J., & Miron, D. (2004). Theory and research in mass communica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54(4), 662-704. https://doi.org/10.1111/j.1460-2466.2004.tb02650.x
  41. David, P., Liu, K., & Myser, M. (2004). Methodological artifact or persistent bias? Testing the robustness of the third-person and reverse third-person effects for alcohol messages. Communication Research, 31(2), 206-233. https://doi.org/10.1177/0093650203261513
  42. Davison, W. P. (1983). The third-person effect in communication. Public Opinion Quarterly, 47(1), 1-15. https://doi.org/10.1086/268763
  43. Driscoll, P. D., & Salwen, M.B. (1997). Self-perceived knowledge of the O. J. Simpson trial: Third-person perception and preceptions of guilt.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74(3), 541-556. https://doi.org/10.1177/107769909707400308
  44. Duck, J. M., & Mullin, B. (1995). The perceived impact of the mass media: Reconsidering the third person effect.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25, 77-93. https://doi.org/10.1002/ejsp.2420250107
  45. Duck, J. M., Terry, D. J., & Hogg, M. A. (1995). The perceived influence of AIDS advertising: Third-person effects in the context of positive media content.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17, 305-325. https://doi.org/10.1207/s15324834basp1703_2
  46. Gillmor, D. (2006). We the media: Grassroots journalism by the people, for the people. 김승진 (역) (2008). <우리가 미디어다>. 서울: 이후.
  47. Gunther, A. C. (1995). Overrating the X‐rating: The third‐person perception and support for censorship of pornography. Journal of Communication, 45(1), 27-38.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5.tb00712.x
  48. Gunther, A. C., & Mundy, P. (1993). Biased optimism and the third-person effect. Journalism Quarterly, 70, 58-67. https://doi.org/10.1177/107769909307000107
  49. Gunther, A. C., & Thorson, E. (1992)l Perceived persuasive effects of product commercials and public service announcements: Third-person effects in new domains. Communication Research, 19, 574-596. https://doi.org/10.1177/009365092019005002
  50. Harlow, S. (2015). Story-chatterers stirring up hate: Racist discourse in reader comments on U.S. newspaper websites. Howard Journal of Communications, 26(1), 21-42. https://doi.org/10.1080/10646175.2014.984795
  51. Hoorens, V., & Ruiter, S. (1996). The optimal impact phenomenon: Beyond the third person effect.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26, 599-610. https://doi.org/10.1002/(SICI)1099-0992(199607)26:4<599::AID-EJSP773>3.0.CO;2-7
  52. Huge, M. E., & Glynn, C. J. (2015). Perceiving Penn State: The formative role of interpersonal discussion in third-person perceptions in the wake of a sexual abuse scandal. Communication Research, 42(&), 922-938. https://doi.org/10.1177/0093650214534970
  53. Lasorsa, D. L. (1989). Real and perceived effects of 'Amerika'.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66(2), 373. https://doi.org/10.1177/107769908906600215
  54. Lee, B., & Tamborini, R. (2005). Third‐person effect and internet pornography: The influence of collectivism and internet self‐efficacy. Journal of Communication, 55(2), 292-310. https://doi.org/10.1111/j.1460-2466.2005.tb02673.x
  55. Loke, J. (2012). Public expressions of private sentiments: Unveiling the pulse of racial tolerance through online news readers' comments. Howard Journal of Communications, 23(3), 235-252. https://doi.org/10.1080/10646175.2012.695643
  56. Meirick, P. C. (2005). Rethinkjing the target corollary: The effects of social distance, perceived exposure, and perceived predispositions on first-person and third-person perceptions. Communication Research, 32, 822-843. https://doi.org/10.1177/0093650205281059
  57. Pan, Z., Abisaid, J. L., Paek, H. J., Sun, Y., & Houden, D. (2006). Exploring the perceptual gap in perceived effects of media reports of opinion polls.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18(3), 340-350. https://doi.org/10.1093/ijpor/edh103
  58. Perloff, R. M. (1989). Ego involvement and the third person effect of televised news coverage. Communication Research, 16, 236-62. https://doi.org/10.1177/009365089016002004
  59. Perloff, R. M. (1999). The third person effect: A critical review and synthesis. Media Psychology, 1(4), 353-378. https://doi.org/10.1207/s1532785xmep0104_4
  60. Perloff, R. M. (2009). Mass media, social perception, and the thir-person effect. In J. Bryant & M. B. Oliver (Eds.), Media effects: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3rd.). (pp.252-268) New York: Routledge.
  61. Price, V., Huang, L. N., & Tewksbury, D. (1997). Third-person effects of news coverage: Orientations toward media.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74(3), 525-540. https://doi.org/10.1177/107769909707400307
  62. Price, V., & Stroud, N. J. (2006). Public attitudes toward polls: Evidence from the 2000 U.S. presidential ele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18(4), 393-421. https://doi.org/10.1093/ijpor/edh119
  63. Rojas, H., Shah, D. V., & Faber, R. J. (1996). For the good of others: Censorship and the third person effect.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8, 163-186. https://doi.org/10.1093/ijpor/8.2.163
  64. Shah, D. V., Faber, R. J., & Youn, S. (1999). Susceptibility and severity perceptual dimensions underlying the third-person effect. Communication Research, 26(2), 240-267. https://doi.org/10.1177/009365099026002006
  65. White, H. A. (1997). Considering interacting factors in the third-person effect: Argument strength and social distance.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74, 557-564. https://doi.org/10.1177/10776990970740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