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권상희.김익현 (2008). 온라인 댓글 인식과 댓글 활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댓글의 신뢰도와 인터넷 뉴스 수용자의 수용경향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42호, 44-78.
- 김경년.김재영 (2005). 오마이뉴스 독자의견 분석: '난장으로서의 공론장' 가능성 탐색. <한국방송학보>, 19권 3호, 7-41.
- 김수아 (2015). 온라인상의 여성 혐오 표현. <페미니즘 연구>, 15권 2호, 279-317.
- 김은미.선유화 (2006). 댓글에 대한 노출이 뉴스 수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학보>, 50권 4호, 33-64.
- 김은미.조윤용.임영호.송보영 (2015). 다문화 범죄 보도에서 기사 구성 방식과 출신국에 대한 태도가 댓글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9권 6호, 107-136.
- 김채환 (2009). 인터넷 뉴스 댓글의 이용과 상호작용성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9권 1호, 5-44.
- 김현희 (2014). 인종주의와 한국사회의 법문화: 다문화사회의 법의식. <비교문화연구>, 20권 2호, 5-46.
- 민지선.김두섭 (2013). 거주지역의 외국인 비중이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36권 4호, 71-94.
- 박신영 (2014). 다문화 관련 TV 프로그램 시청과 다문화 인식, 태도 및 제 3자 효과. <한국방송학보>, 28권 6호, 79-119.
- 변상호. (2014). 정치 팟캐스트 이용과 정치성향의 상호작용이 기성 미디어 대체와 보완에 미친 영향. <한국언론학보>, 58권 6호, 90-118.
- 설동훈 (2009). 한국사회의 외국인 이주노동자: 새로운 '소수자 집단'에 대한 사회학적 설명. <사림>, 34호, 53-77.
- 송경희.이수영 (1998). TV 폭력과 제3자 효과: TV폭력에 대한 프로듀서와 학부모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10호, 229-257.
- 안상수.민무숙.김이선.이명진.김금미 (2012).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연구>. 여성가족부.
- 양승찬 (1998). 제3자 효과 가설과 침묵의 나선 이론의 연계성: 여론조사 보도에 대한 제3자 효과 지각과 공개적 의견표명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43권 2호, 109-141.
- 양혜승 (2008). 인터넷 뉴스 댓글의 견해와 품질이 독자들의 이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2권 2호, 254-280.
- 유홍식 (2010). 악성 댓글에 대한 제3자 효과 연구. <한국방송학보>, 24권 5호, 238-278.
- 윤태일.심재철.글렌 레슈너 (2003). 안티 사이트의 제3자 효과: 타인반응에 대한 지식과 동의수준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47권 1호, 31-55.
- 이미경.최인호.정세훈 (2013). 기업 페이스북에서 긍정.부정 댓글이 이용자들의 태도, 규범 및 구매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학보>, 57권 4호, 51-71.
- 이성식 (2008). 인터넷게시판 악성댓글 피해요인에 관한 연구. <피해자학연구>, 16권 1호, 67-85.
- 이은주.장윤재 (2009). 인터넷 뉴스 댓글이 여론 및 기사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지각과 수용자의 의견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학보>, 53권 4호, 50-71.
- 이재신 (2013). 기사 주제에 따른 댓글 읽기와 관여도가 댓글과 기사 평가에 미치는 영향.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20호, 50-88.
-
이제홍 (2013). 인터넷 사용 네티즌의 댓글 행태와 의식사고에 관한 조사 연구.
, 14권 5호, 33-51. - 이준기.한미애 (2012). 개인의 정치성향이 뉴스 댓글에 대한 신뢰성과 사회적 영향력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7권 1호, 173-187. https://doi.org/10.7838/jsebs.2012.17.1.173
- 이창호.이호영(2009). 포털 이용자들의 포털 뉴스이용패턴 및 포털의 언론역할에 관한 인식. <언론정보학보>, 46호, 177-210.
- 이현정.안재웅.이상우 (2013). 다문화 콘텐츠가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언론학보>, 57권 3호, 34-57.
- 임양준 (2013). 국회의원 선거 관련 여론조사 보도에 대한 미디어 효과연구: 제19대 총선에 대한 제3자 효과를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28호, 183-219.
- 정다은.정성은 (2015). 설득 캠페인 효과 지각에서의 편향: 캠페인의 실제 효과와 지각된 효과 간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9권 6호, 187-220.
- 정성은 (2014). 제삼자 효과는 과연 존재하는가?: 제삼자 효과 행동 가설의 논리와 검증 방법 비판. <커뮤니케이션 이론>, 10권 2호, 160-196.
- 정성은.이은지(2012). 제삼자 지각 가설의 재구성: 메시지 강도, 관련 지식 보유 정도, 기존 태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5권 5호, 322-349.
- 정일권.김영석 (2006). 온라인 미디어에서의 댓글이 여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여론동향 지각과 제3자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0권 4호, 302-327.
- 정일권.김지현.이연주 (2009). 여론조사 보도가 여론지각과 의견표명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1호, 157-194.
- 정재민 (2007). 대부업 광고에 대한 제3자 효과 연구. <한국언론학보>, 51권 6호, 111-134.
- 주정민 (2005). 인터넷 포르노그래피 이용과 지각적 편향. <한국방송학보>, 19권 4호, 565-603.
- 최민욱 (2009).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의 제3자 효과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17권 2호, 125-153.
- 한균태.차동필 (2003). 공익광고와 제3자 효과: 타인의 반응에 대한 지식이 미친 영향. <한국언론학보>, 47권 3호, 38-59.
- 행정자치부 (2015). <2015 외국인주민 현황>. 사회통합지원과, 행정자치부.
- 허윤철.임영호 (2016). 범죄 뉴스 노출과 다문화수용성: 위험지각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76호, 92-123.
- Anderson, A. A., Brossard, D., Scheufele, D. A., Xenos, M. A., & Ladwig, P. (2014). The "nasty effect": Online incivility and risk perceptions of emerging technologie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9(3), 373-387. https://doi.org/10.1111/jcc4.12009
- Andsager, J. L., & White, A. H. (2007). Self versus others: Media, messages, and the third-person effect.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Bryant, J., & Miron, D. (2004). Theory and research in mass communica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54(4), 662-704. https://doi.org/10.1111/j.1460-2466.2004.tb02650.x
- David, P., Liu, K., & Myser, M. (2004). Methodological artifact or persistent bias? Testing the robustness of the third-person and reverse third-person effects for alcohol messages. Communication Research, 31(2), 206-233. https://doi.org/10.1177/0093650203261513
- Davison, W. P. (1983). The third-person effect in communication. Public Opinion Quarterly, 47(1), 1-15. https://doi.org/10.1086/268763
- Driscoll, P. D., & Salwen, M.B. (1997). Self-perceived knowledge of the O. J. Simpson trial: Third-person perception and preceptions of guilt.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74(3), 541-556. https://doi.org/10.1177/107769909707400308
- Duck, J. M., & Mullin, B. (1995). The perceived impact of the mass media: Reconsidering the third person effect.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25, 77-93. https://doi.org/10.1002/ejsp.2420250107
- Duck, J. M., Terry, D. J., & Hogg, M. A. (1995). The perceived influence of AIDS advertising: Third-person effects in the context of positive media content.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17, 305-325. https://doi.org/10.1207/s15324834basp1703_2
- Gillmor, D. (2006). We the media: Grassroots journalism by the people, for the people. 김승진 (역) (2008). <우리가 미디어다>. 서울: 이후.
- Gunther, A. C. (1995). Overrating the X‐rating: The third‐person perception and support for censorship of pornography. Journal of Communication, 45(1), 27-38.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5.tb00712.x
- Gunther, A. C., & Mundy, P. (1993). Biased optimism and the third-person effect. Journalism Quarterly, 70, 58-67. https://doi.org/10.1177/107769909307000107
- Gunther, A. C., & Thorson, E. (1992)l Perceived persuasive effects of product commercials and public service announcements: Third-person effects in new domains. Communication Research, 19, 574-596. https://doi.org/10.1177/009365092019005002
- Harlow, S. (2015). Story-chatterers stirring up hate: Racist discourse in reader comments on U.S. newspaper websites. Howard Journal of Communications, 26(1), 21-42. https://doi.org/10.1080/10646175.2014.984795
- Hoorens, V., & Ruiter, S. (1996). The optimal impact phenomenon: Beyond the third person effect.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26, 599-610. https://doi.org/10.1002/(SICI)1099-0992(199607)26:4<599::AID-EJSP773>3.0.CO;2-7
- Huge, M. E., & Glynn, C. J. (2015). Perceiving Penn State: The formative role of interpersonal discussion in third-person perceptions in the wake of a sexual abuse scandal. Communication Research, 42(&), 922-938. https://doi.org/10.1177/0093650214534970
- Lasorsa, D. L. (1989). Real and perceived effects of 'Amerika'.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66(2), 373. https://doi.org/10.1177/107769908906600215
- Lee, B., & Tamborini, R. (2005). Third‐person effect and internet pornography: The influence of collectivism and internet self‐efficacy. Journal of Communication, 55(2), 292-310. https://doi.org/10.1111/j.1460-2466.2005.tb02673.x
- Loke, J. (2012). Public expressions of private sentiments: Unveiling the pulse of racial tolerance through online news readers' comments. Howard Journal of Communications, 23(3), 235-252. https://doi.org/10.1080/10646175.2012.695643
- Meirick, P. C. (2005). Rethinkjing the target corollary: The effects of social distance, perceived exposure, and perceived predispositions on first-person and third-person perceptions. Communication Research, 32, 822-843. https://doi.org/10.1177/0093650205281059
- Pan, Z., Abisaid, J. L., Paek, H. J., Sun, Y., & Houden, D. (2006). Exploring the perceptual gap in perceived effects of media reports of opinion polls.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18(3), 340-350. https://doi.org/10.1093/ijpor/edh103
- Perloff, R. M. (1989). Ego involvement and the third person effect of televised news coverage. Communication Research, 16, 236-62. https://doi.org/10.1177/009365089016002004
- Perloff, R. M. (1999). The third person effect: A critical review and synthesis. Media Psychology, 1(4), 353-378. https://doi.org/10.1207/s1532785xmep0104_4
- Perloff, R. M. (2009). Mass media, social perception, and the thir-person effect. In J. Bryant & M. B. Oliver (Eds.), Media effects: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3rd.). (pp.252-268) New York: Routledge.
- Price, V., Huang, L. N., & Tewksbury, D. (1997). Third-person effects of news coverage: Orientations toward media.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74(3), 525-540. https://doi.org/10.1177/107769909707400307
- Price, V., & Stroud, N. J. (2006). Public attitudes toward polls: Evidence from the 2000 U.S. presidential ele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18(4), 393-421. https://doi.org/10.1093/ijpor/edh119
- Rojas, H., Shah, D. V., & Faber, R. J. (1996). For the good of others: Censorship and the third person effect.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8, 163-186. https://doi.org/10.1093/ijpor/8.2.163
- Shah, D. V., Faber, R. J., & Youn, S. (1999). Susceptibility and severity perceptual dimensions underlying the third-person effect. Communication Research, 26(2), 240-267. https://doi.org/10.1177/009365099026002006
- White, H. A. (1997). Considering interacting factors in the third-person effect: Argument strength and social distance.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74, 557-564. https://doi.org/10.1177/10776990970740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