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factors and social stress with respect to alcohol consumption for university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in efforts to develop educational method that teaches how to decrease alcohol consumption and deny demanding drinking. Questions concerning typical features and social stress from drinking were revised through 300 university students' self-recording surveys between April 8 and 9 in 2015. It consisted of 10 questions using a 4-point Likert scale. Moreover, the reliability of tool was Cronbach ${\alpha}=.82$. We used SPSS 18.0 and conducted frequency, ${\chi}^2$ and path analysis. If the frequency of drinking (B=.206, p<.001) gets low and the social stress from drinking is low (B=-.397, p<.001), the amount of drinking increases, particularly for men more than women (B=.169, p<.05). For women more than men (B=.274, p<.01), if monthly income is high (B=.178, p<.05) and stress from drinking is low (B=-.349, p<.01), the frequency of drinking is high. If the culture of practice in drinking has not formed voluntarily through education or publication, legal restriction that increases the cost of drinking has to be established, like smoking, to reduce the volume of drinking and promote moderation in drinking. The publication and education that teaches drinking leads to bad situations have to be conducted, much like the education programs involved for smoking. Also, discrimination of non-drinker has to be removed with the change of culture to reduce the stress by drinking.
이 연구는 음주 관련 사회적 특성 및 사회적 스트레스가 음주량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음주량 감소와 음주강요를 거절할 수 있는 절주교육방안의 개발에 기초자료로 사용되기 위하여 연구하게 되었다. 2015년 4월 8일부터 4월 9일까지 2일간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통하여 일반적 특성과 함께 음주로 인한 사회적 스트레스를 연구의 특성에 맞게 일부 문항 수정을 하였으며, 4점 리커트 척도 10개 문항으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 ${\alpha}=.82$였다.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 ${\chi}^2$, 경로 분석 등을 시행하였다. 음주모임 빈도가 많아질수록(B=.206, p<.001), 성별이 여자보다 남자일 경우(B=.169, p<.05), 음주로 인한 사회적 스트레스가 낮을수록(B=-.397, p<.001) 음주량은 증가하였으며, 음주모임 빈도는 성별이 여자보다 남자일 경우(B=.274, p<.01), 월수입이 많아질수록(B=.178, p<.05), 음주로 인한 사회적 스트레스가 낮을수록(B=-.349, p<.01) 높아졌다. 음주량을 낮추고 절주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절주하는 문화가 교육이나 홍보를 통해서 자발적으로 형성되지 않는 이상 흡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음주비용을 대폭 증가시키는 법적인 규제 방안을 시행하여야 한다. 흡연이 좋지 못하다는 것을 보건교육 하듯이 음주가 좋지 못한 상황을 불러올 수 있음을 홍보와 절주교육을 해야 하며, 비음주자에 대한 차별을 없애야 하고, 음주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소하려는 문화를 바꾸어 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