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for making a system of basic materials for the restoration of the 3X3 Kan central hall remains of a Buddhist temple from the Joseon Dynasty. Because there are both an extant hall and remains from the Joseon Dynasty, the basic material can be construct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floor plan. Multi-step comparisons were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example for restoration. For this study, five parts of the 3x3 Kan remains were compared with 70 extant halls for a case study. For the first comparison, the limit of collection makes four examples in the whole examples. There are many relationships with the area and the length ratio of the front to the side as the comparison articles, so there are examples that satisfied both comparison articles. However, there is littl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ratio of the front Eokan to the front Hyeopkan and the length ratio of side Eokan to the side Hyeopka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basic material shows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with various directions that have pros and cons.
이 연구는 조선시대 사찰 주불전 발굴지를 복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 방식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조선시대는 발굴지와 현존 주불전이 동시에 존재하는 유일한 시기이므로 평면계획의 비교를 통하여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상관성이 있는 비교항목들을 선정하여 순차적으로 여러 단계의 비교를 통하여 복원을 위한 가장 적합한 사례들을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가지고 기초자료 구축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비교항목의 선정과 비교 순서, 그리고 사례의 비교방식 등이 모두 중요한 요소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5개의 3x3칸 주불전 발굴지를 대상으로 70개의 현존 주불전과 비교하여 최초의 비교에서 4개의 사례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다시 한 번 비교를 통해서 사례들을 좁혀보았다. 비교항목으로서 면적과 정면/측면 길이의 비율은 서로 관련성이 있어 둘 다 만족하는 사례가 있어 복원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가능성이 높았다. 하지만 정면어칸길이/협칸길이의 비율과 측면어칸길이/협칸길이의 비율은 둘 다 만족하는 사례가 없어 비교항목 서로간의 관련성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자료 구축방식은 비교 항목, 비교 순서, 비교 사례의 선정 수량 및 범위 등에서 고려할 점이 많아서 장단점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다양한 방향으로 확장할 수 있어 그 가치가 높으며 자료구축의 다양성에 의해 개별적인 특징이 많은 발굴지에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