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공도서관에서의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과 인식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Perception and Culture Diversity Education Program in Public Library

  • 투고 : 2016.08.22
  • 심사 : 2016.09.05
  • 발행 : 2016.09.30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3~6학년 다문화가정 어린이와 일반가정 어린이를 대상으로 문화다양성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세계의 여러 다른 문화와 다양한 가치, 삶의 방식을 존중하고 문화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에서의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사후 인식 차이, 실험집단-비교집단의 인식 차이, 도서관 서비스와 이용률 및 서비스 활성화 방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 인식조사를 통해 문화다양성에 대한 이해, 수용, 배려, 존중 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and respect different culture, value and lifestyle by providing children from multi cultural family and children from non multi cultural family who are from third to sixth year in elementary school with education on cultural diversity. This study developed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rogram in public library and applied it to analyze a difference in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rogram, a difference in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rogram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library service, use of library service and influence of expansion of service. As a results, it was found that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rogram helped children understand, accept, consider and respect cultural diversity better.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기영, 오해연. 2014.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3): 77-100. (Kim, Giyeong and Haeyeon Oh. 2014.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ublic Library Users on Multi-cultural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3): 77-100.)
  2. 김인회. 2013. 문화다양성과 박물관의 역할. "어린이와 박물관 연구". 5: 10-25. (Kim, In-whoe. 2013. "Cultural Diversity and Museum's Role." Journal of Children and Museums, 5: 10-25.)
  3. 김종아. 2014. "다문화사회 박물관의 문화다양성교육 실천에 관한 질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물관교육학과. (Kim, Jong-A. 2014.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actice of museum's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agram in Museum Education.)
  4. 도현주. 2008. "문화프로그램 이용자의 만족도 및 충성도 분석: 서울시 강서지역 공공도서관과 문화센터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Do, Hyeon-Ju. 2008. An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 Loyalty of Cultural Programs: A Case Study of Public Libraries and Culture Centers in Gangseo, Seoul.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Keimyung University,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 변정현. 2011. "체험적 교류활동을 통한 다문화 인식 변화연구".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학과. (Byun, Jung Hyun. 2011. A study on the effect of hands-on interchange activities on multicultural awarenes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Pusan.)
  6. 오해연, 김기영. 2014. 공공도서관 다문화서비스의 주민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2): 125-145. (Oh, Haeyeon and Giyeong Kim. 2014. "Perception of Local Residences on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2): 125-145.) https://doi.org/10.14699/KBIBLIA.2014.25.2.125
  7. 유영식. 2009. "다문화 교육과정 개발 모형에 입각한 프로그램이 다문화 인식과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Yoo, Young Sik. 2009.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 on Multicultural Awareness and Self-Identity.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jor in Elementary Educational Methodology.)
  8. 유정윤. 2015. "전환학습이론 기반 문화다양성 프로그램을 통한 학생들의 인식변화: 광주 어린이문화원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공학과. (Yoo, Jeong Yoon. 2015. A Study on Changes of Students' Perception through Cultura l Diversity Program Based on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Focusing on the Case of Children's Culture Center in Gwangju. M.A. thesis. Kyunghee University.)
  9. 유효순. 2010. 유아용 다문화 인식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4(6): 133-150. (You, Hyo Soon. 2010.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for preschool teach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4(6): 133-150.)
  10. 이륜. 2011.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도 차이와 다문화교육의 개선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평생다문화교육학과. (Lee, Ryun. 2011. The Difference of Schoolchild's Perceives for Children of Multi-culture Family and Developmental Direction of Multi-culture Educations. M.A. thesis. Kyonggi University.)
  11. 이영미. 2014. "다문화 인식 제고를 위한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수업 설계 및 적용".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Lee, Youngmee. 201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ocial Studies Programto Enhance the Multicultural Awareness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2. 이영진. 2014. "문화다양성교육을 위한 악기박물관의 활용에 관한 연구: 세계민속악기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박물관미술관학과. (Lee, Yeong Jin. 2014. The applica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 museum for educating cultural diversity. M.A. thesis. Chung-Ang University.)
  13. 임명희. 2003. "음악 감상을 통한 다문화 교육 활동이 유아의 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Im, Myeong Hui. 2003.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Music Appreciation on Children's Emotional Abilith.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ajor of Early Childhood Eduacation.)
  14. 임세연. 2015. "다문화 가정 유아와 일반가정 유아의 자아개념과 행동특성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대학원, 유아교육학과. (Lim, Se-Yeon. 2015.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music appreciation on children's emotional ability. M.A. thesis. Dongguk University.)
  15. 정경자. 2001. "다문화적 접근에 의한 요리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Jung, Gyungja. 2001. The effects of cooking activity with multicultural approach on young children's perspective taking ability. M.A.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6. 정예슬. 2013.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학생의 인식 변화: 초등학교 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공학과. (Jeong, Yeseul. 2013. How Does a Program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ffect on Students' Perception Change?: A Case study of An Elementary School Class. M.A. thesis. Kyunghee University.)
  17. 정현선 외. 2013. "올리볼리 교육매뉴얼". 서울: 다음세대재단. (Jeong, Hyeon-Seon et al. 2013. Ollybolly Manual. Seoul: Daum Foundation.)
  18. 조미아. 2010. 한국의 다문화가정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현황과 과제. "국제 어린이청소년도서관 심포지엄 자료집". (Cho, Miah. 2010. "The Satatus and Limitation of Korean Library Servic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Library Services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19. 차윤경. 2008. 세계화 시대의 대안적 교육모델로서의 다문화 교육. "다문화교육연구", 1(1): 1-23. (Cha, Yun Kyung. 2008. "Multicultural Education as an Alternative Educational Model in the Era of Globaliz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1(1): 1-23.)
  20. 차윤경, 김미영, 김선아. 2011. "예술로 배우는 다문화". 서울: 대교. (Cha, Yun Kyung, Mi Young Kim, and Suneh Kim. 2011. Multiple Cultures learning through art. Seoul: Daekyo.)
  21. Kim, Dong-Seok and Younghee Noh. 2014. "A Study of Public Library Patrons' Understanding of Library Records and Data Privacy." International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4(1): 53-78. https://doi.org/10.5865/IJKCT.2014.4.1.053
  22.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McGraw Hill.
  23. Sleeter, C. and C. Grant. 1987. "An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the United States."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4): 421-444. https://doi.org/10.17763/haer.57.4.v810xr0v3224x316
  24. Van, D. V. and J. Ferry. 1980. Measuring and Assessing Organizations. New York: Wiley.
  25. 행정자치부 [online]. [cited 2015.8.23]. .
  26. IFLA. '세계 문화 다양성 선언', '도서관 다문화선언' [online]. [cited 2015.8.30]. .

피인용 문헌

  1. 도서관 및 지역 특성이 도서관 이용자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vol.28, pp.3, 2017, https://doi.org/10.14699/kbiblia.2017.28.3.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