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꾸로 수업을 지원할 수 있는 과학교과서 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cience Textbooks for the Implementation of Flipped Learning

  • 투고 : 2016.02.02
  • 심사 : 2016.04.28
  • 발행 : 2016.04.30

초록

거꾸로 수업(Flipped learning)은 일반적으로 동영상 및 읽기 자료 등과 같은 디딤자료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사전에 학습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교실 수업에서는 교사의 도움을 받아 학습자 중심이 되어 수업 시간이 운영된다. 거꾸로 수업은 각각의 교사가 사전영상과 같은 사전 과제를 미리 준비하고 교과서 이외의 활동을 재구성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사전 영상을 제작하는 등의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외 교과서 분석, 거꾸로 수업을 하고 있는 6명의 과학교사 심층 면담, 과학 교과서 샘플 모형개발 및 적용을 통해 거꾸로 수업을 지원할 수 있는 과학교과서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초중고 과학 교과서 모형은 사전영상을 전제로 하지 않은 서책 중심 교과서 모형제시와 더불어 거꾸로 수업구현을 위한 강의 중심형, 실험 중심형, 탐구 조사형 등이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 중심의 탐구활동을 수행하는 수업으로서 과학수업 및 교과서 개발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Flipped learning is generally designed to allow students to learn on their own in advance with the help of scaffolding material such as videos and text, and in the classroom, it is operated with the help of a teacher while the class is being learner-centered. For flipped learning, each of the teachers has to design the class, collect information, and prepare for scaffolding material, so they get to face a lot of difficulties spending much time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and produce a video and so on. Accordingly, this researcher has developed flipped learning textbook models applicable to science class by analyzing Korean and overseas textbooks, conducting an in-depth interview to six science teachers practicing flipped learning, and also developing and applying the science textbook sample model.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cience textbook models developed include not only the textbook-based model with no videos presented in advance but also the lecture-type model, experiment-based model, and inquiry and research-based model to realize flipped learn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present crucial implications to develop textbooks and science class as a class to perform learner-centered inquiry activ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은정, 정대홍(2014). 과학교과에서의 핵심역량에 대한 세계의 동향에 준거하여 우리나라 현장 교사들의 인식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6), 535-547.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6.0535
  2. 곽영순, 손정우, 김미영, 구자옥(2014). 핵심역량과 융합교육에 초점을 둔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방향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3), 321-330.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3.0321
  3. 김남익, 전보애, 최정임(2014). 대학에서의 거꾸로 학습(Flipped learning)사례 설계 및 효과성 연구 : 학습동기와 자아효능감을 중심으로. 교육 공학연구, 30(3), 467-492.
  4. 김석우, 박소영(2003). 초등학교, 중학교 교과서 내용에 관한 교사 인식 비교. 한국교육과정학회, 21(2), 51-71.
  5. 김순식, 이용섭(2014). 문제발견 중심의 과학토론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133-143.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1.133
  6. 김재복, 김왕근, 양미경(1997). 교과서 체제 개선 연구. 한국교육과정연구회 연구보고서.
  7. 맹승호, 이정아, 김찬종(2007). 지구과학 논문과 지구과학 교과서 텍스트의 과학 언어적 특성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 367-378.
  8. 박태정, 차현진(2015)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교육적 활용가능성 탐색을 위한 교사 인식 조사.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1), 81-97.
  9. 신명경(2004). 학생중심성에 초점을 맞춘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통한 과학교사들의 과학수업과 학습에 대한 신념 변화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5(2), 53-62.
  10. 신영준, 문혜숙, 박지선, 이성희, 이수영, 전영석, 지재화, 홍준의(2016). 거꾸로 수업 구현을 위한 과학교과서 모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SBJ000018453.
  11. 신영준, 하지훈, 이성희(2016). 거꾸로 수업(Flipped Learning)에서 과학 교사들이 겪는 인식과 어려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1), 159-166.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1.0159
  12. 윤은정, 권성기, 박윤배(2015). 학습자 중심 수업 운영의 관점에서 초중등 교사와 학생이 본 현행 과학 교과서의 문제점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9(3), 404-417.
  13. 윤현진, 김영준, 이광우, 전제철(2007).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I)-핵심 역량 준거와 영역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7-1.
  14. 이광우, 전제철, 허경철, 홍원표, 김문숙(2009).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총괄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RRC 2009-10-1.
  15. 이동엽(2013).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교수학습 설계모형 탐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1(12), 83-92.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2.83
  16. 이상균, 이하룡(2013). 프로젝트 기반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1), 78-86. https://doi.org/10.15523/JKSESE.2013.6.1.078
  17. 이은아, 김용권(2014).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용 수업이 메타인지와 과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54-63.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1.054
  18. 이희숙, 강신천, 김창석(2015). 플립러닝 학습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2), 47-57.
  19. 정민(2014). Flipped classroom 학습이 초등학생의 수학과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 한화정, 심규철(2014).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창의.인성 활동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8(3), 599-611.
  21. 허숙(2009). 국가 교육과정 정책의 방향과 과제. 교육과정연구, 27(3), 1.
  22. 홍후조, 백혜조, 임혜진(2013). 학습자 중심의 '참고서가 필요 없는', '확장된' 교과서의 의미와 구현 방안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2), 255-283.
  23. Bergman, J. & Sams, A. (2012). Flip your classroom: 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every day,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24. Flipped Learning Network(FLN). (2014). The Four Pillars of $F-L-I-P^{TM}$. Retrieved from http://www.flippedlearning.org/definition
  25. Goodwin, B., & Miller, K. (2013). Research Says / Evidence on Flipped Classrooms Is Still Coming In. Technology rich learning, 70(6), 78-80.
  26. OECD (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 OECD Press.
  27. Pintrich, R. R., & De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33-40. https://doi.org/10.1037/0022-0663.82.1.33
  28. Strayer, J. (2012). How learning in an inverted classroom influences cooperation, innovation and task Orientation. Learning Environments, 15(2), 171. https://doi.org/10.1007/s10984-012-910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