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 of Applying Jigsaw Cooperative Learning on Mathematical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Jigsaw 모형을 적용한 수학수업이 특성화고 학생의 정의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6.09.06
  • Accepted : 2016.09.19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In this study we aimed to find out if a mathematics lesson with Jigsaw model can help to change such negative mathematical affective characteristic to a positive on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mathematics lessons applied Jigsaw model can help to inspire curiosity and motivation of students. During the lessons,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was vitalized. Such communication inspired learner's curiosity and learning motivation. The expert group and home group activities in the Jigsaw model made the learner's question-answering activities more instantaneous and frequent. Second, the mathematics lessons applied Jigsaw model can help students to become aware of the value of mathematical concepts and formula.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직소모형을 적용한 수학 수업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 수업이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Jigsaw 모형을 적용한 수학수업의 특징으로 동료들에 대한 의무감 때문에 학생들의 의사소통이 활발해짐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수업이 학습자의 호기심과 동기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 수학 개념과 공식의 가치인식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8).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III-수학, 과학, 기술.가정.
  2. 교육과학기술부 (2012).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8].
  3. 교육부 (2016).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4. 김선희, 김부미, 이종희 (2014). 수학교육과 정의적 영역. 경문사.
  5. 박선화, 김명화, 주미경 (2010).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향상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10-9.
  6. 박정 (2007).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틍성 변화와 수학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수학교육, 46(1),19-31.
  7. 서종진 (2002). 수학에서 협동 학습에 관한 기초연구. 수학교육, 14, 229-250.
  8. 송현선 (2009).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수학 교재 재구성이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우정호 (1998). 학교수학의 교육적 시초.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0. 우정호 (2000).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1. 이민찬, 길양숙 (1998). 수학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 (情意) 적 특성의 학년별 변화 및 성별 성취 집단별 차이. 수학교육, 37(2), 147-158.
  12. 임소라(2012). 특성화 고등학교 수학교육의 실태및 개선방안.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전성연, 최병연, 이흔정, 고영남, 이영미 (2010). 협동학습 모형 탐색. 학지사.
  14. 정문성 (1995). 열린교육에서의 협동학습. 열린교육연구, 3(1), 11-21.
  15. 정문성 (1999). 중학교 교실에서 협동학습구조가 사회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연구-협동적 논쟁 수업 모형을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28(0), 121-150.
  16. 정문성 (2006). 협동학습의 이해와 실천. 교육과학사.
  17. 최승현, 황혜정 (2014). 수학 교과에서의 정의적 특성 요인의 의미 및 지도 방안 탐색. 수학교육 논문집, 28(1), 19-44.
  18. 최승현, 황혜정, 남근천 (2013).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수학과 진단 평가 및 보정학습자료 개발 연구-'변화와 관계'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2), 409-434.
  19. 한주, 채정현 (2011). 동기 유발 전략을 적용한 가정과 '청소년의 성과 친구단계' 단원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3(4), 87-103.
  20. 홍진곤, 조승래 (2003). 협력학습을 통한 수학 학습부진아 지도. 수학교육, 42(3), 327-335.
  21. 황정규(1997). 정의적 행동특성, 사회계층, 학교성적의 인과관계.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사대논총, 2. 1-44.
  22. Aronson, E. (2000). Jigsaw classroom. https://www.jigsaw.org.
  23. Clarke, J. (1994). Pieces of the puzzle: the jigsaw method. In Sharan, S. (Ed.), Handbook of cooperative learning methods (pp. 34-50). Greenwood Press.
  24. Doymus K., Karacop, A, & Simsek, U. (2010). Effect of jigsaw and animation techniques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cepts and subjects in electrochemistry. Education Tech Research Development, 58(6), 671-691. https://doi.org/10.1007/s11423-010-9157-2
  25. Davis-McGibony, C. Michele (2010). Protein-sequencing jigsaw.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87(4), 409-411. https://doi.org/10.1021/ed8001144
  26. Holliday, D. C. (2002). Jigsaw IV: using student/teacher concerns into improve jigsaw III.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465687). Retrieved from ERIC database.
  27. Johnson, D. W., Johnson, R. T. (2009). An educational psychology success story: Social interdependence theory and cooperative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38(5), 365-379. https://doi.org/10.3102/0013189X09339057
  28. Johnson, D. W., Johnson, R. T., & Holubec, E. (2001). 학생들과 함께 하는 협동학습. (추병완 역), 서울 : 백의. (영어 원작은 1994년출판).
  29. Johnson, D. W., Johnson, R. T., & Stanne M. B. (2000). Cooperative learning methods: A meta-analysis. University of Minnesota.
  30. Lucas, C.A. (2000). Jigsaw lesson for operation of complex numbers. PRIMUS, 10(3), 219-224. https://doi.org/10.1080/10511970008965960
  31. Slavin, R. E. (1978). Student teams and comparison among equals: effects on academic performance and student attitud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0, 532-538. https://doi.org/10.1037/0022-0663.70.4.532
  32. Slavin, R. E. (1980). Cooperative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0(2), 315-342. https://doi.org/10.3102/00346543050002315
  33. Slavin, R. E. (1990). Student team learning in the Mathematics. In David, N.(Ed.), Using cooperative learning in the math: A handbook for teachers.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34. Slavin, R. E. (1991). Synthesis of research on cooperative learning. Educational Leadership, 71-82.
  35. Steinbrink, J. E., & Stahl, R. J. (1994). Jigsaw lll=Jigsaw ll+cooperative test review: application to the social classroom. In R. J. Stahl (Ed.), Cooperative learning in social studies: A handbook for teachers(pp. 133-153). New York: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36. Vansickle, R. L.(1994). Jigsaw II: cooperative learning with "Expert Group"specialization. In R. J. Stahl (Ed.), Cooperative learning in social studies: A handbook for teachers(pp. 98-132). New York: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37. Yoo, S. E, & Son, H. C.(2015). A Study on Jigsaw Model Applic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J. Korean Soc. Math. Educ., Ser. D, 19(4). 195-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