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통관제도 개편에 따른 해외직판 활성화 방안

A Study on Customs Clearance Procedure of Korea and China to Vitalize Online Export of Korean

  • 투고 : 2016.05.10
  • 심사 : 2016.05.27
  • 발행 : 2016.05.30

초록

Globalization of consumption, expansion of cross border e-trade, increase use of internet and mobile have led to rapid growth of world e-commerce particularly in Asia and emerging markets. Impacted by Korean wave, online export is continuously increasing, yet Korea is experiencing severe e-commerce trade imbalance. Export growth rate and ratio of Korean small companies are relatively low from OECD member countries. Therefore, Korean government is currently emphasizing on vitalization of online export to China to resolve trade imbalance and to increase export of small companies. To propose detail measures to vitalize online export to China, this study is focused on export customs clearance procedure of Korea and import customs clearance procedure of China in view of online export company. Also suggested countermeasure plan and analysis for the new tax revision plan related to e-commerce which implemented on April 8th 2016. This study have grouped countermeasure plan by short term plan of firms and long term plan of the government. As for the short-term countermeasure plan for firms, first, comparison analysis of tax rate on products is need to decide type of e-commerce strategy; second, if planning to start e-commerce business to China, sales possibility and certification check is necessary; third, through preparation of customs clearance document is needed; last in order to obtain price competitiveness, new logistics strategy and packing development is required. As for the long-term countermeasure plan for the government, I have suggested cooperated bonded logistics service for small businesses and operation plan of show room for promising Korean produc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상구.서현석, "중국 해외직판 활성화를 위한 한국의 B2C 전자상거래 발전방안", 전자무역연구 제13권 제2호,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5.05.
  2. 관세청, "이것만은 꼭 확인하고 해외직구 하세요!", 보도자료, 2016.03.30.
  3. 관세청, "전자상거래 수출 활성화를 위한 관세행정 지원 제도", 2015.12.
  4. 관세청, "해외직구 관련 핵심 질의 응답 매뉴얼", 2016.03.
  5. 관세청, "해외직구 반품 수출신고 쉬워진다", 보도자료, 2014.
  6. 권순국, "한.중 FTA 타결에 따른 한국 상품의 전자상거래 수출 활성화 방안", 관세학회지 제16권 제2호, 한국관세학회, 2015.05.
  7. 김성.임재욱, "소비자특성이 해외직접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제40권 제4호, 한국무역학회, 2015.08.
  8. 김주원, "효과적 한.중FTA체결을 위한 중국의 협상문화와 협상전략에 관한 연구", 무역상무연구 제63권, 한국무역상무학회, 2014.08.
  9. 대한상공회의소, 항공물류산업의 트렌드 변화와 우리 물류기업의 대응방안, 2014.10.
  10. 오원석.이경화, "중국의 해외구매대행 현황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무역상무연구, 제65권, 한국무역상무학회, 2015.02.
  11. 이영수.권순국, "한.중 FTA와 한국 농식품의 중국 수출확대 방안", 무역상무연 제67권, 한국무역상무학회, 2015.08.
  12. 이철용, "향후 중국 소비시장을 이끌 4가지 동력", LG Business Insight, 2016.04.20.
  13. 인천공항세관, 특송화물 통관관련 Q & A, 2014.08.
  14. 최혁준, "한국중소기업의 중국 온라인 시장 진출 방안". e-비즈니스연구 제16권 제3호, e-비즈니스학회, 2015.06.
  15. 한상훈, "해외직접구매와 통관제도에 관한 연구", 전자무역연구 제13권 제1호, 2015.02.
  16. 황현주, "중국 통관 정책 개혁 따른 물류서비스 변화 분석", 우정정보 102, 2015.
  17. KITA, "중국 전자상거래시장 동향보고서", 2014.09.
  18. KITA "북경지부, 중국정부 온라인 해외직구(B2C) 세제 개편방안 발표", 2016.03.25.
  19. KITA, "B2C해외직판 가이드북", 2014.
  20. KMI, "한중 전자상거래 시장 성장 전망과 대응방안", 2015.
  21. KOTRA, "중국 4월 8일부터 국경간 전자상거래 소매수입 행우세 폐지", 2016.03.25.
  22. KOTRA, "주요국 온라인 해외직구 시장 동향", 2015.01.09.
  23. KOTRA Global window, "중국 글로벌 E-Commerce '폭풍 성장', 해외상품에 러브콜", 2015.06.30.
  24. KOTRA Global window, "중국 '국경 간 (수출입)전자상거래' 산업 발전 전망", 2016.01.18.
  25. KOTRA Global window, "中항저우 국제전자상거래 O2O 시대 들어서", 2016.02.18.
  26. KOTRA Global window, "정규부대가 된 중국 해외직구업체의 현재 수입모델은?", 2015.04.
  27. 시사 in Live, "하이타오족이 열어젖힌 새로운 시장", 2015.3.17.
  28. 한국경제, "역직구도 수출실적에 반영한다", 2015.3.17.
  29. 매일경제신문, "국경 허문 소비 해외직판이다", 2015.01.05.
  30. AliResearch, 2020全球跨境電商趨勢報告, 2015.06.
  31. UNCTAD, INFORMATION ECONOMY REPORT 2015, 2015.03.